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글쓰기 ) 상대평가는 올바른 평가 방식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 글쓰기 ) 상대평가는 올바른 평가 방식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목: 상대평가는 올바른 평가 방식인가?

주제문: 절대평가 찬성에 대한 근거와 반론에 대한 재주장을 통해 상대평가는 옳지 않다는 점을 제시한다


Ⅰ서론
1. 상대평가의 개념을 설명한다
1.1 상대평가의 도입 배경을 이야기한다
1.2 상대평가의 사례를 소개한다
2. 절대평가의 개념을 설명한다
2.1 절대평가의 도입 배경을 이야기한다
2.2 절대평가의 사례를 소개한다
Ⅱ. 본론
1.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비교한다
1.1 상대평가를 비판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1.2 대학교 학점 적용에 관한 비판 근거를 제시한다
1.3 대학교 현장 내 경쟁의 문제를 소개한다
1.4 학교 성적 및 표준화 시험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소개한다
2. 절대평가를 옹호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2.1 자격증 시험 및 공인어학 시험 평가 방식의 장점을 논의한다
2.2 대학교 학점 부담감을 덜 느끼기에 효율적인 경쟁을 생산한다
2.3 남들과의 협업을 통한 진정한 노력, 이를 통해 학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
Ⅲ.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장점이 많기에 빠른 시일 내에 해당 평가 방법을 도입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춘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회이다. 따라서 개별적인 역량 강화 역시 중요하지만 절대평가를 도입한 공동과제를 제출함으로써 구성원과의 불필요한 경쟁으로 인한 심력소모가 줄어들고 갈등이 줄일 수 있다. 또한 공동과제에 대한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과의 협업과정을 통해 공감 및 사회적 역량이 강화 될 수 있다.
Ⅲ. 결론 -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장점이 많기에 빠른 시일 내에 해당 평가 방법을 도입해야 한다
상대평가의 경우 비슷한 선상에서의 능력을 보유한 구성원 또는 단체중에서 사회에 필요한 인원을 한정적으로 채택하고자 할때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자원은 한정되기 때문에 보다 우수하고 뛰어난 것을 채택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한 지점에서는 효과가 있을 뿐,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에서는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구성원가의 우열 가리기로 인한 불필요한 경쟁과 갈등유발, 외재적 동기 상실, 목적전도과정과 같은 악영향은 오히려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방해가 될 뿐이다. 반면 절대평가의 경우 다음의 장점이 있다. 첫 번째, 본질적인 수준을 측정하는데 있어 학업을 수행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확한 통계를 통한 준거틀을 기반으로 측정한다. 이는 곧 실질적인 역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상대평가와 같은 순위에 대한 우열가리기가 아닌 본인의 역량을 갖추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대한 판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순수한 경쟁을 유도할 수 있다. 세 번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사회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불필요한 경쟁이 줄어들고 공동과제에 대한 절대평가가 이루어짐에 따라 공동의 목표를 타 구성원과 같이 수행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자기표현력, 리더쉽과 같은 사회적 인재로 거듭남에 필요한 역량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무조건 이것이 더 좋다라는 생각을 가져서는 안된다. 더욱이 앞으로의 사회를 책임질 사회적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경우 더더욱 그렇다. 가는 길이 쉽고 편하다는 이유로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과 과정에 집착하는 것이 아닌 본질적인 목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Ⅳ. 참고문헌
성의철 and 양혁승. (2015). 절대평가 대비 강제배분 상대평가 방식이 피평가자의 외재적 동기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 기대공정성, 지각된 통제감, 기대결과치를 통한 억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8(3), 1009-102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80117
장지연. (2019). 평가 유형(상대평가 대 절대평가)에 따른 2016-2019 수능 영어 독해 지문의 어휘 복잡성 비교.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8(3), 85-11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6819
김보경, 김세영, 이예경 and 임유진. (2021). 대학의 상대평가 및 절대평가 방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 교수-학습 연구, 14(2), 63-9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25872

키워드

  • 가격4,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2.06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4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