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오 SPAO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및 스파오 SWOT분석과 스파오 미래전략 제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파오 SPAO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및 스파오 SWOT분석과 스파오 미래전략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파오 SPAO 소개

2. 시장상황분석

3. 스파오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스파오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1) 제품전략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3) 유통전략
(4) SNS마케팅

5. 스파오 미래전략 제언

본문내용

른 속도로 점포를 늘려가고 있다. NC백화점은 기본 백화점과는 다르게 중저가 백화점으로 포지셔닝 하면서 백화점 내에 SPAO매장과 애슐리 등 외식프랜차이즈 업체의 입점을 통해 테마형 쇼핑스트리트를 오픈하며 소비자를 끌어 모으고 있다. 또한 NC백화점 등 자사 유통 안에 소규모의 패션 브랜드를 하나하나 입점하여 구성하는 방식 외에도 브랜드가 주체가 돼 규모를 정하고 콘텐츠ㅡ를 모아 스스로 독립적인 유통으로도 출점하고 있다.
(4) SNS마케팅
스파오는 페이스북, 트위터에 카카오톡과 같은 SNS 마케팅 역시 시행 하고 있다. 특히 기준 회원수가 7000만 명이 넘을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카카오 톡의 ‘플러스 친구 등록’에 가담하여 SPAO를 홍보하고 있다.
5. 스파오 미래전략 제언
스파오를 비롯해 모회사인 이랜드는 현재 전세계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유명 SPA브랜드들에 비해 해외진출경험이 부족, 따라서 삼성전자가 애플을 벤치마킹하여 현재는 애플과 휴대폰시장에서 1,2위 경합을 벌이듯이 경험이 부족한 초기에는 벤치마킹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의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는 그 동안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지만 ZARA와 같이 SPA산업에서는 패션흐름을 미리 읽고 적절한 시기에 상품을 진열대에 올려놓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함에 있어 물류시스템과 유통시스템 마련에 고심해야 하며 이는 3사 중 H&M이 가장 독보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유니클로와 같이 SPA산업 내에서도 유행에 민감하지 않은 베이직한 상품들을 꾸준히 판매함으로써 대중들에게 브랜드를 인식시키는 과정 또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스파오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새로운 핵심 역량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과거 SM 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제휴만으로는 2009년 뒤늦게 SPA 시장에 뛰어든 스파오가 후발 주자로서 유니클로나 H&M, ZARA 등과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랜드 그룹의 지원 하에 스파오 만의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SPA 산업에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의 성공을 가늠할 것으로 보인다. 이랜드 그룹의 국내 유통망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등 여러 나라에서의 이미 선점한 유통망을 적극 활용하는 방향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통 프로세스의 새로운 개혁을 통해 원가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빠른 점포 확장에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 가격3,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4.12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