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지역사회,지역사회간호학,지역사회케이스,지역사회간호학케이스,지역사회간호,방문간호,방문간호케이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지역사회,지역사회간호학,지역사회케이스,지역사회간호학케이스,지역사회간호,방문간호,방문간호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지역사회 간호사정

가. 자료수집

나. 자료의 요약
1) 가족구조도
2) 가족밀착도
3) 사회지지도
4) 가족의 강점

다. 자료분석

라. 가족 간호진단

마. 우선순위 설정


2. 지역사회 간호계획

가. 목표설정

나. 간호계획

3. 성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의 무관심과 방치
위생
-부적절한 주거환경
더러운 주거환경
낙상 위험성
거동 어려움
마. 우선순위 설정
진단명
문제의 특성
문제의 해결능력
예방 가능성
문제인식의 차등성
총점
우선
순위
슬픔/무기력
1
1
1
1
4
1
관계형성/유지의 어려움
1
1
1
1
4
1
부적절한 건강관리감시
1
1
1
1
4
1
신체적 돌봄 부족
0.6
1
1
0.5
3
2
부적절한 환경
0.6
1
1
0.5
3
2
낙상위험성
1
1
1
1
4
1
1
2. 지역사회 간호계획
가. 목표설정
#1. 슬픔/무력감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2016년 10월 31일 까지 박ㅇㅇ님은 슬픔, 무력감의 반응을 표현하지 않는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무력감, 상실감, 분노, 우울, 죄의식 등의 감정을 표현한다.
-2016년 10월 31일 까지 매일 작은 목적을 세우고 달성한다.
-2016년 10월 31일 까지 간호사와 실습 학생의 정서적 지지에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는 자신의 성공적인 대처경험에 대해 말한다.
#2. 최소한의 활동으로 관계형성/유지의 어려움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2016년 10월 31일까지 대상자는 간호제공자, 가족, 친구 등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한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는 신체의 제한점으로 인한 사회적 독립 상실에 대한 슬픔을 표현한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는 지역사회지지 그룹 등 다른 사회적 자원을 사용한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가족, 친구들과 상호작용 한다.
#3. 부적절한 건강관리 감시/지식부족
일반적 목표
구체적 목표
2017년 10월 31일까지 대상자는 질병관리를 꾸준히 하여 만성질환을 관리한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와 가족은 질환에 대한 건강상태, 치료, 예후, 투약, 운동, 식이에 대해 설명한다.
-2017년 10월 31일 까지 대상자는 정규적인 보건소 방문으로 만성질환을 관리한다.
나. 간호계획
진단
#1. 슬픔/무력감
수행계획
2016년 10월 20일 까지 무력감, 상실감, 분노, 우울, 죄의식 등의 감정을 표현한다.
a. 대상자가 느낌을 말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준다.
b. 대상자가 상황에 대한 지각을 나누도록 격려한다.
-상실대상과의 관계를 재고
-죄책감, 분노, 슬픔의 적절한 표현에 대해 논의
-분노를 표현하도록 격려
c. 상황에 대한 이해 정도를 확인한다.
d. 신뢰적 관계를 유지한다.
2016년 10월 31일 까지 매일 작은 목적을 세우고 달성한다.
a. 자가 간호를 수행하도록 한다.
b. 대상자의 행동에 긍정적 강화를 한다.
c. 신체적 문제로 포기했던 활동을 확인하고 시작하도록 격려, 지지한다.
2016년 10월 31일 까지 간호사와 실습 학생의 정서적 지지에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a. 신뢰적 관계를 유지한다.
b. 대상자에게 긍정적 강화를 한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는 자신의 성공적인 대처경험에 대해 말한다.
a. 자신의 강점을 알도록 한다.
평가계획
노인 우울 검사 결과 점수가 호전됨을 확인한다.
계획 실시 전과 실시 후의 한 달 간격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호전됨을 확인한다.
진단
#2. 최소한의 활동으로 관계형성/유지의 어려움
수행계획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는 신체의 제한점으로 인한 사회적 독립 상실에 대한 슬픔을 표현한다.
a. 대상자에게 슬픔과 외로움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돕는다.
b. 자주 이용하는 지지체계를 파악하고, 대상자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관찰한다.
c.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기본적인 상태, 상황을 사정한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는 지역사회지지 그룹 등 다른 사회적 자원을 사용한다.
a. 필요한 지지체계를 연계시켜 준다. (경로당, 마을회관)
b. 실습학생이 방문하여 말벗이 되어줄 수 있도록 연계시켜 준다.
c. 방문간호사, 보건진료소가 지지체계임을 확실히 인식시킨다.
2016년 10월 20일 까지 가족, 친구들과 상호작용 한다.
a. 가족과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찾아준다.
평가계획
일상생활기능평가 (K-ADL)이 호전됨을 확인한다.
Family APGAR, 가족적응력 척도, 가족결속력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진단
#3. 부적절한 건강관리 감시/지식부족
수행계획
2016년 10월 20일 까지 대상자와 가족은 질환에 대한 건강상태, 치료, 예후, 투약, 운동, 식이에 대해 설명한다.
a. 대상자에게 맞는 식단표를 제공한다.
b. 대상자의 식습관 교육을 한다.
c.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운동을 하도록 권유한다.
d. 대상자에게 운동을 시범으로 보여주며 교육한다.
e. 교육 후 교육내용을 잘 이행하는지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관찰한다.
f. 가족이 치료과정에 같이 참여하도록 한다.
2017년 10월 31일 까지 대상자는 정규적인 보건소 방문으로 만성 질환을 관리 할 수 있다.
a. 보건소에서는 정기적으로 대상자의 질병관리를 점검한다.
b. 대상자에게 스스로가 자신의 질병을 관리하고 점검하는 것이 중요함을 교육한다.
평가계획
서비스 이용 평가(care)를 실시한다.
지식수준을 평가한다.
<예시>
3. 성찰
실제 이정도로 열악한 환경일거라고 생각해 본적 없었으나 직접 방문해보고 많이 놀라웠다. 취약계층의 수도 꽤 많다는 걸 알았고, 무엇보다도 정서적으로 다들 우울하고 슬퍼하는 것을 느꼈다. 방문간호사는 실제 이분에게 필요한게 무엇인지 정확히 사정하고 그에 맞는 지지체계를 연계 해주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며칠간 대상자의 집에 방문해보니 할머니 사연이 안타깝기도 하고 옆에서 내가 해 줄 수 있는게 무엇인지 많은 생각이 들었다. case로 간호과정을 적용해보니 새삼 내가 옆에서 해줄수 있는게 있어 짧은 실습 기간이였지만 대상자분께 도움이 된 것 같아 기쁘다. 기회가 된다면 더 많은 집을 방문해 그들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위로가 되어주고 싶다.
4. 참고문헌
김화중 외 2013년.지역사회간호학.서울:수문사.p193~243
차영남 외 2013년.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서울.p35~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2.11.12
  • 저작시기202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9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