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복지] 사회복지사로서 문화에 대한 이해(문화의 개념, 문화의 전승과 특성, 문화와 이미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사회복지] 사회복지사로서 문화에 대한 이해(문화의 개념, 문화의 전승과 특성, 문화와 이미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문화의 개념
2. 문화의 전승과 특성
3. 문화와 이미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절한 역할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또한 관리의 대상이라면 사회복지사가 더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개입하려고 할 것이다. 사정(assessment)도 이러한 관념하에서 진행하게 되므로, 무엇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자원을 어떻게 연결하여 원조할 것인가를 먼저 생각한다. 사실 이 관점은 그동안 주류 사회복지실천의 문화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방식이 지난 20여 년간 정말 효과적인 방식이었으며, 지역사회를 마을공동체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였는지를 생각해본다면 상당히 의심스럽다. 또한 도움받을 대상은 스스로 무엇인가를 해야 할 가치가 있음을 스스로 찾기 어렵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의 강점(strength)을 찾기가 어렵고, 자기결정권의 권한위임을 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들이 된다.
'아프리카 아이들’ 하면 어떤 생각이 먼저 떠오를까? 적지 않은 사람들은 가난에 굶주리고 지쳐 있는 피골상접한 동들을 생각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사진 1-1]을 보자. 아이들이 안고 있는 염소는 아프리카 니제르 마라디 지역의 토종 빨간 염소로 세이브더칠드런이 지역자립사업을 위해 공급하고 있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어린이의 모습은 밝고 즐거우며, 빨간 염소가 저 아이들의 꿈으로 잘 자라나 마을의 자립을 잘 이끌어주기를 바라게 한다. 기존에 가난하고 불쌍하니 내가 돌봐 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아프리카 아이들의 모습이 아니다. 아이들은 빨간 염소를 키우며 스스로 자립의 주체가 된다. 우리가 도와주어야 살아가는 객체가 아니다. 객체가 된 아이들에게 주체적인 삶을 기대하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그러한 이미지가 생활과 문화의 형식이 되기 때문이다.
내전으로 피폐해진 소말리아를 탈출해 세계적인 모델이 된 와리스 디라(Waris Dirie)는 '아프리카 여성 할례 반대운동’을 하는 ‘와리스 디리 재단’을 만들고 여성인권운동가가 되었다. 그의 책 『엄마에게 쓰는 편지』에서 와리스는 아프리카를 돕고자 하는 이들조차 오히려 아프리카의 왜곡된 이미지를 강화시킨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1985년에 개최된 '아프리카 돕기 콘서트’에 대해서도 와리스는 세계적인 팝스타들과 정치가들이 '아프리카는 늘 도움이 필요한 대륙’이라는 왜곡된 사고방식을 고착시킨다고 비판하였다. 그래서 스스로 미래를 만들어가는 강하고 자부심이 있는 아프리카인에 대한 믿음을 확신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불쌍한 아프리카는 불우이웃돕기나 도움이 필요하지만,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아프리카는 미래의 가능성에 투자하고 지원해야 할 필요를 만들어낸다. 장애인분야에서 정상화(normalization)와 독립생활(IL, independent life) 운동이 퍼지고 있는 이유 중 하나도 장애인은 도움받는 부족한 대상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존재라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 또한 와리스의 운동방식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원천이고 이미지는 다시 문화를 재생산한다. 사회복지에서 인간존중의 가치들은 특정한 문화적 가치를 가지는 이미지들로 만들어진다. 빈곤은 끊임없이 희석되고, 사회적 약자는 빈곤층에서 다문화가정으로 대체되는 것처럼 부정적인 문화 이미지들은 끊임없이 진화한다.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에 대한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재생산해야 할 책임은 사회복지사들에게 우선적으로 있다.
참고문헌
류기형, 강대선 외 저,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6
이종복, 이성순 외 저,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양서원 2012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김동진, 박인아 외 저, 다문화복지론, 공동체 2013
김인숙 저,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 학문사 201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4.29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