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조예술 ) 철저하게 헤겔의 입장에서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기술 ]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창조예술 ) 철저하게 헤겔의 입장에서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기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예술
2. 헤겔
II. 본론
1. 헤겔의 예술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각기 개인이 살아온 환경에 따라 다르다. 이는 학자들에게도 적용된다. 그렇기에 현재까지도 인간다운 삶은 문화적 요소, 환경적 요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중 바디우는 인간다운 삶을 행복과 연관지어 이야기를 하였다. 그렇다면 우리는 바디우의 행복과 인간다운 삶이 어떻게 연관이 되는 지 살펴보자.
2. 바디우 Alain Badiou, 조건, 새물결, 2006.
Alain Badiou, 행복의 형이상학, 민음사.
알렝 바디우, 1973년 모로코 출생의 범마르크스주의 프랑스 철학자로 게오르크 칸토어의 집합론, 블라디미르 레닌의 혁명론, 마오쩌둥의 모순론, 루이알튀세르의 구조주의 등을 비판하며 나름의 혁명이론을 구성하였다. 바디우는 공산주의 사상을 가졌으나 아시아 국가의 공산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함과 동시에 자본주의에 대해서 거부적인 입장을 취한다. 바디우는 인간은 근대화의 산물로서 치부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본질과 이상적 진리에 다가가가기 위한 주체적인 산물로서 진보하는 개체로서 보기도 하였다. 즉 알렝 바디우는 인간은 진리와 이상에 다가가 위해 자기를 실현하며 초월적인 능력 또한 발휘 할 수 있는 개체로서 인간 본연의 삶의 질과 평등, 행복을 위해서는 공산주의적 사회 양식도한 세습해야함을 이야기하였다.
키워드: 알렝 바디우, 인간다운 삶, 행복
II. 본론
1. 바디우의 인간다운 삶 Alain Badiou, 조건, 새물결, 2006.
Alain Badiou, 행복의 형이상학, 민음사.
윤희노, 바디우‘진리-주체’이론의 교육적 함의,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4.
바디우가 생각하는 인간다운 삶을 살펴보면 플라톤의 진리론과 더불어 공산주의적 사회적 통념사상이 반영된 사회에서 영위된 평등함이 아울러진 삶을 의미한다. 먼저 플라톤의 진리론을 살펴보면 플라톤은 인간을 진리에 다가가기 위해 행위를 하는 개체로서 보았다. 여기서 진리란 플라톤 학파의 이론별로 상이하다. 진리를 신 혹은 영적 존재로서 치부하기도 하며 예술적인 이상향으로 보기도 하며 혹은 인간 만족 영위를 위해 다가가기 위한 자기 발전을 위한 행위를 진리라고 보기도하였다. 그렇다면 바디우의 인간다운 삶에서의 진리론을 대입하면 가장 마지막의 인간 만족을 위해 다가가기 위한 자기 발전을 위한 행위의 개념이 가장 가까울 것이다. 그렇기에 바디우의 경우 인간의 이러한 행위를 행복이라는 목적을 위해 행하는 과정으로서 규정하기도 하였다. 공산주의적 관념을 인간다운 삶에 대입을 해보면 핵심은 인간 평등의 개념을 대입하는 것이다. 인간은 욕심의 산물이다. 그렇기에 소유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기 위해 특정 행위를 하지만 이는 결과론적으로 상대방의 것을 특정 과정을 통해서 뺏어내는 것이다.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능력이 있는 사람은 더욱 행복해 지는 것이며 능력이 없는 사람은 빼앗기기만 할 것이다. 그렇다면 행복한 사람은 누구일까? 뺏긴 사람일까? 빼앗긴 사람일까? 둘 다 행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물질이나 재화같은 것을 공평하게 나눔으로서 불행의 야기를 막는 것이다. 즉, 바디우의 행복한 삶을 정리해보면 행복을 위한 일련의 행위들을 하며 그간 얻어지는 일련의 산물들을 모두가 공평하게 나눔으로서 평등과 행복을 동시에 얻어 나아가는 삶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III. 결론
인간 가치에 있어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바디우의 경우 행복과 평등이라는 개념을 인간 가치에 대입하며 이를 인간다움이라고 규정하였다. 여기서 생각해 보는 것은 ‘과연 평등이 모든 인간에게 행복할까?’였다. 능력에 있어 강자는 자신의 노력이나 재능으로 얻어낸 재화의 분배에 박탈감을 느낄 것이고 상대적으로 약자의 경우 강자의 눈초리와 같은 불편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행복이 과연 행복이라고 치부될 수 있는 것인지 생각해 볼 수 있다. 바디우의 평등과 행복은 현대 인간 사회에 있어서는 중요한 개념이긴 하지만 공산주의라는 기본 배경을 민주주의, 자본주의의 개념에 적용하기에는 현재는 다소 어려운 면이 있다. 그렇기에 바디우의 행복, 인간다운 삶의 실현은 현대 사회에 대입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발견하는 것 또한 우리에게 주어인 과제라고도 볼 수 있다.
IV. 참고문헌
단행본
Alain Badiou(2006). 조건, 새물결.
Alain Badiou(2016). 행복의 형이상학, 민음사.
2. 학술논문
윤희노(2014). 바디우‘진리-주체’이론의 교육적 함의,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가격4,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7.28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