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정서발달] 영유아기 정서발달과정(영아기 및 유아기 정서발달) 정서의 정의와 기능 정서지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의 정서발달] 영유아기 정서발달과정(영아기 및 유아기 정서발달) 정서의 정의와 기능 정서지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정서의 정의

II. 정서의 기능

III. 정서의 측정

IV. 정서의 발달과정
1. 영아기 정서발달
1) 정서발달의 예정표
2) 울음
3) 미소
4)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
5) 사회적 참조
2. 유아기 정서발달

V. 정서지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열과 용기, 도덕성과 신념 등 성숙한 정서와 감정이 중요한데 이러한 능력들이 바로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 : EI)이며, 정서 지능을 측정하여 양화한 것이 곧 정서 지수(Emotional Quotient: EQ)이다.
정서 지능이 높은 사람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의 Walter Mischell 연구소는 4살된 아이들의 정서 지능을 측정해서 그들이 18살이 될 때까지 그들의 삶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계속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정서 지능의 높고 낮음이 그 아이의 미래에 매우 중대한 변화를 가져 올 수 있음을 보여 주었는데, 정서 지능이 높았던 유아들의 경우 학교 성적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훨씬 높았으며, 또한 친구들과 교사들로부터 '인기 있는 사람', '좋은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와 같은 정서능력의 장점은 학업성취 뿐만 아니라 직장과 대인관계 형성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예측해 준다고 한다.
Sternberg과 Gadnrer에 의하면 지능은 사회적 지능의 범주를 포함하고 있다. Sternberg는 이를 '실제적 지능'이라 하였고, Gadnrer는 '자신에 대한 통찰' '타인에 대한 통찰', 즉 개인 내 지능, 개인 간 지능으로 명명하였다.
그러나 최근 사회적 측면의 지능에 대해 가장 주목하는 것은 정서 지능이다. 정서 지능이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평가하고 표현할 줄 아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이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 그리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서 그런 정서를 이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으로 1990년 Mayer와 Salovey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정서 지능의 개념이 널리 인식된 것은 Daniel Goleman의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이란 책을 통해서이다. 이 책에서 Goleman은 개인의 능력을 예측할 때, 표준화된 지능검사로 측정된 IQ의 설명력이 정서지능보다 낮다고 주장하였다.
Goleman은 Salovey 등의 주장을 토대로 정서 지능의 영역들을 구체화하였는데 정서적 자기인식하기, 정서조절하기, 자기 동기화하기, 감정 이입하기, 대인관계 형성하기 등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정서적 자기인식하기 :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재빨리 인식하고 알아차리는 능력으로 정서 지능의 초석이며, 자기 통제의 첫 단계로 심리적인 통찰과 의사결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2/ 정서 조절하기 : 앞서 인식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처리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3/ 자기 동기화하기 : 어려움을 참아내고 자신의 성취를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능력으로 만족지연이나 낙관성 등이 이에 속한다.
4/ 감정 이입하기 : 타인이 느끼는 감정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고, 타인의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으로 타인의 욕구와 필요에 민감해지며, 타인에 대한 배려나 선을 베푸는 사랑의 원동력이 된다.
5/ 대인관계 형성하기 : 인식한 타인의 감정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적절한 정서표현력을 의미한다.
그러면 정서 지능은 측정될 수 있는가? IQ는 지능검사를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 IQ가 100정도이면 평균이고 130이 넘으면 꽤 똑똑하며, 70이하이면 학습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한다. 이처럼 정서 지능도 수치로 제시될 수 있는가?
앞선 언급된 정서 지능의 하위 영역을 토대로 정서 지능을 측정하는 노력들이 있어 왔다. 현재 정서 지능에 대한 측정도구도 개발되었지만 아직 폭넓게 수용되고는 있지 않으며(Goleman, 1995 ; Rockhill & Greener, 1999 : Salovey & Woolery, 2000), 특히 측정도구에서의 예언타당도에 관한 문헌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Mayer, Salovey & Carsuso, 2000).
현재 정서 지능은 수치화될 만큼 발달되고 정립된 개념이 아니며 추후 많은 연구들이 필요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정서 지능을 양화하기에 어려운 몇 가지 이유가 제기되는 데 첫째, 정서 지능은 측정할 수 있는 정서의 하위 영역이 너무도 다양하고 복잡해서 지능검사처럼 몇 개의 하위 검사 점수를 합산하여 하나의 점수로 계산해 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 정서 지능은 지능검사 문항처럼 정답 찾기가 아니라 느낌과 감정의 통제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지필평가로 측정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 정서 지수를 산출한다 하더라도 정서 능력을 개인 간에 비교해서 서열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어떤 사람은 인내심이라는 정서 능력은 높지만, 정열과 용기는 부족할 수도 있고, 오히려 그 반대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구체적인 정서 지능의 하위 능력을 세세하게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이것을 지수화하여 등수를 매기는 것은 장점보다 단점이 더 클 수가 있다.
이상의 이유들로 정서 지능의 수치화는 현재 어렵고 앞으로도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정서 지능의 총점수가 아닌 각 하위 요소별 측정은 지금도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정서 지능의 개념을 처음 공식화하였던 Mayer와 Salovey는 정서의 평가와 표현을 측정하는 척도인 SMMS(State Meta-Mood Scale)과 TMMS(Trait Meta-Mood Scale)을 개발하였으며(1990), 또한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자인 Robe린 Rosenthal도 감정이입척도인 P0NS(Profile of Nonverbal Sensitivity)를 개발하였다(1990).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2.21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