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A형] 1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A형] 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통형(25점)
➀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10점) 1.1. 관찰법의 개념
1.1.1. 관찰법이란?
1.1.2. 관찰법의 특징
1.1.3. 관찰법의 유형

1.2. 관찰기록방법
1.2.1. 관찰기록방법이란?
1.2.2. 관찰기록방법의 종류
1.2.3. 관찰기록방법의 선택 기준

1.3. 관찰 진행절차
1.3.1. 관찰 대상의 선정
1.3.2. 관찰계획 수립
1.3.3. 관찰 수행
1.3.4. 관찰기록 작성
1.3.5. 관찰결과 분석

➁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5점) 1.4. 선택된 관찰기록방법: 체크리스트
1.4.1. 체크리스트란?
1.4.2. 체크리스트의 장단점
1.4.3. 체크리스트의 선택 이유
➂그 관찰기록방법을 교육현장이나 생활현장에서 직접 실시한 기록과 그에 따른 결과를 기술하시오(10점)
1.5. 교육현장에서의 체크리스트 관찰기록 방법 적용
1.5.1. 관찰 대상 선정: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1.5.2. 관찰계획 수립: 수업 내용과 목표 설정, 관찰 항목 선정
1.5.3. 관찰 수행: 수업 관찰, 체크리스트 작성
1.5.4. 관찰기록 작성: 체크리스트 기록
1.5.5. 관찰결과 분석: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평가, 개선 방안 도출

1.6. 생활현장에서의 체크리스트 관찰기록 방법 적용
1.6.1. 관찰 대상 선정: 가족 구성원의 식습관
1.6.2. 관찰계획 수립: 식습관 관찰 항목 선정, 기록 방법 결정
1.6.3. 관찰 수행: 식사 관찰, 체크리스트 작성
1.6.4. 관찰기록 작성: 체크리스트 기록
1.6.5. 관찰결과 분석: 가족 구성원 식습관 평가, 개선 방안 도출


2. 지정형(5점)
A형(학번 끝자리가 1-3): 교육평가의 개념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시오.(1페이지 정도 분량)

1.교육평가의 개념
1.1. 교육평가란?
1.2. 교육평가의 목적
1.3. 교육평가의 중요성

2.교육평가의 종류
2.1. 전통적 평가와 현대적 평가의 비교
2.2. 내용 중심 평가와 학습자 중심 평가
2.3. 교육평가의 다양한 형태

3.교육평가의 과정
3.1. 평가 계획
3.2. 평가 수행
3.3.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

본문내용

그리고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언어능력과 작문능력, 그리고 읽기와 이해 능력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2.2.3. 내용 중심 평가와 학습자 중심 평가의 차이점
내용 중심 평가와 학습자 중심 평가는 평가의 대상과 중점이 다르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내용 중심 평가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는 반면, 학습자 중심 평가는 학습자의 학습능력과 학습성취도를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합니다. 내용 중심 평가는 평가의 대상이 교육과정의 내용이기 때문에 정량적인 평가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학습자 중심 평가는 학습자의 능력과 성취도를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정성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3. 교육평가의 다양한 형태
지각 평가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얻은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지각 평가 방법으로는 시험, 과제, 프로젝트 등이 있습니다.
절차 평가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떤 절차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거나 목표를 달성하는지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절차 평가 방법으로는 문제 해결 과정 평가, 프로세스 평가 등이 있습니다.
결과 평가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달성한 결과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결과 평가 방법으로는 성적, 수준 평가, 성취도 평가 등이 있습니다.
대인 관계 평가
학생들의 대인 관계 능력, 태도 등을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대인 관계 평가 방법으로는 토론, 토의, 프로젝트 팀 평가 등이 있습니다.
자기 평가
학생들이 자신의 교육과정에서의 성취도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자기 평가 방법으로는 포트폴리오, 셀프 평가, 자기 진단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교육평가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평가 방식을 선택하여 학생들의 성취도와 발전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3.교육평가의 과정
3.1. 평가 계획
평가 계획은 교육평가의 첫 번째 단계로, 평가의 목적과 범위, 평가 방법, 평가 도구, 평가 대상, 평가 시기,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등을 정하는 단계입니다.
평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는 평가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고,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평가 방법을 선택하며, 평가에 필요한 도구와 측정 지표를 설정합니다. 평가의 시기와 방법, 그리고 평가 결과를 활용할 방안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평가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교육평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교육 평가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3.2. 평가 수행
평가 수행 단계에서는 평가의 목적에 따라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실제 평가를 수행합니다. 평가 도구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선정된 평가 도구에 따라 평가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평가 대상을 명확히 정하고 평가 도구를 선정한 뒤, 실제 평가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는 경우, 시험, 퀴즈, 과제, 발표 등 다양한 평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각 평가 도구마다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장단점이 있으므로, 평가 목적과 대상에 맞는 적절한 평가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가 수행 과정에서는 평가 대상자의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는 데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평가 도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고, 평가 결과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평가 도구 사용 전 사전테스트, 평가자 간 신뢰도 검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평가 수행 단계에서는 평가 결과가 정확하고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절차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평가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평가 결과를 토대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3.3.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
교육평가의 마지막 단계는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거나 학습자의 학습계획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평가 결과 분석 과정에서는 평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족도 조사 결과를 분석할 때는 주로 빈도수나 백분율 등의 통계 분석을 사용하고,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할 때는 평균값, 중앙값, 표준편차 등을 활용합니다.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평가 결과를 자세하게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합니다. 이후 해당 방안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및 학습자의 학습계획 수정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김미희, 이현영 (2013). 수업관찰을 통한 학습자 중심수업 구현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 교과서 활용 사례. 교육과학연구, 43(2), 293-313.
김영규, 박윤석 (2005). 교실관찰을 통한 신입교사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실천연구, 19(1), 87-112.
김윤지 (2018). 유아의 독립적 학습능력 평가 도구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지, 24(2), 231-250.
김현희, 정연주, 심철식 (2013). 실습학습을 위한 교육현장 관찰 및 심화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습학습교육학회지, 1(2), 25-37.
류소영, 정진규, 임현주 (2007). 대학생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참여도와 정보교환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2), 106-134.
박영진, 이승희 (2017).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프로젝트 활동의 효과. 초등교육연구, 30(1), 169-186.
박중완, 이은영, 김미성 (2017). 원격 강의 적용 환경에서 학생 참여도 분석.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0(10), 1379-1387.
서영애 (2018). 학교에서의 논술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43-68.
송영주, 이경숙, 정경란 (2019). 협동학습을 활용한 교실관찰 및 평가 체계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35(1), 49-72.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3.04.20
  • 저작시기202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3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