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간호(1. 재활과 관련된 개념 2. 재활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 문제 3. 재활 간호 중재 4. 협력적 재활 치료 5. 간호 사정 6. 간호 진단 7. 간호 수행)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간호(1. 재활과 관련된 개념 2. 재활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 문제 3. 재활 간호 중재 4. 협력적 재활 치료 5. 간호 사정 6. 간호 진단 7. 간호 수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재활과 관련된 개념
2. 재활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 문제
3. 재활 간호 중재
4. 협력적 재활 치료
5. 간호 사정
6. 간호 진단
7. 간호 수행
-참고문헌

본문내용

t belt)를 착용함
이동하기 전에 간호사는 잠재적인 문제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함
-흔히 나타나는 기립성 저혈압은 대상자가 누워 있거나 앉아 있다가 갑자기 체위를 바꿀 때 혈압이 떨어지면서 환자는 현기증을 느끼고 창백해지는 현상을 말함
이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환자는 가능한 천천히 움직이도록 하고, 움직일 수 없는 대상자는 경사침대를 사용하여 서는 훈련을 할 수 있음
(3) 보행훈련(Gait training)
- 대상자가 이동할 수 있다면 물리치료사는 보행훈련을 시켜야 함
- 보행능력을 회복할 때까지 목발, 지팡이 또는 보행기를 사용함
- 물리치료사는 이동보조기구(ambulatory aids)를 사용하는 대상자의 걷기 수준을 확인함
-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물리치료사의 지시를 강조하고 수행을 격려함.
노인들은 광범위한 지지를 위해 보행기를 사용함
젊거나 장애 정도가 적은 대상자는 hemi-cane 또는 straight cane을 사용함
(4) 물리치료(Physical therapy)
물리치료는 재활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치료법으로 열, 냉, 물, 광선, 운동, 전기, 초단파와 같은 물리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으로 비교적 부작용이 작고 사용 범위가 넓음
(5) 합병증 예방
- 재활 기간 동안 대상자는 부동의 합병증에 쉽게 노출됨
* 부동의 합병증 예방
합병증
예방방법
근골격계
경축
족하수(foot drop)
골다공증
골절의 가능성
근위축
위장관계
변비
심맥관계
심박출량 감소
정맥정체 증가
심부정맥 혈전증
색전증
신경계
지남력 상실
기립성 저혈압
신장/비뇨기계
신결석
호흡기계
흡인성 폐렴
피부계
욕창
ROM 운동
침상에서 발 지지
ROM 운동
체중부하 운동
수동 또는 능동 ROM 운동
활동 수준의 증가
수분 섭취의 증가
ROM 운동
운동, 긴 양말로 지지 혹은 항색전스타킹 착용
운동, 탄력스타킹 착용 혹은 항색전스타킹 착용
다리 마사지는 금기
밤낮의 변화에 따라 수면-각성 시간표
사람 장소 시간을 재인식시킴
감각적 자극을 조절
갑작스런 체위변경을 금지
식이에서 칼슘 수준을 감소
수분 섭취의 증가
산성 소변을 유지
잦은 체위 변경
호흡운동
잦은 체위 변경
압력 제거 장치
피부간호
적절한 영양
규칙적인 ROM 수행, 규칙적인 체위변경 및 피부 관리를 하는 것은 부동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
ROM 운동은 기동성이 감소된 대상자에게 기동성을 증가시키는 데 매우 유용
* ROM 운동의 종류
수동운동(passive exercise) : 대상자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치료사나 간호사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이며, 관절의 운동범위를 크게 유지하고 순환을 유지하기 위해서 시행
능동보조운동(active assistive exercise) : 대상자가 치료사나 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수행하는 운동으로, 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실시
능동운동(active exercise) : 대상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수행하는 운동으로, 옆으로 돌아눕거나 서거나 앉는 것을 포함
저항운동(resistive exercise) : 손이나 기계가 만들어낸 저항 하에 대상자가 수행하는 능동적 운동으로, 근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
신장운동(stretching exercise) : 관절강직이 있거나 연부조직이 수축되었을 때 실시하며, 치료사나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근육을 신장시키는 운동
2) 자가간호 결핍
식사, 목욕하기, 옷 입기, 몸 단장하기, 그리고 대소변 보기 등을 포함함
간호사와 작업치료사는 대상자가 최대한 자가간호활동을 스스로 수행하도록 격려하고 함께 노력함
편마비 대상자가 셔츠를 입을 때 손상된 팔 쪽을 먼저 입고 그 다음 건강한 팔 쪽을 입도록 가르칠 수 있음
3) 피부통합성 손상위험
욕창을 성공적으로 예방하고 치유하기 위해 다양한 국소적, 역학적 치료를 사용하여 왔음
대상자의 체위를 바꾸어 주거나 매트리스 표면의 물리적 상태를 바꾸는 것은 압력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임
4) 배뇨 장애
- 신경계 불구를 가진 환자는 재활과정을 수행하더라도 방광조절에 성공하기 어려움
기능적 분류
신경학적 기능장애
임상증상
배뇨양상의 회복
반사성(경련성)
T12 이상의 상위운동
신경절 척수 손상
빈뇨 실금
Triggertin 또는 촉진기법, 투약
이완성
T12 이하의 하위운동
신경절 척수 손상
요정체
Valsalva와 Creda 기법, 투약
비억제성
외상, 뇌졸중으로 뇌손상
빈뇨 급뇨 실금
소량의 배뇨
간헐적 도뇨
규칙적인 수분섭취
규칙적인 배뇨시간
* 배뇨장애의 관리
5) 변비(Constipation)
(1) 배변훈련
간호사는 대상자와 함께 과거에 사용한 습관과 최대한 유사하게 배변스케줄을 작성
손상 이전에 매일 아침에 대변을 보던 대상자라면 같은 시간에 배변 하도록 스케줄을 작성하며, 때로는 대상자가 자신의 일상생활에 가장 적합한 다른 시간대를 선택하도록 함
6) 비효과적인 대응
장애 대상자는 구조적, 기능적 변화로 인한 신체상의 변화 때문에 자아개념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음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고, 대상자의 장애에 대한 수용 정도와 대응능력을 사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음
장애는 개인의 사회적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데, 간호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주의 깊게 반응하고 대상자와 대화하는 것을 피하지 않도록 함
간호사는 대상자의 손상 전 대응전략 및 지원체계를 사정하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정신적 및 종교적 신념이 매우 중요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맞는 지원방법을 찾아야 함
7) 지역사회 기반 재활간호
대상자의 퇴원계획은 입원기간 동안 계획하여, 재활기관으로 이동할 때 대상자가 변화된 일상생활에 적응 할 수 있도록 하며, 자가 간호의 중요성을 강조
만성 질환과 불구가 있는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가정간호, 일상생활활동(ADL)에 대한 도움, 간호, 물리 치료나 작업 치료가 필요할 것임
참고 문헌
1. 김금순 외. (2015).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페이지 : 76~102
2.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페이지 : 251~260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7.01.20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