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성경강독] 요엘 결단의 날 (생애와 연대 문학적 특성 교훈)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성경강독] 요엘 결단의 날 (생애와 연대 문학적 특성 교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요 엘 : 결단의 날
A. 서 론

B. 요엘의 생애와 연대

C. 문학적 특성 및 진정성
1) 형식
2)구조와 내용 분해
3) 통일성 및 진정성

D. 요엘서의 교훈
1) 여호와의 날
2) 우주적 예언의 날

미 가
Ⅰ. 개론적 연구

Ⅱ. 미가서의 교훈

본문내용

다 C. Hassell Bullock, 류근상 옮김.『구약선지서 개론』,162-63.
.
B. 역사와 운명
미가가 역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고 하는 사실은 그가 과거 사실을 언급하며 이스라엘의 반응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하나님은 유다와의 쟁변(미 6:1-5)에서 한 세대 전의 아모스가 그랬던 것처럼(암 2:10) 애굽으로부터의 구원을 상기시켰다. 또한 모압 왕 발락의 모반과 발람이 그에게 했던 말을 상기시켰으며 “싯딤에서 길갈까지”(미 6:5)라는 언급을 통하여 여리고 성 점령을 비롯한 승리의 가나안 입성을 요약하고 있다. 싯딤은 요단 동편의 이스라엘의 마지막 진지였으며 길갈은 서편의 첫 번째 주요 진지였다(민 22:1; 25:1; 수 4:19-20). 이 모든 역사적 사건들의 목적은 “여호와께서 의롭게 행하셨다는 사실을 알게 하려 함”(미 6:5)이었다. 이것이 역사에 비추어진 유다의 모습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역사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언약하신 진실과 변함 없는 사랑이다. 호세아가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말했을 때 이것은 모세와의 언약을 능가하는, 보다 우선적인 언약이었던 것이다(호 1:9-10). C. Hassell Bullock, 류근상 옮김.『구약선지서 개론』,164.
C. 도덕성, 우상 숭배 및 신학
고대 유다의 도덕적 삶의 모습은 깊은 영적 질환에 빠진 자와 같았다. 미가는 이스라엘의 사회 지도층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은 공의를 시행해야 할 자들이었음에도(미 3:1) 선과 악의 구분을 하지 못하였다(미 3:2a). 또한 선한 목자와 같이 양 떼를 돌보는 대신 마음대로 양을 잡아먹고 괴롭혔다(미 3:2b-3). 그들은 공의를 싫어하며 자신의 직무를 왜곡하고 시온을 피로, 예루살렘을 죄악으로 건축하였다(미 3:10). 당시는 정의가 사라지고 이미 열매를 거둔 후의 포도나무와 같이 황무하였다. 누가 친구며 누가 적인지 혼돈하게 되었으며 가족과 친척의 안전은 이기심의 경쟁터가 되었다. 지도자와 제사장들은 모두 돈에만 관심이 있었다(미 3:11a). 이러한 도덕적 붕괴는 주전 8세기 지도자들의 전형이 되었다.
미가 6:8에 강조된 그의 포괄적인 신학은 당시의 분명하지 못한 사회 공의의 개념과 입술로만 부르짖던 왜곡된 종교적 경건의 개념을 바꾸어 놓았다. 아마도 미가는 그들이 성전에서 제사할 때 미가 6:1-5의 말씀으로 다가간 것 같다. 그리고 그들은 냉소적이거나 아니면 진지하게 여호와께서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 물었던 것 같다. 이에 대해 미가는 당시 세 선지자의 교훈을 모두 모아 대답하였다. 그것은 아모스의 공의, 호세아의 변함없는 사랑, 이사야의 여호와를 좇는 겸손한 삶이었다. 공의는 언약에 대한 책임을 말한다. 반면에 인애는 사람에 대한 의무를 말하는데 이것은 사람과의 언약적 관계 속에 표현된 여호와의 자비로운 사랑으로부터 나온다. 겸손히 하나님과 함께 행한다는 것은 그와의 교통을 지속한다는 의미이다. C. Hassell Bullock, 류근상 옮김.『구약선지서 개론』,165-67.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