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guinal hernia 서혜부탈장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nguinal hernia 서혜부탈장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호사정 ………………………………………… 3
Ⅱ 임상 & 특수 검사 ………………………………10
Ⅲ 투 약 …………………………………………… 11
Ⅳ 진단 보고서 …………………………………… 12
Ⅴ 중재 보고서 …………………………………… 13
Ⅵ 문헌 고찰 ……………………………………… 15
< 장의 구조와 기능 >
1. 소장 small intestine ……………………………… 15
2. 대장 large intestine ……………………………… 15
< 탈장 hernia >
1. 정의·…………………………………………………… 16
2. 원인 …………………………………………………… 16
3. 병태생리 ……………………………………………… 16
4. 증상과 징후 ………………………………………… 16
5. 간호 …………………………………………………… 17
Ⅶ 참고문헌 ……………………………………… 17

본문내용

작성해 정해진 양 을 매일 꼭 하도록 격려하고 확인 한다
1.수술 후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함.
2.이해하기 쉬운말로 천천히 설명 함.
3.치료 이행시 격려와 칭찬 함.
달성:
10회 이상 심호흡을 시행함
Ⅵ 문헌고찰
<장의 구조와 기능>
1. 소장 small intestine
: 소장은 위의 유문에서 시작하여 대장에 이르는 긴 관으로서 음식물의 소화와 영양의 흡수는 대부분 이 곳에서 이루어짐
A. 구조 : 7m×4cm×2cm,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됨
-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가 대단히 많아서 주요 영양소(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를 소화 작용으로 분해를 촉진시킨다.
- 소장의 내벽은 무수히 많은 주름과 넓은 표면적으로 영양분을 흡수한다. 이 주름에는 많 은 융털이 덮여 있다.
- 위액과 장액의 분비는 신경의 지배를 크게 받고 있다.
- 흡수된 영양소는 혈액을 통하여 온몸으로 운반되고 찌꺼기는 대장으로 내려간다.
B. 기능
1) 십이지장 duodenum
- 소장의 첫 부분, 길이가 25~30cm, 가장 짧고, 넓으며 가장 고정된 부분이다.
- 간, 담낭(쓸개), 췌장(이자)은 십이지장에 연결되어 있어, 위에서 넘어오는 산성 음식물을 중화시키고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소화를 돕는 소화액(간장으로부터의 담즙과 췌장으 로부터 체액을 십이지장으로 분비한다.
2) 공장 jejunum
- 소장 중 십이지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 소화된 영양의 대부분은 공장에서 흡수된다.
3) 회장 ileum
- 회장맹장판막(회맹판)에서 결장과 연결된다.
- 회장맹장판막은 내용물이 대장으로 유입되게 하며 소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 집합림프소절 : 세균들이 혈류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
2. 대장 large intestine
: 수분을 흡수하고 배설물을 내보내는 역할
A. 구성 : 회장과 연결되는 부위인 맹장과 그 밑의 충수, 대장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결장,
그리고 소화관의 끝부분인 직장 및 항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소화 작용이 없고, 주로 물의 흡수가 일어난다.
- 물이 대장에서 흡수되어 → 고형화 → 대변 → 직장 → 배설
- 대장균이 : 소화되지 않은 것을 일부 분해한다.
B. 기능
1) 맹장 cecum
- 대장의 첫 5~7.5cm부분, 회장맹장판막에서 회장과 연결되어 있다. :대변의 여류방지
- 맹장의 말단은 맹낭으로 충수가 붙어있다.
2) 결장 colon
- 구성 :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결장
3) 직장 rectum
- 구성 : S자결장~항문까지 뻗어있으며 내항문괄약근, 외항문괄약근 존재
< 탈장 (hernia) >
1. 정의 : 장기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복막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것
* 분류
- 간접 서혜 탈장(indirect inguinal hernia)이 가장 흔한
형태로 남성에게 발생
- 직접 서혜 탈장(direct inguinal hernia)은 노인에게
흔히 발생
- 절개 탈장(incisional hernia), 복부 탈장(ventral hernia)은
수술 후 상처치유가 잘 되지 않는 환자에게 흔히 발생함
- 제대 탈장(umbilical hernia)은 비만하거나 임신한 사람에
게서 흔히 발생
2. 원인
① 근육의 통합성 결함
② 복부 내압의 증가
3. 병태생리
① 근육의 쇠약 : 선천적으로나 노화과정에 의해 발생함
②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육조직은 침윤, 지방조직과 결합조직으로 대치됨
- 환납성 탈장 (reducible hernia) : 손 조작에 의해 복강 내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음
- 비환납성 탈장 (irreducible hernia), 감돈 탈장 (incarcerated hernia) : 손 조작으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없음
③ 탈장륜에 압력 생김 -> 혈액공급 차단 -> 탈장된 장의 염전 -> 수술 X 시 괴사
4. 증상과 징후
1) 간접 서혜 탈장
① 서혜륜(inguinal ring)을 통해 발생한다.
② 서혜관(inguinal canal)을 통과하여 정삭(spermatic cord)을 따라 내려간다.
③ 여성 < 남성
④ 흔히 음낭(scrotum)까지 내려가는데 이를 완전 간접 서혜 탈장이라고 한다.
2) 직접 서혜 탈장
① 복벽 근육 층의 약해진 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이 돌출되어 나온 것이다
②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③ 복벽의 근육이 갖고 있는 섬유의 수가 선천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점차적으로 약화되 어 생긴다.
3) 대퇴 탈장
① 대퇴륜(remoral ring)을 통해 생기는 것이다
② 여성 > 남성
③ 대퇴관(femoral canal)안에 있는 지방마개(plug) 커짐 -> 복막을 잡아당김 ->
방광을 탈장낭(sac) 안으로 끌어들임
④ 감돈과 염전이 잘 된다
4) 배꼽탈장
① 복압의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
② 비만한 환자와 임신 경험이 많은 여성에서 발생한다.
5) 절개 또는 복부 탈장 : 수술 후 문제 때문에 잘 치유되지 않은 수술 절개부위에서
발생한다.
5. 간호
① 수술 전 호흡기 질환이 있을 경우 치료될 때까지 수술을 연기한다.
- 기침이나 재채기로 봉합부위가 터질 염려가 있으므로
② 수술 후 1~2일 안에 기동한다.
③ 수술 후에도 계속 호흡기 질환의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④ 기침 시에는 수술 부위를 손으로 누르도록 한다.
⑤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뇨정체이며 남성에게 흔히 나타난다.
⑥ 수술 후 배뇨여부를 잘 관찰하고 필요시는 인공도뇨를 한다.
⑦ 환자가 음식을 소화할 수 있으면 곧 일반 식이를 준다.
⑧ 전신마취 후 수술했다면 회복이 서서히 진행된다.
⑨ 재발의 두려움으로 활동을 꺼릴 수 있으므로 수술 직후 재발되지 않을 거라고
설명한다.
⑩ 절개부위에 얼음주머니를 대어 부종과 통증을 조절한다.
⑪ 수술 후 4~6주 동안은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심한 운동을 금한다.
Ⅶ 참고문헌
1. 이향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외, (2010),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423 ~ 431p
2. 한윤복 외, (1995), 간호진단 -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현문사
3. www. druginfo.co.kr
4. 네이버 건강 - 의약품정보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4.02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