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학 ) 1) 멜랑콜리아 2) 디아더스 (2) 이론 응용, 두 영화를 통해 아래 중 택 1 1) 분석가 라캉 이 되어 프로이트 이론 을 비판 2) 분석가 프로이트 가 되어 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상문학 ) 1) 멜랑콜리아 2) 디아더스 (2) 이론 응용, 두 영화를 통해 아래 중 택 1 1) 분석가 라캉 이 되어 프로이트 이론 을 비판 2) 분석가 프로이트 가 되어 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화 선정
1) <멜랑콜리아>
https://serieson.naver.com/v2/movie/18302?isWebtoonAgreePopUp=true
2) <디아더스>
https://serieson.naver.com/v2/movie/455645?isWebtoonAgreePopUp=true

(2) 이론 응용
두 영화를 통해 아래 중 택 1
1) < 분석가 라캉 >이 되어 < 프로이트 이론 >을 비판하거나
2) < 분석가 프로이트 >가 되어 < 라캉 이론 >을 비판하시오.

본문내용

을 보는 것을 맞지 않은 시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레이스의 자아는 멜랑콜리아의 저스틴과 마찬가지로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이다. 현실 세계와 동떨어진 망상을 집착하는 편집증의 양상을 보인다. 영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하인은 이런 그레이스의 초자아를 상징하며, 이드의 충동을 억제하고 무엇이 옳고 그르고 어떤 행동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라캉은 자아가 현실을 점증하는 기능을 행하기에 그 대상을 오인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무시한 채 자아의 인식을 오인이라 주장하였다. 만약 이러한 주장은 우울증을 인식하는 것조차 오인이라 말하는 것과 다름없다. 라캉은 언어가 아니면 ‘나’라는 주체를 구성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모든 인간에게 해당하는 것이며 모든 인간은 위태로운 상태에 놓여있어야 한다. 하지만 병증을 앓는 것이 모든 인간에게 해당하지 않으며, 언어로 구성된 주체가 끊임없는 존재의 확인을 받고자 한다는 것을 상징계에만 존재한다는 것도 맞지 않은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주체의 입장에서는 객체의 입장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하지만 우리는 객체의 관점에서도 주체를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라캉의 이론을 비판할 수 있겠다.
  • 가격4,1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3.02.14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