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관찰 시 탐색-발견 중심의 교사 발문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그림 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교 사의 발문 없이 관찰만 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병아리, 나비에 대한 과학적 개 념이 다양해지고 그 수준도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 탐색 - 발견 중심의 교사 발문을 들으며 동물을 관찰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교 사의 발문 없이 관찰만 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동물에 대한 그림표상 능력이 향 상될 것이다.
Ⅳ. 연구 방법
A.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서울시 동작구에 소재한 E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종일반 두 반의 유아들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총 사례수는 각 18명이다.
B. 연구 도구
1. 과학적 개념 검사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병아리’와 ‘나비’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유아교육 전문가와 함께 작성한 기준 개념망을 사용하였다.
진행 방식은 교사가 유아들이 인터뷰를 통해 자유롭게 기술한 내용을 기록하고, 이를 기준 개념망과 비교하는 방법.
과제
반응
점수체계
과제요구방법
반응유형
개념망
작성자
방법
기준 개념망
작성
분석
인터뷰에 반응
구술
훈련된
검자사
기준
개념망과의
비교
연구자와
유아 과학
교육 전문가
연구자와
훈련된 검사자
2. 그림 표상 능력 검사
본 연구에서는 동물 관찰을 위한 교사 발문이 유아의 그림 표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지성애(2001)가 제작한 [그리기 표상능력 평가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즉 자유화에 대한 평가 척도를 ‘동물’이라는 특정주제가 제시된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그림 표상을 통해 유아의 ‘동물’에 대한 개념 정도를 연계하여 살표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기간 동안 관찰한 6가지 동물 중 ‘병아리’와 ‘나비’를 사전 사후 검사 주제로 정하고, 이에 따라 유아에게 ‘병아리’와 ‘나비’라는 대상을 제시하고 그려보도록 하였다.
C. 연구 절차
1. 예비검사
2. 사전검사
3. 실험처치
*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의 과학적 언어유형인 탐색-발견형 언어 유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탐색-발견형 언어유형
가)탐색을 격려하는 발문
-관찰을 격려하는 발문
00에 대해 말해줄 수 있겠니?
너는 여기에서 무엇을 보았니?
어떤 일이 일어났니?
00을 보자(들어보자, 냄새 맡아보자.)
유아 앞에 확대경을 놓아준다.
-결과 예측을 격려하는 발문
어떻게 하면 00이 될까?
00은 이렇단다. 그 다음은 어떻게 될까?
네가 00을 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 거라고 생각해?
- 원이니 설명을 격려하는 발문
왜 00이 일어났을까?
왜 이렇게 되었다고 생각하니?
어떻게 해서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되었니?
나) 창의적 반응을 격려하는 발문
-행위를 격려하는 발문
여기에 00를 넣는다면 어떻게 하겠니?
만약 네가 00를 바꿔줄 수 있다면 어떻게 하겠니?
만일 00로부터 00를 빼면 어떻게 될까?
-미래 지향적 발문
우리동네에 나무를 더 많이 심으면 어떻게 될까?
미래에는 어떤 에너지가 쓰일 것이라고 생각하니?
이 나무가 자라면 어떻게 될까? 생각나는 대로 이야기 해 보자.
-문제해결형 발문
00에 대해 알고 싶으면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이것을 어떻게 고치고 싶니?
그것을 어떻게 더 나은 방법으로 할 수 있겠니?
4. 사후검사
D. 자료처리
동물 관찰활동에서 교사의 발문 여부가 유아의‘병아리’와 ‘나비’에 대한 개념과 그림 표상에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병아리’와 ‘나비’의 과학적 개념과 그림 표상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에는 사후검사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병아리’와 ‘나비’의 그림 표상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Ⅴ. 결과 및 해석
A. 동물 관찰시 교사의 발문이 유아의과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1. ‘병아리’에 대한 과학적 개념
a. 집단 간 사전 검사 결과
b. 집단 간 사후검사 결과
c. 실험집단의 결과 분석
d. 비교집단의 결과 분석
2. ‘나비’에 대한 과학적 개념
a. 집단 간 사전 검사 결과
b. 집단 간 사후검사 결과
c. 실험집단의 결과 분석
d. 비교집단의 결과 분석
B. 동물 관찰시 교사의 발문이 유아의 그림 표상에 미치는 영향
1.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
2. 다양한 색채
3. 형체의 세부적 묘사
4. 그림의 완성
5. 주제관련 표상
6. 조화로운 화면 구성
7. 표상의 창의성
8.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Ⅵ. 논의 및 결론
A. 요약
첫째, ‘병아리’와‘나비’에 대한 과학적 개념 형성에 관한 현황 분석에 의하면, 동물 관찰 시 탐색-발견 중심의 교사 발문을 경험한 유아들은 교사의 발문 없이 관찰만 경험한 유아들보다 과학적 개념에서 사전-사후를 비교했을 때 큰 향상을 보였다.
둘째, ‘병아리’와 ‘나비’의 그림표상 능력 점수에 대한 t검증 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사전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그림 표상의 각 항목별로 모두 현저한 향상 점수를보였으나,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다양한 색채’,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항목을 제외하고 사전-사후 점수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B. 논의
과학적 활동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가 교사라는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탐색-발견 중심의 언어형태가 사실이나 상황을 설명-지시하는 언어 형태보다 과학적 활동 참여나 성취에 효과적이라는 권영례(1990)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동물 관찰활동시 교사의 탐색-발견 중심의 발문은 유아들이 직접 관찰하고 탐색하도록 격려하였으며 관찰의 내용을 확장시켜 주었다. 이와 같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관찰 경험을 통해 유아들은 동물에 대한 개념을 형성해 갔으며 이렇게 형성된 개념은 더 오래 지속되어 유아들의 그림 표현에도 반영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동물 관찰 활동을 계획함에 있어서 교사가 탐색-발견 중심의 발문을 사용한다면 유아들의 관찰 활동을 격려하고, 동물에 대한 개념을 확장시켜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동물 관찰 활동이 일반적으로 별 계획 없이 동물을 소개하고 과학영역에 배치하는 것으로 그친다는 점과 실제로 교사들이 관찰 활동 시 탐색-발견 중심의 발문을 사용하는데 미흡하다는 점에서 유아교육 현장에 시사 하는 바가 크다.
  • 가격1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4.02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