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전염병] 만성전염병의 종류와 특징 및 치료예방(결핵, 한센병, 성병, 바이러스성 간염)-만성감염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전염병] 만성전염병의 종류와 특징 및 치료예방(결핵, 한센병, 성병, 바이러스성 간염)-만성감염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만성전염병

I. 결핵

II. 한센병
1. 분류
2. 역학적 특징
3. 관리방법

III. 성병
1. 매독
2. 임질
3. 연성하감
4. 제4성병(서혜임파육아종)

IV. 바이러스성 간염
1. 병원체
2. 증상
3. 감염
4. 예방

*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경과 시 농성 분비물이 소변을 통해 배출된다. 때로는 혈액을 혼합하게도 된다. 남자의 경우 치료로 곧 완치가 되나 여자의 경우 만성화되기 쉬우며 이 경우 악취가 나는 대하가 많으며, 자궁내막염, 난관염, 골반복막염 등이 되고 불임증의 큰 원인이 된다. 임균이 눈에 들어가면 농루안(풍안)이 되고 각막의 영양이 방해되어 궤양이 발생할 수 있고, 방치하면 실명하기도 한다.
3/ 진단 및 치료
국부증상으로부터 용이하게 진단이 되지만, 뇨검사로서 임균을 증명하면 확실한 진단이 된다. 치료는 페니실린 및 설파제가 사용된다.
4/ 예방
매독에 준한 예방법이 강구되며, 또한 임균은 매독 스피로헤타와 달라 건강한 점막으로부터도 감염되므로 주의를 요한다.
(3) 연성하감
1/ 병원체
1889년 Ducrey가 발견한 연쇄간균인 Haemophilus ducreyi이며, 주로 성교에 의해서 감염된다
2/ 증상
2-7일의 잠복기를 거쳐 외음부에 궤양이 생긴다. 통증은 있어도 경결이 없어서 연성하감이라 부르며, 그 궤양은 2-3주간, 길게는 7-8주간으로 반흔을 남기고 자연히 치료된다. 그러나 대퇴부 임파절이 평창하고 통증이 격해져 화농 후 파열하여 농이 나오게 된다. 매독과 동시에 노출될 수 있어 두병이 동시에 존재한다.
3/ 예방관리
매독 예방책과 비슷하며 성교 직후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는 것이 좋다.
(4) 제4성병(서혜임파육아종, Lymphgronuloma Venereum)
제4성병의 병원체는 1936년 미야까와에 의해 발견된 Virushamydia trachomatis)이다. 성교에 의해 감염 후 1~2주의 잠복기를 경과해서 서혜임파절(Inguinal gland)이 종창하고, 염증이 생길 때는 오한, 발열, 오심, 구토, 기관지염 및 피부 발진이 일어난다. 성병은 의학적으로 진단, 치료가 용이하므로 (1) 환자색출, (2) 환자진단, (3) 환자관리, 보건교육. (4) 윤락여성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IV.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과거에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던 병이 2차대전 후 유행적 양상을 띠게 되었으며, 이때에는 A형 간염이 우세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부터 B형 간염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2003년 HBS(B형 간염 남 : 920명, 여 5, 125명, 산모 B형간염 포함) 보유자가 6,045명으로 현존 전염병 중 최우선으로 퇴치하여야 할 질환이다. 향간성 virus에 의한 全身의 感染症이라 이해하는 것이 좋으며, 종래 카타루성 황달이라 알려진 것이 대부분이다. B형 간염은 3종 전염병에 준하는 지정 전염병이었으나, 1998년 1월 5일부로 제2군 전염병으로 공포되었으며, 아울러 정기예방 접종전염병으로 공포되었다.
(1) 병원체
만염 virus로 A형, B형, C형
(2) 증상
잠복기, 전황달기, 황달기, 회복기로 나누며 주 증상은 발열, 식욕부진, 황달, 전황달기에 A형 경우 감기증상이, B형 경우 위장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3) 감염
음식물을 통해 입으로 들어가 감염되는 유행성 간염 바이러스(virus A 또는 IH)와 입을 통하지 않고 수혈 혈장 또는 혈청 주사 등에 의해서 감염되는 혈철 간염 바이러스(virus B 또는 CH) 등이 있다. 유행성 간염은 40세 이하의 청년에 많고 여자보다 남자가 2배 가량 많다. 혈청 간염은 각 연령층에 평균적이며, 성차도 인정되지 않고 있다. 만성간염은 주로 B형과 C형이며, 후에 간경화나 간암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신생아기의 감염시는 80% 정도가 보균자로 되고, 성인은 5-10%만 보균자가 될 수 있다.
(4) 예방
유행성 간염(A형)은 인분을 통해서 입으로 감염되는 전염병과 같이 가족이나 주위에 환자가 나타난 경우 배설물 처리, 음식물에 주의하고 손을 청결히 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유행시 과로를 피하고 충분히 영향을 섭취, 7-globulin에 의한 피동면역이 효과가 있음이 판정되었고, 혈청 간염(B형)의 경우 문제되는 수혈은 수철제도를 매혈로부터 현혈로 바꾼 후 감염이 감소(주사기구 소독이 필요)되고 있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8.17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