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종교] 맥레이의 <교회 예술과 건축>, 카레츠키의 <불교 예술과 건축>, 바크만의 <이슬람 예술과 건축>(시그마북스, 2016) 가운데 2권을 선택하여 두 종교의 예술과 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종교] 맥레이의 <교회 예술과 건축>, 카레츠키의 <불교 예술과 건축>, 바크만의 <이슬람 예술과 건축>(시그마북스, 2016) 가운데 2권을 선택하여 두 종교의 예술과 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회 예술과 건축의 특징
2. 불교 예술과 건축의 특징

Ⅲ. 결론 (두 종교의 예술과 건축의 특징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항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과 달리 밀교는 상호 대립하는 힘들 간의 화합을 목적으로 삼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악을 우주 체계의 일부로서 받아들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교회 예술과 건축 및 불교 예술과 건측의 특징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교회 예술과 건축의 특징 중 하나는 예배 장소로서 교회뿐만 아니라 묵상 장소로서 수도원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는 불교가 성역으로서 사찰에서 승려들이 생활하며 도를 닦고, 신자들이 예불을 올리는 것과 달리 묵상의 장소와 예배의 장소가 상호 분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회 예술과 건축은 교회와 수도원을 중심으로 발달해나가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교회는 신자들로 하여금 그리스도교의 역사와 교리를 설파하기 위해 다양한 장식품과 벽화, 내부 장식을 통해 그리스도교의 교리를 말과 글이 아닌 그림으로도 설명하고자 했다. 또한 수도원은 외진 곳에 자리 잡고 있어, 묵상을 위한 최적의 장소로서 역할하고 있다. 이러한 수도원의 특징으로 인해 지금도 대다수의 수도원들은 도심이 아닌 외곽 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회는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로서 벽면의 스테인드글라스, 모자이크, 빛과 조화를 이루는 돔 형태의 지붕은 교회 예술과 건축을 상징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 틀림없다.
불교 예술과 건축의 가장 큰 특징은 자신들의 종교를 외국에 전달할 때 매우 유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습은 불교의 포교자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그들은 불교 포교지역에서 조차 기존의 전통 신앙에 대해 반대하지 않았지만 해당 지역에서 믿고 있는 토착신 역시 업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불교는 세계의 다양한 지역에서 해당 지역의 문화와 어울러져 매우 빠르게 융합하고 문화에 적응해나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불교는 성역과, 불상, 여러 신과 밀교라는 4가지 특징을 통해 자신들만의 예술과 건축양식을 발전시켜나갔다. 불교 예술과 건축은 교회 예술과 건축과는 달리 석가모니와 여러 신들의 상징으로서 석상이 매우 많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참고자료
김태현·이금룡·성미애(2014). 노인복지론,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헤더 손턴 맥레이 저, 최지원 옮김, 교회 예술과 건축, 시그마북스, 2016
퍼트리샤 아이헨바움 카레츠키, 박선영 옮김, 불교 예술과 건축, 시그마북스,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2.21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9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