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이해 ) 지금까지 내가 재미있게 본 역사책을 제시하고 소개해주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의 이해 ) 지금까지 내가 재미있게 본 역사책을 제시하고 소개해주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음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서술해주세요. (25점)
⑴ 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술해주세요.
※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①선정 이유 ②간략한 인물 소개 ③나에게 끼친 영향 ④현재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 등
⑵ 지금까지 내가 재미있게 본 역사책을 제시하고 소개해주세요.
※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①선정 이유 ②간략한 책 소개 ③소개한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점 등

2. 다음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서술해주세요. (25점)
⑴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을 꼽고 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⑵‘역사 속의 자신의 삶’을 다음 세대의 사람들에게 전달한다면 담고 싶은 내용은?

참고문헌

본문내용

군정 보고서들은 이 기사가 <태평양 성조기> 12월 27일자에 실렸고 국내 신문들이 12월 28일 이 기사를 보도했다고 적었으나, 국내 신문들도 모두 12월 27일 같은 기사를 보도했다. 그렇다면 왜곡보도의 주체는 도쿄와 서울에서 미 육군 신문과 국내 신문에 같은 기사를 동시에 배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이고, 일개 국내 통신사(합동통신)가 그런 능력을 가졌을 리는 만무하다는 판단이다. Ibid.
위 기사의 보도 이후 어떤 신문은 반탁운동을 부추겼고, 어떤 신문은 내 통일에 전력을 다할 것을 호소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의 정치지형을 식민 잔재 청산이라는 과제로부터 좌우 대립 구도로 재편한 것은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이 한국 사회에 남긴 커다란 파급력이었다. 신탁통치를 둘러싼 파벌 싸움은 미·소 간 냉전이라는 국제정치적 기준이 부과되면서 빚어진 결과이자 한국 사회 내부의 분열이 터져 나오는 기점이었으며, 그 과정에서는 작위적 공작이 만발하였다. Ibid.
이후 이승만 정권은 취약한 지지기반을 극복하기 위해 반공주의를 정적 탄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정권의 정당성과 관련한 민족통일세력과의 대립에서 이승만 정권은 친일경찰 및 관료 동원, 각종 보안사건 조작을 통해 이들 세력을 폭력적으로 탄압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행위를 합리화하는 도구로서 반공 이데올로기가 동원되었다. 이와 더불어 1950년 발발한 6.25전쟁은 남한 사회 내 공산주의에 대한 적대감과 증오감을 극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반공주의는 체제 보안과 안정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며 최고의 가치로 군림하게 되었다. 정용욱, 한국사회사상사연구 중 \"제휴와 배제의 이중주; 한국현대사에서 민족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좌우 대립\", (파주: 나남출판, 2003), 3-17.
전쟁 초기 인민군 점령 지역에서 이승만 정권의 공무원 등으로 일했던 사람들은 우익에의 보복 대상이 되었고, 인민군이 후퇴한 뒤에는 좌익 집안의 사람에 대한 보복 학살이 일어났다. 이러한 마을 및 집안 단위의 경험은 무엇보다도 강력하게 사람들의 내면에 반공 이데올로기를 각인했고, 수십 년의 세월이 지난 후에도 심리적 방어기제를 작동하게 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김귀옥, “지역의 한국전쟁 경험과 지역사회의 변화: 강화도 교동 섬 주민의 한국전쟁 기억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71 (2006): 60-68.
따라서 향후 한국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반공주의가 지금까지도 명맥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사건으로 모스크바 3상회의 결과의 오보 사건을 짚을 수 있겠다.
참고문헌
김귀옥. “지역의 한국전쟁 경험과 지역사회의 변화: 강화도 교동 섬 주민의 한국전쟁 기억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71 (2006): 40-71.
정용욱. “신탁통치안 왜곡의 출발은 ‘날조 전문’ 미국 기자.” 한겨레. 2019년 6월 8일. https://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897094.html.
정용욱 엮음. 해방의 공간, 점령의 시간. 서울: 푸른역사, 2018.

키워드

  • 가격4,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2.15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