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자궁경관염, 골반염증성질환, 골반결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자궁경관염, 골반염증성질환, 골반결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Ⅱ. 본론 ----------------------------------------------------

1. 자궁경관염(Cervicitis)
2. 골반 염증성 질환(PI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3. 골반결핵 (Pelvic tuberculosis)


Ⅲ. 결론 ----------------------------------------------------

Ⅳ. 용어정리 및 사진참조 ---------------------------------

Ⅴ. 참고문헌 -----------------------------------------------

본문내용

에 나타난 덩어리 , 만성 또는 치료 불능성 부속기 질환 등이 있으면 신중한 진찰 필요
- 난관질환을 가지고 있는 여성의 약 50%가 결핵성 자궁내막염을 갖고 있으므로 질환 의심부위에 소파(curettage)를 시행함
- 자궁내막결핵의 진단은 월경혈의 세균학적 배양이나 자궁내막의 흡입 배양에 의해 내려짐
- 효과적인 것은 제거한 자궁내막을 직접 배양 하는 것(월경 전기에 가능한 소파를 얻어서 하는 것이 좋음)
4) 치료 및 간호
약물요법
내과적 약물요법은 난관 내부가 뚫려 있고 임신을 원하며 통증이 없는 경우에만 한 함
항결핵제는 INH, ethambutol, rifampin(RFP), pirazinamide(PZA)와 streptomycine(SM)이 사용됨
치료효과는 6~12개월마다 내진을 포함한 자궁내막검사를 반복함
95% 이상의 환자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며 , 약제투여 후 2주일 내에 전염성이 소실 됨
수술요법
수술요법은 1년간의 화학 요법에도 재발되거나 장기간의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 난관 부속기에 통증과 종괴가 지속적으 로 촉지 될 때 적용됨
수술요법은 40세 이상의 여성인 경우 자궁절제술과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을 하는 것이 이상적임
수술 전에 항결핵제 치료제가 1개월 정도 선행되면 치유가 빠름
수술 후에도 반드시 항결핵 화학요법을 시행하여야 함
- 골반결핵의 치료는 전통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맑은 공기와 좋은 영양을 섭취하는 고식적 요법과 내과적 및 수술요법이 적용됨
Ⅲ. 결론
우리는 package 과제를 통해서 생식기 감염 문제인 자궁경관염, 골반염증성 질환, 골반결핵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궁경관염은 질병 경과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진하고 끈적거리는 농성 대하, 자궁경관에 혈관성 미란, 성교 후 점적출혈이 있다. 그 밖에도 급 임균성, 클라미디아, 요도감염, 세균성 감염, 만성 경관염이 나타난다. 치료와 간호로는 원인균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고, 만성 병소의 치료는 냉동요법, 소작법, 원추 절제술 등이 있다. 골반염증성 질환은 여러 종류의 균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위험요인으로는 이전에 골반염증성 질환의 병력 또는 성병의 병력이 있거나, 특히 성활동이 활발한 청소년과 생식연령의 젊은 여성에서 감염의 기회가 3배 이상 높다. 급성증상으로는 심한 월경통, 악취가 나는 농성 질 분비물, 고열과 오한, 빈맥, 오심과 구토, 백혈구 증가증, 권태감 등이 있으며, 만성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질출혈과 대하증, 그리고 방광자극 증상으로 빈뇨, 배뇨 곤란, 이급후증이 나타날 수 있다. 급성 골반염증성 질환의 주된 치료는 원인균에 따른 광범위 항생제 투여이며, 특별히 골반 농양, 난관-난소 농양 및 Fitz-Hugh-Curtis 증후군 등의 활동성 감염 환자는 입원을 필요로 한다. 골반결핵은 생식기와 그 주위의 골반강에 결핵균이 감염된 것으로 여성불임, 월경불순, 만성적인 하복통, 복수 및 심한 골반유착 등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감염 빈도는 가임기 여성의 10~15%이며, 골반결핵 환자의 50%에서 폐결핵 병력이나 X선상 증거를 갖고 있거나 늑막염, 복막염, 홍반성 결절, 신장 및 뼈 결핵이 있다. 치료는 전통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맑은 공기와 좋은 영양을 섭취하는 고식적 요법과 내과적 및 수술요법이 적용된다. 우리는 이러한 내용들을 토대로 생식기 감염 환자들에게 좀 더 전문적이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Ⅳ. 용어정리 및 사진 참조
약물명
효능 및 효과
cefoxitin
폐렴과 폐 농양 등 하기도 감염증, 복막염, 임질, 복부내 농양 등 복부내 감염증, 자궁내막염, 골반연조직염 등 부인과 감염증, 패혈증, 골 및 관절 감염증 등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항생제이다.
ceftriaxone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이비인후과 감염증,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패혈증, 수술 전후 감염예방,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감염증 등 여러 감염증에 쓰이는 항생제이다.
probenecid
처음에는 페니실린의 혈중농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신뇨세관의 분비를 억제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약물이나, 현재에는 요산배설촉진약으로서 통풍 치료에 이용된다. 작용기서는 신뇨세관에서의 요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것이다. 만성통풍환자에 안전하게 장기투여할 수 있는 약물이다. 살리틴산 유도체는 프로베네시드에 대해서 길항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병용해서는 안된다.
doxycycline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 리케치아, 비루스에 작용하는 항원충제로 폐렴, 매독, 탄저, 편도염, 기관지염, 림즈절염, 임질, 자궁내감염 등에 사용한다.
ofloxacin
화학료법제로 모낭염, 림프관(절)염, 접촉성 여드름, 인후두염, 중이염, 기관지염, 폐렴, 신우신염, 방광염, 임균성요도염, 비임균성요도염, 자궁부속기염, 자궁내감염, 바르톨린샘염 등에 쓰인다.
clindamycin
농흉, 폐렴, 폐농양, 편도염, 인두염, 기관지염, 중이염, 부비동염, 성홍열, 부스럼, 피부농양, 농가진, 연조직염, 복막염, 복강내농양, 자궁내막염, 비임균성 난관난소농양, 골반연조직염, 질커프수술 후 감염증, 패혈증, 농포성여드름, 창상감염 등에 쓰이는 항생제이다.
metronidazole
트리코모나스증, 혐기성균 감염증 : 복부내감염증(복막염, 복부내농양, 간농양 등), 피부 및 피부조직 감염증, 부인과 감염증(자궁내막염, 자궁실질내막염, 난관, 난소농양 등), 세균성 패혈증, 골 및 관절 감염증, 중추신경계 감염증(뇌종양, 뇌수막염 등), 하기도 감염증(폐염, 농흉, 폐농양 등), 심내막염, 수술후 감염증의 예방에 쓰이는 항원충제이다.
열상 된
자궁경부 외번
냉동치료법
(cryotherapy)
소작법
(cauterization)
원추 절제술
(conization)
난소주위염
(perioophoritis)
골반염증성 질환의 전파 경로
양측성 화농난관
Ⅴ. 참고문헌
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2).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pp.426~435.
2. 김혜원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pp.196~198.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6.10.16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6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