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체계측

2. 활력증상의 측정

3. 전반적 외모

4. 신체특징
1) 머리
2) 눈,코,귀
3) 입과 목
4) 가슴, 폐, 심장, 복부
5) 생식기
6) 등과 직장
7) 사지
8) 신경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내려감.)
미숙아는 고환이 서혜관에서 촉지됨.
무고환 : 비분화 성기의 증상
(6) 등과 직장
- 척추 관찰
완만한 둥근 모양
후기에 보이는 S자 모양의 곡선은 나타나지 않음.
불룩한 주머니(특히 천추 부위) : 이분척추 의심
- 모소낭 : 모발로 덮여 있음. (병리적 의의 X, 잠재성 이분척추 암시)
- Trunk incurvation : 척추의 한쪽을 따라 등을 가볍게 치면 둔부를 자극쪽으로 움직임.
- 둔부 주름의 대칭 여부 관찰
비대칭 : 선천성 대퇴관절탈구 증상
- 태변 배출 : 항문 개방
밀폐항문 의심 시 장갑 끼고 윤활제 바른 작은 손가락이나 고무카테터를 항문으로 삽입
(7) 사지
- 대칭성, 운동범위, 반사 사정
- 다지증, 합지증 : 손가락, 발가락 개수로 확인
- 손톱 바닥 : 분홍빛 (말단 청색증이 있는 경우 약간 푸른색을 띔.)
- 손바닥 : 주름
- 발바닥 : 보통 안쪽 2/3에 주름이 있고 편평하며 지방패드 돌출
- 사지의 운동범위
선천성 탈구 : 대퇴관절 돌려서 확인
앙와위 시 다리는 대퇴관절과 무릎에서 굴곡, 175도 정도 외전(외전제한은 탈구)
모로반사 유발 시 대칭성 검사
근육의 힘 : 굴곡된 사지를 펴려고 시도하며 양쪽 힘의 동일한지 검사
- 사지의 반사
파악반사 :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바닥 저변을 건드리면 굴곡하거나 움켜잡는 반응
바빈스키반사 : 발바닥의 외축을 발뒤꿈치에서부터 가볍게 긁으면 큰 발가락은 배굴되고 나머지 발가락은 과도 신전됨.
(8) 신경계
- 나이든 아동이나 성인에 비해 두드러지게 미숙함.
- 신체기능,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 척수반사와 중뇌에 의해 나타남.
- 반사가 불완전하거나 나타나지 않을 경우 중추신경계의 손상 의미
Ⅲ. 결론
우리는 이번 Part.1에서 NICU에 근무 중인 간호사로 김소영 산모님께 신생아의 신체계측 및 신체검진을 마친 후 아기를 보여주기로 했다. 이에 우리는 신생아의 신체검진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이번 과제를 수행했다.
우선 신생아의 신체계측은 머리둘레, 가슴둘레, 두정부와 둔부의 길이, 두부 및 발뒤꿈치의 길이, 체중 등을 측정하며 활력증상으로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함께 측정한다. 전반적인 신생아의 외모확인도 가능하며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은 머리에서 대천문, 소천문, 신전 분만에 따른 경사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눈, 귀, 코, 입과 목구멍, 목, 가슴, 폐, 심장 및 복부, 생식기, 등과 직장, 사지, 신경계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체검사를 통해 신생아의 기형 및 장애의 여부, 손상에 대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응급상황에 대한 대비 등을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체검사는 신생아의 미래 성장 사정에 대한 기준점이 되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정확하게 검진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Ⅳ. 참고문헌
1. 김미예 외 (2004).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서울 : 수문사
2. 김연희 외. 아동건강간호학. 예당북스, pp.34~38
3. 김영혜 외 (2012).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 수문사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