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더니즘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더니즘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모더니즘
2. 아도르노 ― ‘미메시스’
3. 리오타르 ― 포스트모더니즘

본문내용

「6장 :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용어는 현대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모더니즘과 포스
트모더니즘 현대화 등과 같은 용어들은 종종 그 의미들이 뒤섞여서 사용된다. 가장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는 용어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일 것이다.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살
펴보기 전에 먼저 모더니즘에 대한 맥락과, 연장선상에 있는 아도르노의 미메시스를 간략하게 짚
고자 한다. 나아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모더니즘
모더니즘은 ‘주체’가 ‘객관적 현실’과의 단절에서 오는 ‘소외’의 상태이다. 나아가 주체와 타자
간 ‘총체성’1)을 상실한 것을 말한다. 총체성을 잃어버렸다는 것은 어떠한 인간관계도 맺을 수 없
다는 것을 뜻한다. 나아가 파편화된 삶을 지칭한다. 그 삶 속에는 개개인이 소외의 상태로 고립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삶의 요인으로는 ‘도구적 합리성’을 들 수 있다. 도구적 합리성은 모든
판단의 기준을 주체의 개인적 사고에 중심을 둔다. 주체의 내면에 모든 판단기준이 중심이 되면,
주체 상호 간의 유대가 사라지며 개인적 주체는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타자를 도구화하게 된
다. 주체는 모든 사물의 판단기준을 이성으로 설정함으로서 ‘자율적인 주체’를 추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동체의 분열 현상은 ‘고독한 개인’이라는 근대를 탄생시켰다. 근대인은 주
체적 삶에 있어서 자유로울 수 있지만 그와 반대로 자유롭지 못하다. 왜냐하면 주체는 자신이 스
스로 판단 할 수 있는 자율성은 지녔지만, 타인과의 인간관계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
은 총체성의 상실(공동체적 삶의 분열)이라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의한 것으로 어떤 식으로든
그것을 극복하려는 모험을 시도하는 것이 근대인의 모습이다.2)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2.02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1017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