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결석 케이스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로결석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본 론
1. 문헌고찰<주제:요로결석(urinary stone)>
1)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정의------------------------------------------------------
2)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종류------------------------------------------------------
3)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병태생리-------------------------------------------------
4)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원인------------------------------------------------------
5)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증상------------------------------------------------------
6)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진단------------------------------------------------------
7)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치료 및 간호---------------------------------------------
8) 요로결석(urinary stone)의 예방------------------------------------------------------

2. 간호 과정을 적용한 임상사례연구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 신체검진------------------------------------------------------------------------------
3) 검사 소견-----------------------------------------------------------------------------
4) 의학적 치료 계획--------------------------------------------------------------------
5) problem list--------------------------------------------------------------------------
6) 간호과정------------------------------------------------------------------------------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통제의 양을 의미한다.
2. 대상자에게 통증척도를 10점 만점으로 적용하여 현재 통증의 심각성을 파 악 할 수 있다.
3. 극심한 통증 시 : v/s 측정 시 맥박과 혈압, 호흡 등이 증가한다.
마약성 진통제 투여 시 : v/s 측정 시 혈압과 호흡이 감소한다.
4. 반좌위는 호흡을 하기 좋게 한다.
평 가
1. 진통제 투여 후 “통증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요” 라고 말했다.
2. 통증척도 10점 만점에 9점이였으나, 4점이라고 말했다.
3. BP: 130/90, P: 88, R: 24, T: 36.8였던 v/s이 BP: 110/60, P: 72, R: 20, T: 36.7로 check됐다.
4. 대상자는 반좌위를 취하고 있으며 평온한 모습을 보였다.
5. 얼굴색이 정상 피부색으로 돌아왔으며 더 이상 이마에 식은땀이 나지 않는다.
#2. 소변을 볼 때 심한 통증과 관련된 배뇨장애
사 정
<주관적 자료>
“소변을 볼 때 너무 아파요”
“평상시에 물은 잘 안먹어요”
<객관적 자료>
소변을 볼 때 많이 아프다고 말한다.
물을 잘 드시려 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진 단
소변을 볼 때 심한 통증과 관련된 배뇨장애
목 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배뇨장애가 사라졌다고 말한다.
<단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하루에 한번 3일동안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받는다.
② 대상자는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받은 후에 소변을 볼 때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말한다.
③ 대상자는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받은 후 하루에 물을 3L이상 섭취하고 있다고 말한다.
④ 대상자는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받은 후 하루에 2L이상의 소변을 보고 있다고 말한다.
계 획
1.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2. 많은 물의 섭취를 권장한다.
3. I&O를 check한다.
4. 배뇨유형을 감시한다.
5. 결석이 체외로 배출되는지 확인한다.
6. 환자의 보행을 권장한다.
7.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받는다.
수 행
1. 통증시 SCD Ketoprofen 100mg을 IV로 INJ한다.
2. 18시에 하루에 물을 3L정도 섭취하고 배설량이 2L이상되어야 함을 설명한 다.
2-①. 경구 또는 정맥으로 수액을 투여한다.
3. I&O를 지속적으로 기록한다.
4. 배뇨 유형을 감시하고, 핍뇨나 무뇨를 보고한다.
5. 하루에 한번 3일동안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받는다.
6. 환자의 보행을 권장하고, 필요시 환자의 보행을 돕는다.
<이론적 근거>
1. 배뇨시의 통증을 감소시켜준다.
2. 수분섭취나 수액처치로 소변량을 증가시킬 경우 4mm 이하의 결석은 4주 이내에 90%에서 자연 배출 된다. 또한 많은 양의 수분섭취는 소변 농도를 감소시키고, 적절한 배설량을 유지시킨다.
3. I&O를 check 함으로서 배설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4. 배설의 유형으로 대상자의 심각성을 알 수 있으며, 현재 상태를 알 수 있 다.
5.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시행하면 결석이 파괴되어 통증을 감소시켜준다.
6. 보행은 결석이 배출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평 가
1.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해 SCD Ketoprofen 100mg을 IV로 INJ하였으며, 투여 후 동통이 가라앉았다고 말했다.
2. 대상자는 하루에 물 3L 정도를 섭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3.1째날
2째날
3째날
INTAKE
OUTPUT
INTAKE
OUTPUT
INTAKE
OUTPUT
2840
2760
2680
2530
2980
2800
I&O를 check했다.
4. 체외충격파 쇄석술(ESWL) 후에 약간의 혈액이 보이나 곧 괜찮아 진다고 말 했으며 평상시엔 맑은 소변이 잘 나온다고 말했다.
5.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배뇨시 통증 호소의 빈도가 줄었다고 말한다.
6. 시간이 날 때마다 병동 안을 걷고 계시는 모습이 보인다.
Ⅲ. 결 론
요로결석을 통하여 ESWL(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체외충격파 쇄석술)에 대하여 공부하게 되었다. ESWL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지름 2cm 이하의 결석에 사용할 수 있다. 고에너지 충격파를 결석에 직접적으로 가하여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해시킨다. 이때 X-ray로 결석의 위치를 확인한 후, 결석에 충격파을 가한다. 예전에는 수술을 통하여 결석을 제거하곤 했지만, ESWL는 후유증 및 합병증이 극히 드물며, 임산부 및 출혈성 질환을 제외한 거의 모든 환자에게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어 많이 시행된다. 상기 환자도 3번의 ESWL을 받고 퇴원하셨는데, 처치를 받으신 후에도 잠시 안정 후엔 큰 통증 없이 병동에서 운동을 하시는 등 일상활동을 하는데 불편이 없어 보였다.
또한 요로결석의 신성통이라는 극심한 통증이 어떤 통증을 말하는지 직접 느낄 수 있었다. 상기 환자는 요관의 결석으로 옆구리 동통의 급성 통증으로 무척이나 아파하셨는데 얼굴의 식은땀과 창백, 맥박 88회, 호흡 24회로 통증의 정도가 얼마나 심한지를 간음할 수 있었다. 이런 신성통은 복부와 고환, 음부 까지 방사되는데 한번 시작된 참을 수 없는 통증은 Pethidine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를 맞고서야 가라앉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상기 환자는 초음파 검사 없이 X-ray와 CT를 통해 결석의 위치와 크기를 알 수 있었으나 초음파 검사로도 위치, 크기 무엇보다 요로결석으로 인한 2차적 변화를 알 수 있어 유용한 검사라고 할 수 있다.
요로결석은 치료 후에도 5년 이내에 다시 재발될 확률이 50%라고 알려져 있어 예방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섭취이다. 하루에 물 2~3리터 정도를 마시는 것이 좋은데 음료는 결석 형성의 요인인 수산을 함유하고 있음으로 피해야 한다. 또한 육류 섭취를 줄이고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포타슘이 많이 함유된 음식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다. 짜게 식사하는 습관도 삼가야 하는 등 환자의 생활습관의 개선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전시자 외 공저, 제4판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05, 194~198쪽
Sigma Theta Tau Lambda 편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4, 1060~1067쪽
한국 요로결석연구회 → www.stone75.com
www.druginfo.co.kr
  • 가격1,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7.03.0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2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