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웹접근성 자동화 평가도구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형 웹접근성 자동화 평가도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형 웹콘텐츠 접근성 지침
3. 웹 접근성 자동화 평가도구
4. K-WAH 4.4 의 실행
5. K-WAH 4.4 자동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6. 결론

본문내용

시각장애인에 대한 웹 접근성 평가를 할 때 실제로 웹 사이트에 스크린리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평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웹 접근성 자동화평가 도구에 스크린 리더 기능을 넣어놓던가, 전체 화면을 볼수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면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하고 웹 접근성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넷째, 정보 접근성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있어야 한다. W3C에서 제정한 WCAG2.0은 검사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등급으로 만들어 놓았다. WCAG2.0을 기본으로 만든 KWCAG 검사항목에서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가 없기 때문에 강제성과 권장사항이 분명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따라서 K-WAH도 우선순위가 나타나지 않으며, 모든 검사항목이 똑같은 비중으로 준수율만 보여주고 있다.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지 않는 것은 장애인들의 정보 접근에 제한을 줄 수 있지만, 태그 누락은 정보 접근에 큰 제한을 주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웹 접근성 품질인증 마크는 모든 항목을 똑같이 점수를 평가하여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검사항목에서도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주어서 좀 더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평가가 되도록 해야한다.
6. 결론
본 연구에는 국내와 국외의 웹 접근성 지침을 살펴보고, 한국형 웹 접근성 자동화 평가도구 K-WAH4.4 를 직접 실행해보고, 다른 평가도구와 비교했을 때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K-WAH는 KADO-WAH 버전부터 제한과 개선점에 대해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다. 그리고 이런 연구들을 바탕으로 버전이 높아질수록 개선되어오고 있다. 현재 최신버전인 K-WAH4.4 의 문제점은 자체의 기술적인 부분과 지원하는 지침에 대한 문제로 나누어졌다. 첫째는 환경적으로 제약이 있어서 Microsoft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만 구동된다는 것, 둘째는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완하고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셋째, 테스트 화면 기능이 있어야한다는 것, 넷째는 검사결과에 대해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겨야 한다는 것이다. KWCAG의 부족한 문제점이 있으면, 그것은 그대로 K-WAH의 문제점이 될 수 밖에 없다. 네이버에서는 KWCAG를 보완한 NWCAG1.0을 만들어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자체 웹사이트들의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 현재 웹 접근성 자동화 평가도구는 웹 접근성 평가에서 보조 역할을 하고 있다. 완벽한 자동화 평가도구는 사실상 개발이 어렵지만,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면, 수동 평가시 많은 시간과 비용을 줄 일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웹 접근성 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은 계량화하여 법으로 규제하는데 있는게 아니라, 오류를 발견하고 쉽게 수정하여 정보 취약자들에게 웹 접근성에 대한 권리를 똑같이 주는데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한국 웹 접근성평가센터, 웹 접근성평가센터, from http://www.kwacc.or.kr/ 2015.05.25.
[2] W3C Web Accessibility Initiative(WAI), WAI, from http://www.w3.org/TR/WCAG20/, 2015.05.25.
[3] Sung-Jin Park, A Study on Comparative Evaluation of Web Accessibility about Public Service and Public e-Learning Servic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1.
[4] Mi-sung Lim, Special Schools Websites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and Analysis by KWCAG2.0,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je University, 2013.
[5] 국립전파연구원,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2015.
[6] Seong-Je Park and Jong-weon kim, “ Development of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Algorithm-Based upon Table Element”, Journal of Indusr Inf Syst Res, vol.18, No.4, pp.81-87, 2013.
[7] 조병훈, 웹 접근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0.
[8] 한국정보화진흥원, K-WAH 4.0 사용자 매뉴얼,2013
[9] Young-Jik Kwon, Hongwei Zhang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Evalutaion” Journal of Industr Inf Syst Res, vol.18, No.4, pp.81-87, 2013.
[10] Hwangyong Kim, “Handicapped Persons and Internet: Comparing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11, No.10, pp.373-378, 2013.
[11] 웹 접근성연구소, K-WAH, from http://www.wah.or.kr/ 2015.05.26.
[12] 한국방송통신대학교대학원 사이버캠퍼스, 방송통신대학원, from http://ngradlms.knou.ac.kr , 2015.05.26.
[13] NULI, N-WAX, from http://nuli.navercorp.com
[14] 홍순구, 박지용, 이대용, “한국과 미국의 정부기관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한 자동화 평가도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산업학회지, vol.11, No.1, pp.38-47, 2006.
[15] 문경실, 최정현, 박수현 외 ,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설계 및 구현”, 해양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375-378, 2008.
[16] A-Checker, A-Checker, from http://achecker.ca/checker/index.php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0.11.30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