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 & varix bleeding 치료 및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C & varix bleeding 치료 및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간의 구조 및 기능
1) 간의 구조
2) 간의 기능
2. 간경화증(liver cirrhosis, LC)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유형
5) 임상증상
6) 합병증
7) 진단 및 검사
8) 치료와 간호

본문내용

상자의 질문에 답한다.
-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체중을 측정한다.
- 대상자에게 미리 소변을 보게한다.
- 대상자의 침대 머리쪽을 상승 시킨다.
- 제거한 복수량을 측정하고 정확히 기록.
- 검사를 위해 복수를 채집하고 라벨을 붙여 검사실로 보낸다.
- 카테터 제거 후 천자부위 드레싱을 한다.
- 안정을 취해 준다.
- 복수천자 후 대상자의 몸무게를 측정 : 차트에 전/후 몸무게 기록
d. 체위
- 과다한 복수는 호흡곤란을 일으킴. 침상 머리를 30도 정도 높여주어 호흡곤란을 완화.
- 똑바로 앉은 자세에서 대상자의 다리를 올려주어 부종 및 호흡곤란을 완화.
e.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
- 수분과 전해질의 변화를 모니터 하기 위해 적절한 검사물 채취(예 : Hct, BUN, 단백질, Na/K 수준)
-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
- 몸무게를 매일 측정하고 변화를 관찰.
- 수분정체의 징후 및 증상 관찰.(부종, 호흡시 나음과 수포음, 복부 둘레의 증가)
- V/S관찰.
- 필요시 처방된 전해질 투여.
② 외과적 관리
a. 복강정맥 우회술(peritoneovenuous shunt),
문맥대정맥 우회술(portocaval shunt)
- 복강정맥 우회술(peritoneovenuous)은 복강내의
복수를 상대정맥으로 흘러들어 가게 함
- 합병증 : 감염, 혈전증
b. 경정맥 간내 문맥계 우회술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al systemic shunt,TIPS)
- 교정이 힘든 복수와 정맥류 출혈 조절
c. 수술 후 간호
- V/S관찰.
- 복수액은 정맥으로 흘러 들어 가기 때문에 정맥 혈량이
증가되어 중심정맥압과 폐동맥압이 증가 한다.
- 청진시 수포음이 들리면 폐에 수분이 축적.
- 체내 수분 과다 시 Laxis와 같은 이뇨제 투여.
- 몸무게와 복부 둘레 측정과 I/O 측정 및 기록.
③ 출혈관리
- 혈액 응고장애와 출혈 예방 약물 투여.
- 혈액 응고 장애와 빈혈시 신선냉동혈장(fresh frozen plasma), Vit k 투여.
- 출혈시 농축절혈구(packed red blood cell) 수혈.
a. 약물요법
- 식도정맥류 대상자는 propranolol(inderal LA)와 같은 장기작용 베타차단제 투여(심박동 수가 감소하고 간정맥압이 저하되면 출혈 위험성 감소)
b. 위 삽관(gastric intubation)
- 토혈이나 혈변 등 위장출혈이 있는 경우 비위관을 통해 위세척을 한다.
c. 내시경 고무 결찰(endoscopic band ligation)
- 내시경을 통해 작은 ‘O' 밴드를 정맥류의 아래 부분에 끼워 혈액을 차단시켜 잘라내는 방법.
d. 경하제 주사 요법(sclerotherapy)
- 내시경을 통해 정맥류 부위에 경하제를 주사하여 출혈을 멈추게 한다.
e. 식도 위 풍선 탐포네이드(Esophagealgastric ballon tamponade)
- 식도정맥류의 출혈이 위세척으로 효과가 없을 시 시행하여 일시적 출혈 조절.
- 출혈부위에 두 개의 풍선을 사용하여 하나는 식도를 압박하며 하나는 위에 고정하여 출 혈부위를 압박.
튜브 삽인 전 간호
- 튜브의 풍선이 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공기를주입 하거나 빼본다.
- 각각의 관에 명칭(식도관 또는 위장관)을 표시한다.
- 의식이 있는 대상자는 삼키는 동작을 하게 하고 튜브를 삽입한다.
- 협조가 어려운 대상자는 약간의 진정제를 투여한다.
- 튜브가 제위치에 제대로 들어간 것을 확인한 후 위의 내용물을 흡인하고 세척한다.
- 풍선에 적절한 양의 공리를 주입하고 해당 관을 잠근 후 튜브에 적절한 저항이 느껴질 때 까지 부드럽게 뒤로 당긴다.
-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머리 위로 0.45kg 무게의 견인장치를 적용 할 수도 있다.
- 풍선의 압력 모니터.
합병증 : 가장 흔한 합병증은 흡인(대상자가 혈액과 위 내용물 흡인시 폐렴)과 기도의 폐색(튜브의 위치가 부적절시 기도폐색과 질식) 이다.
- 대상자의 호흡 상태 확인.
- 침상 옆에 반드시 외과용 가위를 준비.
- 질식이나 흡인의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튜브의 말단부분을 잘라 압력을 제거.
- 출혈이 조절 된 후 견인을 완화시키고 식도압력을 점차 감소 시킨다.
- 풍선을 제거할 때는 먼저 풍선의 공기를 제거한 다음 튜브를 빼낸다.
f. 수혈
- 대상자의 혈액형을 확인하고 혈액 준비가 될 때까지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굵은
바늘을 이용하여 수액제제와 혈장 같은 교질용액을 정맥 투여.
- 선냉동혈장(fresh frozen plasma), 농축절혈구(packed red blood cell)를 주입하여 혈
량을 증가 시키고 Hb , Hct, 응고인자를 보충.
g. 경정맥 간내 문맥계 우회술(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al - systemic shunt, TIPS)
- 방사선과에서 수행하는 비 외과적 과정.
- 내시경요법이나 약물 요법에 효과가 없는 출혈이나 고질적인 복수에 적용.
- 진정제 또는 전신마취 ->방사선으로 투시하면서 간정맥 천자->간정맥과 문정맥 사이의 간실에 통로를 만듦->풍선으로 통로를 넓히고 통로가 유지 되도록 금속성 스텐트를 고 정
③ 문맥계 간성 뇌질환의 관리
a. 식이요법
- 간성뇌질환 대상자의 암모니아 수준이 높은 경우 보통 저단백, 단순탄수화물 식이를 제 공한다.
- 위장출혈은 간성 혼수를 촉진 시킴. 이러한 대상자는 금식하고 출혈관리 시행.
b. 약물요법
- 마약성 진통제, 진정제, 수면제는 엄격히 제한(간기능 악화의 경우 약물대사 능력 저하)
- 체내 암모니아 감소 및 제거 : lactulose(암모니아를 대변으로 배설), neomycin(광범위 항생제로서 장내 정상세균을 파괴하여 단백질 분해를 감소시켜 암모니아의 생성 감소), sulfate, metronidazole 등을 사용
c. 신경학적 관찰
- 지속적인 지남력, 기억력, 과거 기억, 기분 등을 사정.
- 자기이름쓰기, 양손 꽉 잡기, 단계적 숫자 빼기와 더하기 등 간단한 작업수행 능력에 대 해 사정
- 손바닥을 위아래로 떠는 진전/간성 악취(간성 뇌질환의 악화를 의미)가 있는지도 지속적 으로 사정

키워드

  • 가격2,2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7.11.28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9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