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관광학과 4학년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의 근현대(1840∼현재) 문화유산을 학습하기 위한 문화탐방 프로그램을 기획한다고 가정해봅니다. 이에 적합한 도시 또는 지역을 선택하여 구체적인 방문/견학 장소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관광학과 4학년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의 근현대(1840∼현재) 문화유산을 학습하기 위한 문화탐방 프로그램을 기획한다고 가정해봅니다. 이에 적합한 도시 또는 지역을 선택하여 구체적인 방문/견학 장소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중국의 근현대 문화유산 탐방
1. 중국의 근현대사
1) 아편전쟁과 혼란기
2) 개혁의 시대
3)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2. 근현대 관련 도시 문화탐방
1) 베이징
(1) 개관
(2) 오늘날의 베이징
(3) 여행정보
2) 문화유산 탐방 기획안
(1) 1일 차
(2) 2일 차
(3) 3일 차
(4) 4일 차
3) 문화유산 탐방 적합성과 방문 장소
(1) 베이징의 문화유산 탐방 적합성
(2) 방문 장소
① 수도박물관
② 왕부정(王府井)거리
③ 만리장성
④ 이화원
⑤ 천안문광장
⑥ 자금성
⑦ 국자감

Ⅲ.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찾는 팔달령 장성과 관문인 거용관(居庸) 등 여러 장성을 견학할 수 있다. 만리장성 중 가장 잘 알려진 팔달령 장성은 베이징에서 북서쪽으로 70km 거리에 위치해 있다. 1505년에 축조되었으며 능선을 따라 연결된 장성의 모습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로프웨이가 있어 장성에 올라 거닐 수 있다. 장성 기슭의 장성 박물관에서는 장성의 축조 과정이나 발굴품 등을 살펴볼 수 있다.
④ 이화원
총 면적 290.8ha의 초대형 황실 별궁으로 면적의 75%를 차지하는 220ha의 드넓은 호수 곤명호와 만수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 원림이 조성된 것은 금나라 때인 12세기 중엽이고, 황실의 행궁으로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1750년 건륭제 때이다. 건륭제는 모후의 탄신일을 기념하기 위해 당시 은 450만 냥을 들여 곤명 호에 대한 대대적인 확장 공사를 하고 만수산을 조성, 그곳에 대규모 건물들을 신축하여 세계적인 여름 별궁을 완성하고 이를 청의원이라 한다. 1860년 청의원은 제2차 아편전쟁으로 청불 연합군에 의해 또 하나의 황실공원인 원명원과 함께 훼손되어 대부분의 전각이 파괴되었다. 서태후는 이곳을 이화원이라 개칭하고 1888년 해군 함선 건조를 위해 마련한 3,000만 냥의 거금을 유용하여 별궁을 재건.(1894년 청일전쟁의 패배는 당연함) 서태후 섭정기인 광서 14년 이후에는 청나라의 정치 중심이 이곳 이화원 인수전으로 옮겨졌다. 1898년 무술변법 실패 후 광서제는 서태후에게 유폐되었던 옥란당(玉瀾堂) 요월문(邀月門)에서 시작되어 그 길이가 728m에 이르는 장랑에는 서호의 풍경과 서유기, 삼국지연의 등 명장면이 그려져 있다.
⑤ 천안문광장
중국 베이징 자금성 천안문 앞에 조성된 세계 최대 규모의 광장이다. 천안문광장 자리는 명나라 영락제 때 베이징 성을 건설하면서 어도(御道)가 설치되었던 공간이다. 당시의 어도는 내성의 정남문인 정양문과 황성의 정문인 천안문 사이에 있었으며 주변을 담장으로 둘러 일반인의 출입을 금했다. 이 때문에 내성의 동서 교통에 큰 불편을 초래했다. 정양문과 천안문 사이에는 대명문(大明門)이, 천안문 좌우에는 각각 장안우문(長安右門)과 장안좌문(長安左門)이 있었다. 청나라 때는 대명문을 대청문(大淸門)으로 개칭했고, 중화민국이 성립하자 대청문을 중화문(中華門)으로 다시 개칭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베이징 도심을 개발할 때 천안문 이남의 어도와 중화문, 장안우문, 장안좌문 등을 모두 철거하고 그 자리에 광장을 조성했다.
