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육에서 뒤르껭, 콜버그, 가치명료화, 배려윤리, 인격교육론의 의미와 한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교육에서 뒤르껭, 콜버그, 가치명료화, 배려윤리, 인격교육론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뒤르껭 이론
2. 콜버그 이론
3. 배려윤리 이론
4. 가치명료화 이론
5. 인격교육(≒덕 교육)론

본문내용

통해 길러야 할 바람직한 인격을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상호 연관성과 일치를 강조하고 있다. 협동학습은 학생들에게 협동심과 상호존중, 민주적 의사결정의 방법을 가르쳐주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감정이입과 동정심 등의 가치를 일깨워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반복된 학습을 통해서 실천력을 높인다.
인격교육론의 한계점은 가정이 인격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참여하는 것이 현대 사회에서 실제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교사를 부모로 둔 아이와 같은 경우에는 저녁에 아이와 함께 올바른 훈육을 통한 교육이 가능하다. 하지만 교사인 부모의 학교와 아이 학교의 학부모회의 시간이 겹쳐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 외의 바쁘게 직장 생활을 하는 부모님들도 정기적으로 열리는 학부모회의 등의 참석여부가 정확하지 않다. 두 번째로 인격교육론은 교육방법 중에 분류를 하자면 교화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의 직접적인 실천이 행해지지만, 교화를 통한 습관의 결과이기에 학생들이 의존적인 인격체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다원주의 사회에서 각각의 개인마다 생각하는 올바른 인격의 형태는 다르다. 다양하기도 하고 바람직한 인격이 존재하지만, 그에 반해 바람직하지 못한 덕도 흩뿌려져 있는 사회가 현재이다. 가정, 교사, 학교, 정부의 합의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은 채, 덕 교육을 학교와 가정에서 제대로 실시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모범적인 교사와 부모는 많아도 그들이 모두 같은 덕과 인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도 없고, 그에 따라 학생들도 올바른 인격을 배우는 데 있어서 누구를 따라야 할지 혼란스러워 할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11.07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2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