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사정 케이스 - 급성 세기관지염 & 폐렴 (Acute bronchiolitis pneumonia)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 사정 케이스 - 급성 세기관지염 & 폐렴 (Acute bronchiolitis pneumon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측정되는 결과 : 의사나 간호사가 병실에 들어가도 울지 않는다.
측정 지침 : 환아의 행동과 표정을 살피고, 보호자에게 환아의 상태를 물어본다.
기대되는 결과:
불안 감소
날짜
전혀 달성하지 못함
약간
달성함
보통정도
달성함
상당히
달성함
완전히
달성함
의사나 간호사가 들어가도 울지 않는다.
4/30
5/1
5/2



표정이 편안해짐
4/30
5/1
5/2



간호진단 : 배설물 자극과 관련된 피부손상
관련요인: 기저귀에 묻은 배설물의 자극
진단근거 : 엉덩이에 rash, 피부가 빨갛게 달아올라 거칠게 변화됨.
측정되는 결과 : 발진 부위가 감소됨
측정 지침 : 발진 부위를 직접 눈으로 관찰한다.
기대되는 결과 :
피부 통합성
날짜
전혀 달성하지 못함
약간
달성함
보통정도
달성함
상당히
달성함
완전히
달성함
rash가 사라짐
4/30
5/1
5/2



수포가 사라짐
4/30
5/1
5/2



※ 퇴원 후에도 위의 내용을 계속 해야 하나?
해야 한다. 퇴원 후에도 분비량을 체크하여 기도 개방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고체온은 자칫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고체온 중재방법을 잘 알고 시행해야 한다. 또한 @@이는 아직 영양분이 많이 필요한 나이이며, 뇌가 계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영양분이 부족하면 뇌의 손상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영양 섭취 상태도 계속 간호해야 할 부분이다.
※ 측정 빈도 : 근무 중 1시간마다 환자의 상태를 계속 monitoring 하였고 검사결과가 나오는 대로 비정상적인 수치는 체크를 하였음.
※ 기타내용 : 환아는 분비물의 양도 감소하고, 호흡도 용이해지며 기저귀 발진이나 불안도 감소하였다. 이처럼 환아는 상태가 나아지고 있었고 대부분의 기대성과를 성취할 수 있었으나, 3일 동안의 체중 증가여부는 기간이 다소 짧았으므로 측정하기가 힘든 부분이었다.
3. 간호활동
간호진단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1. 진해거담제를 제공한다.
(Bricanyl, Unasyn, Ambroxal, Levotuss
Syr,Mucosinil pow)
2. 자주 환아의 호흡양상(호흡수 깊이, 형태
,비정상적 호흡음, 호흡곤란등)에 대해 사 정 하도록 한다. .
3. 흉부물리요법(타진, 진동)을 실시한다.
4. 가습기를 제공한다.
5. 잦은 수분섭취로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 주도록 한다.
3. 흉부물리요법은 정체되어 있는 분비물을 이동시키고 더불어 순환을 증진시키며 조직에 영양분을 공급 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4. 습기는 점막과 분비물을
용해하고 객담배출을 용이하 게 한다. 습기는 건조한 점 액으로 인한 불폄감을 감소 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2. 호흡기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1. 해열제 Tylenol suspension과 Suspen
supp를 투여한다.
2. 체온을 1시간 마다 측정한다.
3. Tepid water massage를 수행한다.
4. 창문을 열고 환아가 옷을 많이 입고 있다 면 옷을 벗기도록 해 시원하게 유지해준 다.
5. 만약 오한이 있으면 담요로 덮어준다.
4. 찬바람은 혈관을 수축시키 고 조직의 대사를 감소시킨 다.
5. 공기순환으로 서늘해지는 것을 막고 열을 보존하기 위 해 덮어준다.
#3. 경구 섭취량의 감소와 관련된 영양부족
1. 영아의 욕구에 따라 적절히 음식의 종류를 결정한다.
2. 엄마가 안고서 먹이도록 한다.
3. 세우거나 앉혀서 먹이도록 하고, 트림을 자주 시켜준다.
4. 울 때는 먹이지 않는다.
3. 분유가 기도로 흡인 되는 것을 막는다.
4. 울게 되면 복압이 증가하고 공기가 유입되어 분유가 역류될 수 있다.
#4. 입원과 관련된 불안
1. 환아와 부모님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 불안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2. 장난감이나 인형 등 집에서 갖고 놀던 익 숙한 것들을 제공해준다.
3. 집에서의 환경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아이가 원할 경우에는 집에서 쓰 던 이불을 사용하도록 한다.)
4. 가능한 부모가 간호에 함께 참여하고 관 심을 갖도록 한다.
5. 아동의 연령에 맞는 놀이를 제공하도록 한다.
1. 엄마의 불안은 무의식적으로 아이도 불안을 느끼도록 한다.
2.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담요를 제공함으로서 대상자에게 안도감을 줄 수 있다.
3. 가족이 대상자의 간호와 정서적지지 제공에 참여하는 것도 불안 완화에 도움이 된다.
#5. 배설물 자극과 통풍저하와 관련된 피부 손상
1.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할 때마다 자주자주 기저귀를 갈아준다.
2. Travocort cream을 환부에 얇게 펴 발라 준다.
3. 발진 부위에 통풍이 잘 되게 한다.
4. 기저귀를 갈 때 소변이나 대변을 먼저 잘 닦아 낸 후 기저귀를 갈아준다.
5. 엉덩이 쪽으로는 자극이 가지 않는 체위를 취해준다.
1. 소변이나 대변의 암모니아나 요소의 성분들은 강한 산성을 띄며 피부를 자극한다.
2. travocort cream은 피부의 세균진균 감염에 효과적인 적응증이 있다.
3. 발진 부위에 통풍이 잘 되게 하면서 피부를 말려주어 짓무르는 것을 방지한다.
4. 환아의 교육요구
환아는 현재 1세로, 모든 말들을 다 이해하고 알아듣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옹알이를 하는 수준에 불가하다. 따라서 감각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는 장난감으로 환아를 자극하고 교육시켜야 하며, 환아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동화책을 읽어주는 등의 언어적인 자극을 줌으로써 언어능력이 빨리 신장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참고문헌★
고성희, 김명애 등저,「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2002
박현애, 김정은「간호진단 중재 결과 분류체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김춘원,「병리학」, 신광출판사, 2002
대한병리학회편, 「병리학」, 고문사, 2003
이은옥, 서문자, 「표준화된 간호진단 결과 중재의 연계」, 정문각, 2005
최정신, 김정혜 등저, 「최신 병리학」, 정담, 2000
이명화, 손정태 「 기본간호학 실습 」, 정담, 2003
최신 임상 간호메뉴얼Ⅱ, 현문사, 2006
http://www.druginfo.co.kr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6.30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8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