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전동기와 발전기의 특징 및 구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전동기와 발전기의 특징 및 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가. 전동기
1. 직류 전동기
1) 직류전동기의 원리
2) 직류전동기의 구성요소
3) 직류전동기의 종류
2. 교류 전동기
1) 교류 정류자 전동기
2) 유도전동기
3) 동기전동기
4) 전동기의 정비
나. 발전기
1. 직류발전기
1) 직류발전기의 구조
2) 직류발전기의 원리
2. 교류발전기
1) 직류발전기의 구조
2) 직류발전기의 원리
3. 발전기의 병렬운전
1) 직류발전기의 병렬운전
2) 교류발전기의 병렬운전

Ⅲ. 결론

Ⅳ. 참고 도서와 출처

본문내용

의 정류자편에 연결되어 있고 브러시의 색깔도 구별되어 있으므로 정류자편과 브러시 사이의 위치를 확실하게 합니다. 정류자편들은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정류자편을 사이에 두고 고정된 2개의 브러시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어 코일로 이루어진 전기자가 회전하면 정류자편도 회전하여 교대로 각 브러시에 접촉됩니다.
직류발전기는 전기자가 1회전하는 동안에 최대값이 두 번 있게되는데, 0에서 최대값 사이로 변하므로 전압의 변화가 큽니다. 코일의 수를 많게 하면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발전기의 출력전압의 변화가 적어져서 직류에 가깝게 됩니다.
이때 정류자편 수는 코일의 수에 비례하여 많아야 합니다 또 계자의 극수를 증가시키면 1회전하는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의 최대값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더욱 유리합니다.
직류발전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장에서 도선을 운동시키면 자력선과 상대운동을 하게 되므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교류를 발생시키는 상대운동의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그 한 가지는 주로 직류발전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자기장이 고정되어있고 도선이 운동하는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주로 교류발전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서 전기자인 도선이 고정되어있고 자기장이 운동하는 것입니다. 이때 기전력의 크기와 방향은 이들 형식에 관계 없이 패러데이의 법칙과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에 따릅니다.
교류발전기는 출력전압의 위상에 따라 단상 발전기와 3상 발전기로 나눌 수 있다. 3상 교류는 단상에 비하여 효율이 우수하고 결선방식에 따라 전압, 전류에서 이득을 가지며 높은 전력의 수요를 감당하는데 적합합니다.
직류발전기에서는 계자를 고정시키고 전기자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교류발전기에서는 굵고 무거운 전기자 코일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문제를 없애기 위해 전기자를 고정시키고 무게가 가벼운 계자를 회전시킵니다. 그래서 교류발전기에서는 전기자를 고정자, 계자를 회전자라고 합니다. 스테이터는 3개조의 코일과 마그네틱 코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어는 와류 손실을 감소하기 위해 얇은 연철판으로 계철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로터는 내부의 철심에 코일이 감겨있고 슬립링을 통해 전류가 들어오면 전자석이 됩니다. 이때 로터가 회전하면서 자속을 끊어 스테이터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되도록 합니다. 스테이터 코일의 유도전류는 슬립링과 브러시를 통해 부하에 공급됩니다.
두 대 이상의 발전기가 항공기에 사용될 때에는 서로 병렬로 연결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이때, 발전기의 공급 전류량은 서로 분담되어야 합니다. 어떤 한 발전기의 전압이 다른 것들보다 높을 때에는 전류의 상당한 양을 그 발전기가 부담하게 되어 과전류가 됩니다.. 상대적으로 다른 발전기들은 적은 전류만을 부담합니다. 병렬로 운전 중인 2개의 발전기의 부하 전류를 고르게 분배하려면, 이퀄라이저 회로를 사용하여 2개의 발전기 출력전압이 같도록 합니다. 이때 발전기의(-)단자인 E와 접지사이에 저항이 매우 작은 이퀄라이저 저항을 연결해야 합니다.
이 저항은 발전기의 용량에 맞게 선정하는데 용량 300[A]의 발전기에서는 0.5[V] 전압강하가 일어나도록 0.00167[Ω]의 저항을 연결합니다.
교류발전기를 2대 이상 운전해야 할 때에는, 각 발전기의 부하를 동일하게 분담시킴으로써 어느 한 쪽 발전기에 무리가 생기는 것을 피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직류발전기와는 달리, 교류발전기의 병렬 운전 조건은 각 발전기의 전압, 주파수, 위상 등이 서로 일치해야 합니다. 이들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나서 이상이 없을 때에만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병렬운전을 합니다. 전압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전압이 높은 발전기에서 전압이 낮은 발전기로 무효순환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손실을 가져옵니다. 주파수와 위상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주파수와 위상차를 같게 하려는 동기화 전류가 흘러 또한 전력손실을 가져옵니다. 병렬운전 중에 어느 한 쪽의 발전기가 다른 발전기에 비하여 회전속도가 느리다면, 이 발전기의 출력을 낮습니다. 따라서, 다른 발전기로부터 역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 발전기는 순간적으로 전동기의 구실을 하므로 기관 구동력이 남게 됩니다.
이 남은 구동력에 의하여 발전기의 속도는 빨라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효과로, 느리던 발전기는 스스로 빨라져서 다른 발전기와 마찬가지로 자기 몫의 부하를 감당하게 됩니다. 이때 역련류를 동기화 전류라고 하빈다. 병렬운전을 할 때에는 교류 발전기에서 가한 부하 범위를 넘거나, 주위에 작동환경이 매우 나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주파수의 조절범위가 400±1[Hz]로서, 병렬운전을 할 때 두 발전기의 주파수의 차이가 최대로 2[Hz]가 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결론]
이번 조사를 통해 전동기의 발전기의 특징과 종류의 틀을 알게 되었고 앞으로의 전자전기개론 강의를 듣는것에 도움이 되는거과 나의 미래의 진로인 항공정비사에 다가가기 위해 이 레포트를 작성했습니다
[참고 도서와 출처]
Google이미지검색
전기전자공학입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nterholy&logNo=40038304568&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https://ko.wikipedia.org/wiki/%EB%B0%9C%EC%A0%84%EA%B8%B0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B%8F%99%EA%B8%B0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8F%84%EC%A0%84%EB%8F%99%EA%B8%B0
https://namu.wiki/w/%EA%B5%90%EB%A5%98%EC%A0%84%EB%8F%99%EA%B8%B0
https://blog.naver.com/holyricsmessiah/22148790884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pplepop&logNo=220645798373&parentCategoryNo=&categoryNo=13&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1.07.27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3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