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응급실 실습일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R응급실 실습일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DAY, EVE실습일지

본문내용

야 겠다.
실 습 일 지
내용
2015 년 05 월 13 일
병동 : 상무 ER 근무 : EVE
관찰 및 수행
- 응급실 전체OT
- IV lin & 수액연결,제거
- EKG 측정 교육 및 실습
- V/S 측정, BST측정
- 각종 검사 이동
- 물품 준비 및 정리
- 환자 요구사항 처치
- 침상정리, 난간
- 체위변경 ROM
- 상처부위 소독
문헌고찰
* 복부사정
- 환자의 팔을 옆으로 붙이고 복부근육이 이완되도록 무릎을 약간 굽힌 앙와위로 눕힌다.
- 우상복부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햐응로 진행해가며 시진, 청진, 타진, 촉진 순으로 검진한다.
- 타진과 촉진은 장의 활동을 증가시켜 장음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청진을 먼저한다.
1) 시진 : 모양, 운동, 덩어리, 대칭성, 흉터
2) 청진
: 장음청진 - 복부를 사분원으로 나누어서 청진, 식후 5-6시간 후 회맹판 부위에서 가장 잘 들림(다이아프램을 사용)
복부마찰음 - 비장과 복벽이 마찰되어 발생하는 소리 (간종양이나 비장경색)
혈관음 - 동맥잡음과 정맥잡음 (벨을 사용)
3) 타진
: 크기와 위치, 수분과 공기, 덩어리 등을 찾기 위해 사용, 정상적으로 복부의 타진소리는 고창음 장기(간, 비장, 췌장), 수분이나 덩어리가 있으면 탁음으로 들린다. 간과 비장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하고 방광의 팽만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복강 내에 동맥류가 의심되는 환자나 복강 내 기관을 이식술한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4) 촉진
: 덩어리, 반동압통, 직접적인 압통부위등을 사정한다. 압통부위를 조심스럽게 마지막에 촉진한다. 심부촉진으로 복강내 기관과 덩어리들의 크기와 모양을 확인한다.
자기성찰
응급실 실습동안이라도 하루하루 정해진 양의 응급관련 약물과 용어를 조금씩 공부하고 있는데 그동안 해온 양을 보니 아는게 많이 늘어난 것이 보이는 것 같다.
강점
응급관련 약어와 용어 그리고 약물에 대해 좀 더 나아진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찾아보고 질문하는 내 모습이 좋다.
약점
아직 부족하고 모자란 학습부분이 많으니 집에서 관련 서적들을 일정량씩 읽어보아야 겠다.
실 습 일 지
내용
2015 년 05 월 14 일
병동 : 상무 ER 근무 : EVE
관찰 및 수행
- 응급실 전체OT
- IV lin & 수액연결,제거
- EKG 측정 교육 및 실습
- V/S 측정, BST측정
- 각종 검사 이동
- 물품 준비 및 정리
- 환자 요구사항 처치
- 침상정리, 난간
- 체위변경 ROM
- 상처부위 소독
문헌고찰
* 화상의 분류
1) 1도 화상
1도 화상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에 국한된 열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손상 부위가 축축하며 열 접촉이나 노출된 부위의 통증, 발적 등의 증상이 관찰되며 손상 부위를 누를 경우 피부가 하얗게 변했다가 원래의 색깔로 돌아오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포는 발생하지 않는다.
2) 2도 화상
2도 화상은 표피층을 포함하여 그 아래의 진피 부위까지 열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말하며 얼마나 많은 진피 부위가 손상되었느냐에 따라 표재성과 심부성 2도 화상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표재성 2도 화상은 손상 부위의 통증과 발적, 축축한 피부, 반점 등의 증상이 관찰되며 체모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수포가 발생하며 손상 부위를 손으로 누를 경우 피부색이 하얗게 변했다가 다시 원래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심부성 2도 화상은 진피의 깊은 부위까지 손상이 일어난 것으로 피부색이 하얗거나 노란색으로 창백한 양상을 보이며 수포가 발생한다. 진피의 깊은 곳에는 땀샘과 피지샘, 모낭이 위치하고 있어 이 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마른 듯한 피부 양상과 체모의 손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그리고 피부 진피의 깊은 하부에는 신경 말단이 자리잡고 있는데 열 손상이 발생하여 신경 손상이 동반되면 통증감각이 사라지기도 한다.
3) 3도 화상
가장 심한 형태의 화상으로 표피와 진피, 즉 피부 전체의 손상이 일어난 것으로 심할 경우 뼈나 근육 손상까지 발생하기도 한다. 피부 하부에 위치한 신경, 가는 혈관, 모낭, 피지샘, 땀샘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3도 화상이 발생하게 되면 신경 손상으로 인하여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되고 자극에 대한 감각도 소실되게 된다. 피부는 창백하고 마르게 되며 숯처럼 새까맣게 탄 병변이 관찰된다. 그리고 가죽 같이 딱딱한 피부 표면이 관찰되기도 한다.
자기성찰
응급실 실습의 거의 끝이 다가오고 있는데 그동안 배운 것들을 종합하고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고 생각을 했다.
강점
CASE SUTDY를 하고 EVE로 병원실습을 함에도 불구하고 피로한 기색없이 성실히 수행한 것 같아 기쁘다.
약점
몸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감기에 걸린 것 같아 속상하다.
실 습 일 지
내용
2015 년 05 월 15 일
병동 : 상무 ER 근무 : DAY
관찰 및 수행
- 응급실 전체OT
- IV lin & 수액연결,제거
- EKG 측정 교육 및 실습
- V/S 측정, BST측정
- 각종 검사 이동
- 물품 준비 및 정리
- 환자 요구사항 처치
- 침상정리, 난간
- 체위변경 ROM
- 상처부위 소독
문헌고찰
* 욕창의 호발 부위
1) 골격이 노출된 부위
- 앙와위 : 발꿈치, 천골, 팔꿈치, 견갑골, 뒷머리
- 복와위 : 발꿈치, 무릎, 가슴
- 반좌위 : 발꿈치, 천골, 좌골
2) 연조직으로 싸인 부위
- 코구멍, 입, 눈 주위
- 배뇨관 삽입 주위
- 항문 주위
3) 피부끼리 맞닿는 부위
- 귀 뒤
- 사타구니
- 엉덩이
*욕창의 일반적인 증상
- 압박이 없는데도 계속 붉은 피부
- 갈라지고 물집이 생기고 벗겨지며 터진 피부
- 피부표면 또는 더 깊숙이 침윤된 개방성 상처부위
- 압박된 부위의 통증
자기성찰
마지막 날이라 내가 그동안 무엇을 익혔으며 그 전에 비해 어떤 점들이 발전하고 나아졌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았는데 아직 미숙하지만 그동안의 노력으로 인해 조금이나마 성장한 것 같아 뿌듯하다.
강점
지금까지의 모든 실습을 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별다른 실수 없이 잘 수행해 낸 것같아 좋다.
약점
모자란 부분에 대해서는 혼자서라도 조금씩 학습해야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9.05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8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