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상담의과정과실제_주변의 사례 혹은 드라마, 소설 및 영화 속 주인공을 가상의 내담자로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개인 상담을 실시할 때 1) 상담을 하기 위한 준비사항, 2) 접수 면접 과정, 3) 상담의 초기 단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인상담의과정과실제_주변의 사례 혹은 드라마, 소설 및 영화 속 주인공을 가상의 내담자로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개인 상담을 실시할 때 1) 상담을 하기 위한 준비사항, 2) 접수 면접 과정, 3) 상담의 초기 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상담을 하는 것의 중요성.

본론
- 상담을 하기 위한 준비사항- 차이를 배운다.

접수 면접 과정-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상담의 초기 단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문제를 안고 있는 사람에게서 찾아라.


결론
- 상담 초기 까지가 상담의 성패를 결정한다.

참고논문 (APA 양식)

본문내용

패를 결정한다.
이 글을 통틀어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상담이란 개인이 그 자신도 모르고 있는 마음을 알 수 있는 도구로 매우 유용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그 성패를 가르는 것은 상담 초기 단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초기 과정에 첫째로 포함 되는 것으로는 내담자와 상담자의 다름을 인정한 후 차이를 인식하고 상담자가 그것을 가능한 많이 배운다는 준비 과정이 있다. 둘째로, 내담자(또는 내담자의 보호자)가 상담의 필요성을 느끼고 상담을 신청 한 후 그에 대한 상담 신청서를 (가능한 내담자 본인이 직접) 작성하고 나서 이 상담 신청서에 적힌 인적사항이나 사회적 배경, 호소의 내용 등을 근거로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한 가능한 빠른 파악을 한 후 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최대한 깊고 정확한 공감을 표시하고 이는 내담자가 추후 상담을 이어갈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상담 초기에는 상담자는 동행인의 자세로 내담자에게 무엇이든 이해받을 수 있고 수용된다는 느낌을 주면서 상담을 진행해야 하며 내담자가 섣불리 낙담스러운 결론을 내어버린 후 상담에 대해 포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 ‘초보자 심리’를 통한 내적 대화를 통해 해결안을 내담자 스스로한테서 얻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상담 초기 단계에 상담을 포기할 수 있게 하는 장애물들이 존재하지만 내담자가 이를 잘 피해갈 수 있도록 하는 것 뿐 아니라 그 후에 이뤄질 상담들에 대한 첫 단추를 잘 끼우는 것은 내담자의 태도도 중요하지만 상담자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상담자가 얼마나 계획적으로 상담의 초기 단계까지를 수행하는 가가 중요한 상담의 성패를 가르는 사항이 될 것이다.
참고논문 (APA 양식)
조상희, Jo, S. H., 천성문, & Cheon, S. M. (2003). 정신분석학과 유식학의 정신구조 비교 -상담장면에서 내담자 이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4(1), 167.
홍성하. (2012). 다문화 상담에서의 감정이입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철학, 112, 193-224.
박현주, Park, H. J., 김광웅, & Kim, K. W. (2013). 접수상담의 개념 및 내용에 관한 문헌고찰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6(2), 107.
권수영, & Kwon, S. Y. (2010). 초기 상담에 있어서의 코칭과 상담의 통합적 만남: 단기질문중심치료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0, 29.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2.28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