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주제학습 (복막투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복막투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투석(Dialysis)의 정의
2. 투석(Dialysis)의 사용
3. 투석(Dialysis)의 목적
4. 투석(Dialysis)의 효과
5. 투석(Dialysis)의 형태
6. 투석(Dialysis)의 적응증
7. 복막 투석(PD)의 정의
8. 복막 투석(PD)의 원리
9. 복막 투석(PD)의 장점 및 단점
10. 복막 투석(PD)의 금기 사항
11. 복막투석의 유형
12. 복막 투석(PD)을 위한 장비
13. 수술 방법
14. 투석액 교환 방법
15. 합병증 관리
16. 환자 교육

본문내용

과 진찰을 한 후 복막액 검사를 보냄
그람 염색(gram staining)
총세포수(total cell count)와 백혈구 감별계산(differential WBC count)
배양(culture)과 항생제민감성(antimicrobial sensitivity)검사
⑤ 복막염의 치료
세척(lavages)
: 복막염이 의심되면 검사에 필요한 복막액을 체취한 후 투석액으로 2~3번의 세척 실시
처음 항생제 치료
: 1세대 cephalosporin과 aminoglycoside를 병용하여 정맥 주사함
배액 검사 결과에 따른 항생제 치료를 실시
a. 그람 양성균(gram positive)
Enterococcus - ampicillin + minoglycoside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nafcillin, nafcillin + rifampin(구강투여)
b. 그람 음성균(gram negative)
E.coli, Klebsiella, Proteus - 1세대 cephalosporin
항생제 사용 기간
a. 증상이 호전된 경우
그람 양성균 - 14일
Staphylococcus aureus - 21일
그람 음성균 - 21일
b.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
그람 양성균 - 항생제 치료를 하면서 96시간 관찰 후 카테터를 제거함
⑥ 복막염으로 진행할 수 있는 합병증
일시적으로 초여과가 감소될 수 있음
복막의 손상으로 단백질의 배출이 늘어남 - 영양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음
복막의 손상으로 투석 효율이 저하됨
복막 유착이 올 수 있음
▷ 도관 출구 감염
① 증상 : 작열감, 홍반, 종창, 통증, 분비물, 상피의 퇴행과 육아 조직의 돌출 등
② 간호와 치료
검사 - 삼출물의 그람 염색(gram stain)과 배양(culture)을 시행 함
그람 염색 결과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함
삼출물의 양에 따라 1일 1~2회 출구를 치료함
출구 치료 후에는 반드시 멸균된 거즈로 출구 부위를 덮음
삼출물의 항생제 민감성 검사 결과에 의한 항생제를 투여함
질산 은으로 육아 조직을 소작함
▷ 투석량의 부족
① 원인
잔여 신기능의 감소
: 초기 복막투석을 시작했을 때 환자들은 어느 정도 잔여 신기능이 있어 요독증을 적절 하게 조절하게 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잔여 신기능이 감소하고 복막 청소률만으로 적절한 치료를 하기에는 불충분하게 됨
불충분한 이행, 복막기능의 상실 등
② 증상
식욕부진, 피로의 증가, 오심과 구토, 불면증, 말초 신경병증, 심내막염, 영양상태의 악화, 빈혈의 악화, 영양실조로 인한 근육량 감소
③ 간호 및 치료
규칙적으로 영양상태, 투석량, 복막기능에 대하여 모니터 함
투석량을 늘림
효과가 없다면 다른 형태의 신 대체 요법으로 바꾸어야 함
▷ 영양실조
단백질로 인한 영양실조는 복막투석 환자에서 흔함
① 원인
복막 투석액으로 아미노산과 단백질 손실
식욕부진
투석액으로부터 포도당 흡수증가로 인한 단백질 섭취 감소
복부 내 압력 증가 및 팽만감으로 인한 음식섭취 감소
감염과 같은 내과적 질환
투석량의 부족
▷ 복막 부전
복막 부전에는 3종류가 있음
Type Ⅰ부전 : 빠른 용질 이동이 한외여과 부전의 원인
투석액 내 포도당의 빠른 흡수로 인한 삼투압 감소에 의한 것
Type Ⅱ부전 : 경화성 복막염과 만성 진행성 염증은 복막의 투과성과 표면적 감소시킴
⇒ 한외여과와 용질 이동을 감소시킴
Type Ⅰ복막부전이 가장 흔하며, Type Ⅰ과 Ⅱ 모두는 복막 평형검사(PET) 결과에 의해서 쉽게 복막 특성을 알 수 있음
▷ 수술 후 합병증
① 투석액 누출
: 발생 위험률이 높은 층- 비만한 사람, 출산 경험의 여성, 복부 수술 경험이 있는 사람
치료- 복막 투석을 일시적으로 중단
② 투석액 유입의 장애
: 원인 - 카테터에 섬유소나 응혈이 생겼을 경우 및
피하 터널에서 카테터 위치가 변했을 경우
치료 - 헤파린 용액으로 카테터 세척, 카테터의 위치를 복부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
③ 투석액
: 원인 - 카테터에 섬유소나 응혈이 생겼을 경우 및 변비, 카테터 위치가 변했을 경우
치료 - 헤파린 용액으로 카테터 세척, 카테터의 위치를 복부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 후
카테터를 재삽입하거나 섬유소 용해제를 투여해 봄
④ 탈장(hernia)
: 지속적 보행성 복막 투석 환자의 10%에서 복부 탈장이 발생함
탈장의 20%는 도관을 설치하기 위해 외과적으로 절개한 곳을 통해 발생
가끔 복벽 내의 손상 부위를 통해 일어나기도 함
서혜부 탈장, 제대 탈장, 식도 탈장 및 이전의 복부 절개 부위를 통한 탈장이 일반적
증상 - 없을 수도 있으나, 오심, 구토, 복통을 동반한 간헐적인 장폐쇄가 초래
치료 - 발견되면 곧 봉합
◆ 환자 교육
▷ 환자 간호 교육
① 투석액 교환 방법을 교육함
② 도관 출구 부위의 드레싱 방법을 교육함
③ 합병증 및 그에 따른 증상에 대해 교육함
④ 투석액이 약물 주입 방법을 교육함
▷ 식이 교육
① 단백질
단백질 섭취 권장량 : 1.2~1.5g/kg/일
복막 투석 환자에게 추천되는 단백질 양 > 혈액 투석 환자에게 추천되는 단백질 양
⇒ 투석액으로 단백질이 손실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함
② 열량
소량씩 자주 섭취, 3번의 식사는 거르지 않음
투석액에 포함된 당분은 환자의 몸에 일부 흡수되므로 단순당의 섭취는 제한
③ 염분(Na)
염분 섭취 : 1일 10g 이내
고혈압, 당뇨, 부종, 비만, 고지혈증이 동반된 경우 : 염분을 더욱 제한
④ 칼륨(K)
지속적인 복막 투석은 혈청 칼륨이 잘 조절 됨
⇒ 고칼륨 혈증이 드물며, 식이에서의 칼륨 제한 엄격하지 않아도 됨
▷ 약물 교육
주로 투여되는 약물 : 수용성 비타민제, 철분 제제, 인 결합제, 칼슘 보충제,
활성 비타민 D3, 항교혈압제, 칼륨 배설제, 적혈구 조혈 호르몬(epo 제제) 등
<< 참고 문헌 >>
투석환자 관리지침/ 임상간호사회 신장간호분야회 편/ 고려의학
성인간호학 / 김태진/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下-Ⅳ/ 서문자외/ 수문사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임상간호의 핵심/ 강병철 / 한우리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1.06.11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