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상노인(와상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상노인(와상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와상노인의 간호

I. 와상상태를 초래하는 요인
1. 신체적 요인
2. 심리적 요인
3. 사회환경적 요인

II. 와상환자의 간호
1. 환자 간호
2. 자가 간호의 지지
1) 식사하기
(1)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2) 완전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3) 비위관으로 식사를 투여하는 방법
2) 목욕/개인위생
(1)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2) 샤워
(3) 침상목욕
3) 옷 갈아입히기
(1) 주의사항
(2) 편마비가 있는 대상자의 단추 있는 옷 갈아입히기
(3) 편마비가 있는 환자의 단추 없는 옷 갈아입히기
(4) 누운 자세에서 바지 갈아입히기
(5) 하지마비가 있는 대상자 옷 갈아입히기
4) 배설 돕기
(1) 배설 돕기 유의점
(2)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3) 완전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III. 기능 활동 장애의 완화
1.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2. 완전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수치스러움, 불안감 및 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대상자가 수치스러움을 느끼지 않게 최대한 편안하게 도와야 한다.
1. 배설 돕기 유의점
수발자는 대상자의 배설요구, 배설행동의 독립성과 배설상태 등을 관찰한다.
배설요구: 요의와 변의의 언어적 표현, 안절부절, 허리를 들썩이는 등의 비언어적 표현
배설활동의 독립성: 배설을 위한 보조용품의 사용경험과 신체거동 능력
배설 시 관찰내용
- 배설 전: 요의/변의 유무, 하복부 정만감, 이전 배설 간의 간격
- 배설 중: 통증, 불편함, 불안 정도, 소변흐름 이상 유무
- 배설 후: 색깔, 혼탁의 유무, 배설시간, 잔뇨감, 설사횟수, 양, 배설 상태에 이상이 있을 때는 간호사 등에게 즉시 보고한다.
2.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노인들이 변의를 느끼는 것과 동시에 곧바로 배설하는 경우, 노인 환자 주위에 배설에 필요한 기구들을 준비해두어, 즉시 상황대처가 가능하도록 배려한다.
초인종(call bell)등을 마련해 두어, 화장실 출입이나 옷을 내리고 올릴 때 등의 경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장기간의 침상 안정으로 인해 변비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 및 보행을 권하고, 거동이 많이 불편한 경우에는 수동적인 운동을 매일 시도한다.
규칙적인 배설시간을 지키려는 노력과 섬유질 음식 및 수분의 섭취를 장려한다.
KEGEL 법칙 방광훈련법을 지속적으로 하게하고, 복근, 회음근, 골반근육의 강화훈련을 꾸준히 하여 실금으로 인한 자존감의 저하를 방지한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패드 등을 대어주면 옷을 갈아입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3. 완전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가족들은 평소의 배변/배뇨 시간을 알아 두고 기록해 둠으로써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의식수준 저하로 인해 배설하여도 모르는 경우나 치매 등의 정신 질환 노인, 뇌혈관 장애로 인한 뇌졸중 환자의 경우에는 배설 시 도움을 청할 수 없기 때문에 배설시간의 기록은 유용한 자료가 된다.
노인 환자들을 위한 커다란 기저귀를 대어 준다.
배변/배뇨 후에는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깨끗이 닦아 주고, 피부 간호와 회음부 간호를 반드시 병행한다.
지속되는 실금 시에는 유치 도뇨관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비뇨기계의 감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고 가정간호사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침요를 버리게 되면 세탁은 물론 바꾸기에도 힘이 든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침요 위에 고무포를 깔고 그 위에 다시 홑이불을 깔아 두어 이부자리가 젖지 않도록 한다.
III. 기능 활동 장애의 완화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거나 관절가동범위의 제한, 근력 저하, 조정 능력의 장애 그리고 활동 내구성의 장애 등으로 인해 침상 안정을 취하게 되면 조금씩 움직일 수 있던 부분마저도 상용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장애(disability)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심할 때에는 적절한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평상시에 여러 가지 중계를 시행함으로써 신체기동 장애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 가능한 관절은 능동적인 관절 가동범위 운동을 하루 2-3회 실시하여 관절의 유동성 확보와 근력소실을 방지한다.
- 불편한 관절은 운동 시 지지해 주거나, 간호사 또는 가족이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킨다.
-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는 침상에서 등척성 운동(고정된 자세에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운동)을 시켜 근 섬유의 활동성과 근위축을 예방한다.
- 작은 관절은 자주 움직여 유연성을 잃지 않도록 하고 하지는 가능한 큰 동작으로 하는 운동(자전거 타기)을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해 주면 좋다.
-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대 발치부분에 끈을 내어 두고 끈을 이용하여 천천히 조금씩 상체를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 어느 정도 보행이 가능한 환자는 주기적으로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하여 주도록 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행기, 지팡이 등의 사용도 고려해 본다.
- 잦은 체위 변경을 실시한다.
- 가능하면 컵으로 물을 마시게 하거나 숟가락, 젓가락사용, 머리 빗기, 얼굴이나 손 씻고 닦기, 양치하기, 배설용기 사용 그리고 단추를 끼거나 옷 갈아입기 등을 직접 하게 하고, 불편한 부분이라도 지속적인 훈련(예: 돈세기, 귤껍질 벗기기, 매듭짓기 등)으로 성취감을 느끼게 한다.
- 보행이 곤란한 경우에는 가능한 앉은뱅이 걸음이나 무릎으로 걷기 그리고 기어가기 등으로 점진적인 신체 움직임을 유도한다.
이러한 중재는 환자들의 의지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반복적이고 충분한 설명과 지지가 필요하다.
(2) 완전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 간호사 또는 가족이 관절 구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동적으로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하루 2-3회 시킨다.
- 만약 관절의 구축이나 경축이 있을 경우에는 운동을 시키기 전 핫팩이나 마사지를 하여 이완시킨 후 운동을 실시한다.
- 관절의 변화 외에도 올바른 신체 정렬(body alignment)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기구(발판, 모래주머니, 베개, 부목 등)를 사용하여 신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필요시 의사나 가정간호사의 지시를 따른다.
- 지속적인 자세 변형이 필요하다. 석고붕대와 견인 등으로 인해 장기간 침상 안정을 하게 된 경우에는 지속적인 운동과 함께 보행 시에 대비한 준비도 병행해야 한다.
- 의식 저하로 인해 신체 기동이 부자연스러운 경우라도 격렬하게 다루지 않도록 조심한다.
*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노인발달 이해와 상담 : 김은혜 저 / 2012 / 북모아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 장휘숙 저 / 2012 / 박영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7.25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5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