[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軒先生文集 권2, 竹樹書院諭縣學者.
지난 嘉靖 연간에 고을의 선비들이 風岳의 아래에 서당을 짓고 遊息藏修하는 곳으로 삼았다. 이를 듣고 명종 때에 사액의 명령을 특별히 내려주고 토지와 노비, 서적도 내려주어 장려하였다. 이에 風化가 크게 흥하여 고을 사람들이 記誦詞章에 힘쓰니 인륜이 깊어지고 名敎가 돈독해졌다. 효자, 충신, 열녀가 배출되어 한 마을에 旌表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니 三綱洞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학술이 사람을 교화한다는 것이 이와 같은 것이다. 李惟樟(1625-1701), 孤山集 권5, 朔講立議序.
이처럼 서원이 설립된 뒤에 교육이 활발하여 사림들에게 주자학이 널리 퍼지고, 백성들에게는 교화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나라에서도 서원이 선비들을 강학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선조수정실록 권29, 28년 7월 임신, “當時頗有士子講業之效, 繼而作者, 國內僅十餘所”.
서원은 사림들의 자치적 활동을 보장하는 향촌기구의 기능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 정착되어 가는 성리학을 배울 수 있는 교육시설이기도 하였다. 윤희면, 위의논문, pp,365.
이에 지방의 사림들은 교육기능이 피폐되어 가는 관학에서가 아니라 서원을 통해 그들의 성리학에 대한 관심을 충족시켜보려고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나타난 지 반세기가 경과할 즈음에는 “서원이 없는 고을이 없다.” 선조수정실록 권29, 28년 7월 임신, “當時頗有士子講業之效, 繼而作者, 國內僅十餘所”.
고 할 정도로 서원은 각 고을에서 활발히 건립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祠廟가 없거나 중요치 않는 인물을 배향하거나 하는, 교육만을 목표로 삼은 서원도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5. 맺음말
서원이란 조선 중기 이후 학문연구와 선현제향을 위하여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인 동시에 향촌자치기구이다. 이 서원은 당시 官學의 쇠퇴라는 교학체제의 붕괴 속에서, 성종때부터 중앙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士林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들은 중앙정계에 진출하면서 당시 집권층인 훈구세력들의 부국강병책과 詞章 중심의 학풍을 비판하고 留鄕所를 비롯한 향촌자치제의 실시를 강력히 주장하였다. 이후 이들은 여러 차례의 사화를 겪으면서 세력이 약화되었지만, 점차 정치 실권을 장악해 나갔고 특히 중종시기 조광조계열의 사류에 의해 교학진흥책이 모색되는 과정에서 儒賢의 尊奉으로 正士習을 꾀할 수 있다는 文廟從祀의 운동이 현실적으로 지방관에 의해 祠宇건립의 형태로 나타나면서 부수되어 儒生讀書處로서 창건 되었다.
최초의 서원은 중종 38년(1543)에 풍기군수 周世鵬이 경상도 순흥 안향의 옛 집터에 백운동 서원을 창건한 것이 그 효시이다. 주세붕은 중종 36년(1541)에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이곳 출신의 유학자인 안향을 모시는 문성공묘를 세워 제향 해 오다가 중종 38년(1543)에 유생교육을 겸비한 백운동서원을 최초로 건립하였다. 또한 영남감사의 물질적 지원과 지방유지의 도움으로 서적과 學田을 구입하고 노비 등을 확충하는 등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는 이를 기초로 유생을 교육하여 여러 명의 급제자를 내게 하는 등 서원체제를 갖추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 당시의 백운동서원은 어디까지나 祠廟가 위주였고 서원은 다만 유생들이 공부하는 건물만을 지칭하며 祠廟에 부속된 존재에 그쳤다.
하지만 이후 서원제가 정착되고 성립을 보게 된 것은 그것이 출현한지 7,8년이 경과한 明宗初 退溪 李滉의 보급운동에 의해서였다. 그는 서원을 사림의 講學과 藏修를 위한 교학기구로 성격지우고, 따라서 서원은 사묘에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원이 위주이며 사묘는 유생의 본보기를 위해 서원에의 부속기구로서 포함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이후 서원 건립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서원의 성격을 정착시키는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 또한 그는 풍기군수에 있을 당시 서원을 공인화 하고 나라 안에 그 존재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백운동서원에 賜額과 국가의 지원을 요구하였다. 서원이 국가의 공인을 받게 되자 그는 많은 서원의 설립에 관여하였고 서원의 보급 및 발전에 노력하였다.
이렇게 설립된 서원에서 실제로 이루어졌던 교육은 한 달이나 보름 정도 10명 내외의 유생들을 서원에 모아 제술과 독서를 하면서 과거를 준비케 하는 거접과 삭망에 분향이 끝난 자리에서 경전을 강독하는 강회(통독)가 있었다. 그 밖에 평시라고 서원에 찾아와 독서하는 서원유생이나 일반 유생들에게도 숙식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서원의 형편에 따라 과거를 중시하든 의리를 탐구하든 차이는 있었지만 초기 서원의 교육효과는 괄목할 만하였다. 나라에서도 서원이 선비들을 강학하고, 백성을 교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이후 서원은 사림들의 당쟁의 기지로 활용되면서 그 폐단이 생겨나게 되어 교육기능을 상실하고 많은 수의 서원들이 철폐되었지만, 서원이 성립이 당시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는데 공헌하였고, 조선사회에 성리학을 정착시켜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참 고 문 헌
문헌자료
朝鮮王朝實錄, 紹修書院謄錄, 退溪全書, 武陵雜稿, 道東書院院規
단행본
최완기, 한국의 서원, 대원사, 1991
이호일, 조선의 서원, 가람기획, 2006
이상해, 書院, 열화당, 1998
논문
정만조, 朝鮮書院의 成立過程,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1997
______, 朝鮮朝 書院의 政治 社會적 役割,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1997
李泰鎭, 士林과 書院, (한국사론, 12), 국사편찬위원회, 1981
윤희면, 백운동서원의 설립과 풍기사림, 조선시대 서원과 양반, 집문당, 2005
______, 서원교육의 전개와 교육효과, 조선시대 서원과 양반, 집문당, 2005
李樹煥, 서원의 건립활동, 朝鮮後期書院硏究, 一潮閣, 2001
______, 서원의 人的 構成과 운영, 朝鮮後期書院硏究, 一潮閣, 2001
조종인 · 김창욱, 書院의 成立과 16세기 朝鮮社會의 書院普及運動, 學生生活硏究銷補, 경상대학교, 1995
金大植, 朝鮮 書院 講學 活動과 性格, 敎育史學 硏究, 서울대학교 敎育史學會, 2001
채휘균, 조선시대 초기서원의 설립배경과 성격, 교육철학, 한국교육철학회, 2002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8.19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