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질병 정의, 특성,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중재 등
2. 케이스
2-1 히스토리 (과거력, 가족력, 현병력, 개인력, 검사, 발달사항 등)
2-2 간호문제, 간호진단, 사정자료, 중재 및 근거, 평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제 투여 후 1시간 이내에 NRS 통증 점수가 7점에서 5점 이하로 떨어진다.
2.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₂98%이상 유지한다.
3. 대상자는 2일 이내에 wheezing sound가 사라진다.
4) ‘간호과정’ 기록지
Ⅱ. 임상사례보고서
2. Nursing Progress
4) ‘간호과정’ 기록지
우선
순위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
평가
목표/
기대되는 결과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4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체온을 측정하였을 때 37도 이하의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대상자는 필요시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정확한 용량에 맞추어 투여한다.
스펀지 또는 수건에 물을 적셔 미온수(스펀지) 목욕을 시행한다.
아동의 방 온도는 18℃를 유지한다. 선풍기를 사용하여 환기를 통해 방의 온도를 낮춘다.
아동은 가벼운 복장이나 얇은 시트를 사용한다. 또한 이마를 통해 과다한 열을 소실하기 때문에 열이 있을 때 이마를 덮지 않는다.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하고,시원한 물을 마실 것을 격려하며 탈수징후(모세혈관 충전시간의 지연(3초 이상), 비정상적인 피부긴장감, 비정상적 호흡양상, 약한 맥박, 차가운 사지, 소변량감소, 천문함몰, 건조한 점막, 푹 꺼진 눈, 눈물이 나지 않음,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외모를 발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부모에게 열은 인체가 감염과 싸우기 위해 사용하는 보호기전이라는 것을 교육한다.
필요시 처방에 따른 산소를 투여한다.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한 백혈구 및 호중구 수치를 확인하고 활력징후와 의식수준, 피부색깔 등을 측정하여 감염증상을 발견한다.
대상자는 신체적인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환자의 입술이 건조하지 않도록 젖은 거즈를 대준다.
배양할 객담표본을 채취한다.
처방에 따라 항균제를 투여한다.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은 모두 cyclo-oxygenase(COX) 활성을 저하시켜 PGE2의 합성을 방해함으로써 약리작용을 한다.
스펀지 또는 수건에 물을 적셔 지속적으로 피부를 문지르면서 계속 시원한 물로 새로운 층을 형성하여 전도를 최대화하고 동시에 대류와 증발이 열소실을 증진시키는 원리에 의해 해열작용을 한다. 찬물을 사용하면 미온수보다 체온하강효과가 더 크지만 피부의 냉각수용기를 자극하게 되어 혈관 수축이나 전율, 오한등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미온수 스펀지 목욕은 대상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면서 체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서늘하고 안락한 방은 열 방출을 증가시키며 휴식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 선풍기는 방안의 공기순환을 증가시켜 전도와 대류에 의해 신체에서 열을 쉽게 빼앗아 가도록 돕는다.
무거운 이불이나 시트는 열 발산을 방해한다.
열이 나면 호흡이 빨라진다. 발한과 호흡의 증가는 신체의 수분 소실량을 가중시키며 아동은 탈수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탈수는 더욱 열을 높인다.
부모들의 발열 및 고열의 정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자녀들의 발열 관리를 필요 이상으로 공격적으로 하게 하는 원인 그리고 불필요한 의료 이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대사 속도의 증가로 신체의 산소 소모량도 증가하므로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함이다.
감염 시 많은 수의 백혈구가 순환혈액 속으로 방출되어 백혈구 수치가 높게 확인되고, 호중구 또한 급성 염증반응시 높게 관찰된다. 고열로 인한 빈맥과 빈호흡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체온상승, 피부발적, 빈맥, 호흡수 증가 등은 감염증상을 의미하므로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휴식과 안정은 대사율과 근육 운동을 저하시켜 신체 내의 열생산을 저하시킨다.
탈수현상으로 인한 구간점막의 건조를 막기 위함이다.
객담표본은 원인균을 밝히는데 필수적이다.
항균제는 원인균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3월 26일 목표달성됨. 대상자의 고막체온 측정결과 37.2도 측정됨.
3월 26일 목표 달성됨. 대상자의 요골맥박 측정 결과 94회 측정됨.
3월 26일 목표 달성됨. 대상자의 입술주변 관찰결과 밝은 살색 확인함.
3월 27일 목표달성 안됨. 혈액검사 결과 WBC 18.5 측정됨.
<기대되는 결과>
1. 대상자는 해열제 복용 후 1시간 이내에 체온이 37.5도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2.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맥박을 측정 하였을 때 60~100회 사이를 유지할 것이다.
3.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입 주위의 피부 색이 밝은 살색으로 변할 것이다.
4. 대상자는 1일 이내에 혈액검사 결과 WBC 수치가 10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Ⅱ. 임상사례보고서
3. Referance
1) 저서
김근순 외. (2017). 여덟째판 수정판 성인간호학Ⅱ. 파주 : 수문사. p949.
강현숙 외. (2011). 근거기반 기본간호학Ⅱ. 파주 : 수문사. p775~780.
김영혜 외. (1994). 아동 간호학 각론. 서울 : 도서출판 정담. p215~217.
김명자 외. (1997). 기본간호학(상). 서울 : 현문사. p423~424.
윤희옥 외. (2016). 아동간호학Ⅱ 제2판. 서울 : 현문사. p15, p490~498.
김은영. (2017). 성장과 발달. 대구 : 배영출판사. p36~39, p45~49, p53, p87, p95~101.
2) 논문
김선수, 권인수 (2016). 초등학생의 천식 자가관리 지식과 실천의 관계.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2(2), 87-96
정용선,김진선. (2010).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 문헌고찰,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제1호, 30-40
손해경, 송효빈, 김동희. (2018).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 - 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1), 101-108.
최애란,김진선. (2014).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한 부모들의 발열공포와 관련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0, No.2, 113-122
3) 기타
질병관리본부. (2016.12.29.). 천식. Retrieved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420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3.02.16
  • 저작시기202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