⑥ 자금성
명청 시대 24명의 황제가 살았던 황궁으로 중국 대륙의 심장부이다. 전체 면적 72만㎢의 방방형 건축물로 남북 길이 960m 동서길이 759m에 방 수 만도 9,999칸(실제로는 8,886칸)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궁전이다. 높이 9m의 성벽과 넓이 56m의 통자하로 겹겹이 둘러싸인 성역으로 오문을 비롯한 4개의 출입문만이 자금성과 외부를 연결시켰다. 고궁은 외조와 내정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외조는 황제가 중요한 정무를 처리하거나 국가적인 행사를 주관하던 곳으로 태화전, 중화전, 보화전의 삼대전 및 문화전과 무영전이 속한다. 내정은 황제가 일상적인 업무를 처리하던 집무실과 황후를 비롯한 황실 가족, 후궁들이 기거하던 주거공간을 가리키는 것으로 건청궁과 교태전, 곤녕궁을 중심으로 동서 6궁, 어화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⑦ 국자감 출처 : 국자감, 위키백과
국자감(國子監)이란 중국 수(隋)대 이후의 중앙관학으로서 중국의 고대 교육 체계 최고 학부였다. 수대 이후 중국의 역대 왕조는 수도인 장안, 낙양, 개봉, 남경 등에 국자감을 설치하였다. 명(明)대에는 남경 외에도 북경(北京)에도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청(淸)조 때에도 북경 국자감이 있었고, 이는 중국 최후의 국자감이 되었다. 중국뿐 아니라 한국, 일본, 류큐, 베트남 등 동아시아 각국의 국가 최고 교육기관에 영향을 주었다.
Ⅲ. 나가며
이상 북방 주요 도시 베이징의 특징, 환경, 역사, 오늘날의 모습, 여행정보, 볼거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볼 것도 많고 먹을 것도 많고 우리나라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 바로 중국이라는 나라다. 그렇기에 중국을 문화탐방 여행지로 정했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같은 동양권 국가이지만 환경, 기후, 음식문화, 볼거리, 문화재 등 많은 점이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하지만 문화탐방 여행은 다른 행사와는 달리 수송이나 숙박관계 등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특히 중국과 같은 외국을 나갈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이를 실시하는 데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해외 문화탐방 여행계획은 관계자와 면밀하게 타협해서 될 수 있는 한 빨리 결정하고 인솔책임자가 사전에 현지를 상세히 답사 연구해야 한다. 특히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많은 방법들을 강구해야 한다. 견학 대상은 특히 엄선하고 사전지도는 후일에 후회되는 일이 없도록 장기에 걸쳐 철저를 기해야 한다. 혹시라도 사고가 생기면 국내와는 다르게 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송이나 숙박소의 선정은 여행사에 일임하지 말고 학교가 책임지고 안전과 환경을 중시하여 선정해야 하며 현지 영사관이나 대사관 등과의 연락을 밀접하게 해야 한다. 특히 국내와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교통사고·식중독·전염병·비행·도난 등에 대한 사전지도를 세밀히 하여야 하며 특히 학생의 경제적·신체적·정신적 상황 및 가정형편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윤창준(2017) 현대 중국문화의 이해, 어문학사
이인택(2013) 중국문화의 이해, UUP
주성화(2008) 중국문화풍경, 한림대학교출판부
양둥핑(2008) 중국의 두얼굴, 펜타그램
조창완(2008) 베이징, 살림
박성수(2007) 역사학개론, 박영사
정재호(2006) 중국의 강대국화, 도서출판 길
변성규 저(2003) 중국문화의 이해, 학문사
공건(2003) 상하이인 홍콩인 베이징인, 사과나무
김수환 외(2011) 도시는 역사다, 서해문집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2010) 도서출판 황매희
저스트고(Just go) 도시별 여행정보, 시공사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0.04.20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9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