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자들의 예배신학 - 현대목회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개혁자들의 예배신학 - 현대목회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본론
Ⅰ. 예배의 정의
1. 예배의 어원적 정의
2. 예배의 성경적 배경
3. 예배의 신학적 배경

Ⅱ. 예배의 분류

Ⅲ. 예배 신학
1. 루터(Martin Luther, 1483-1546) 계열
1) 예배 이해
2) 예배 신학과 특징
3) 예배 형식과 순서

2. 츠빙글리(Ulrich Zwingli, 1484-1531) 계열
1) 예배 신학과 특징
2) 예배 형식과 순서

3. 칼빈(John Calvin, 1509-1564) 계열
1) 예배 신학과 특징
2) 예배 형식과 순서

4. 재세례파 예배
5. 청교도 예배

󰊳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적 감각을 살리는 예배예전 가운데 성찬예전의 활성화와 공중예배 때 회중의 시편찬송이 행해져야 함을 강조했다.
2) 예배 형식과 순서
『예배 인도자의 개회선언 → 참회의 기도 → 사면의 선포 → 회중의 시편찬송(1545년부터 십계명 첫 부분 낭독이 첨가됨) → 중보의 기도 → 회중의 찬송(1545년부터 십계명 첫 부분 낭독이 첨가됨) → 주기도문 → 설교 전 설교자의 자유로운 기도 → 설교 → 설교 후 기도 → 주기도문의 석의 → 회중의 시편 찬송 → 아론의 축복 선언(민6:24~26)』
4. 재세례파 예배
재세례파 예배는 개혁파들 중 가장 급진적 자세로 예전에 대한 거부 반응을 일으킨 계열이다. 초기 지도자는 콘라드 그레벨(Conrad Grebel. 1498-1526)을 비롯하여 후기 토마스 뮌처(Thomas Muntzer: 1489-1525)와 같은 인물들이다. 이들은 예배에 일체의 의식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공중 예배의 필요성마저 인정하지 않는 지극히 자유주의적인 자세를 취했다. 그들은 교회 생활이란? 그날 그날의 삶속에서 하나님과 동행하며 순종과 수난의 길을 걷는다는 확신을 갖는 것이 최우선적인 강조점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신앙은 그들로 하여금 어디에서나 함께 모여 기도하고 성경을 상고하고 말씀에 따라 교훈을 명상토록 하는 습관을 형성시켜 주었다. 그리고 비예전적 신앙, 유아세례 반대, 자유교회 추구, 초대교회 은사 사모하는 집회 추구가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5. 청교도 예배
청교도 예배는 성경의 권위를 중심으로 이해와 경험을 강조하는 예배이다. 이는 로마 카톨릭의 예배예전적 요소를 과감하게 개혁한 것으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이 인정하는 예배 의식 이외의 인위적 요소(교회장식, 사제복, 오르간, 십자가모형)를 철저히 거부했다. 둘째 성공회의 제복을 없애고 검정 제네바 가운과 흰 띠를 사용했다. 그 이유는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목사에게 가장 알맞은 엄숙한 복장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셋째 성찬 분배를 받기 위해 무릎을 꿇는 것을 없애고 앉은 자리에서 그냥 받게 했다.(화체설의 요소가 있다고 판단) 넷째 세례 예식시 십자가 성호를 긋는 것을 금지시켰다. 이는 성경적 근거가 없는 미신적 의식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섯째 성경을 존중하여 강해설교를 권장했다. 성경에 근거하여 교훈과 위로와 교정을 회중들에게 주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여섯째 성인축일, 사적인 세례, 대부제도, 위경봉독, 환자에게 성찬 베푸는 것 등을 폐지했다. 일곱째 특수하게 설정된 예전보다 예배 규칙서나 예배 모범을 원했다. 1654년의 「웨스트민스터 예배 모범」이 바로 그것이다. 민장배, 『예배학』 (세화출판사), 68.
결론
종교개혁이후 개신교 예배신학은 첫째 루터의 “오직 믿음”과 오직 성서“라는 가치아래 말씀중심의 설교예배와 세례성찬 성례전의 전통을 개혁한 예배가 있고, 둘째 츠빙글리의 예배 시 성경봉독, 기도(죄의 고백), 설교만을 강조하고 성찬성례전을 부정한 비예전적 예배가 있다. 셋째 칼빈은 루터와 츠빙글리의 양극적 주장에 중도적 입장을 취하여, 말씀과 성례전을 예배의 구심점으로 하고 회중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의식을 갖춤으로써 초대교회 복음적 예배로 돌아가고자 했다. 넷째 재세례파는 예배의식을 거부하고 매일 매일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고 교훈을 얻어 삶에 실천하는 것을 우선시 했다. 다섯째 청교도는 성경의 권위를 중심으로 이해와 경험을 중시하는 예배로 카톨릭의 예배예전을 과감하게 개혁한 예배이다. 로마 카톨릭의 영적, 도덕적 부패에 항거하여 온전한 예배의 본질과 형식을 회복하고자 했던 루터, 츠빙글리, 칼빈, 재세례파, 청교도들은 말씀중심의 기초 위에 예배예전(세례,성례)적 요소를 변화시키며, 온전한 예배를 회복하고자 했다.
※ 참고 문헌
1) 마틴 루터, 『교회의 바벨론 포로』 (서울: 컨콜디아사, 1985)
2) 마틴 루터, 『루터선집 8권』 (서울: 컨콜디아사, 1984)
3) 민장배, 『예배학』 (세화출판사)
4)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8)
5) 이형기, 『종교개혁 신학사상』 (서울: 장신대출판부, 1984)
6) 정인교,『예배학 원론』(서울: 솔로몬, 1997)
7) 정장복, 『예배학 개론』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1985)
8) 총회출판국,『오순절 교의학』(서울: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총회출판국, 2003)
9) John Jr. MacArthur,『참된 예배』(두란노, 1998)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