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공학개론_논리 기호의 해석 방법과 5가지 Standard 논리게이트 심볼의 대치 논리 게이트 심볼을 그리시고 표준기호로부터 대치기호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공학개론_논리 기호의 해석 방법과 5가지 Standard 논리게이트 심볼의 대치 논리 게이트 심볼을 그리시고 표준기호로부터 대치기호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논리기호의 해석 방법
2.5가지 표준논리게이트 심볼의 대치논리게이트
3.표준기호로부터 대치기호 구하기
4.참고문헌

본문내용

각각 AND(합 연산), OR(곱 연산), NAND(합 연산의 인버터), NOR(곱 연산의 인버터), INV(인버터)가 있다. 5가지 표준논리게이트 심볼의 대치논리트게이트 심볼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표준기호로부터 대치기호 구하기
2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준논리게이트는 5가지가 있으며 이는 5가지 표준논리기호를 사용하여 논리회로를 작성한 것이다. 표준논리기호는 대치논리기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표준기호의 입출력을 인버터한다. 입출력선에 작은 원이 없으면 작은 원을 더하고 작은 원이 있다면 작은 원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AND는 OR로, OR은 AND로 연산기호를 바꾼다. 다만 인버터는 특수한 경우로 바꾸지 않는다. 표준기호를 대치기호로 바꿀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을 유념해야 한다.
1) 등가성은 임의의 입력을 가진 게이트에 대해서 확장, 적용된다.
2) 표준기호는 입력에 작은 원을 갖지 않지만 모든 대치기호는 작은 원을 가진다.
3) 표준기호나 대치기호는 물리적으로 같은 회로이다. 두 가지 기호로 표시되는 기호들은 차이가 없다.
4) NAND와 NOR게이트는 인버팅 게이트로서 표준기호나 대치기호 둘 다 입력이나 출력 중 어느 한쪽에 작은 원을 가진다.
5) AND와 OR게이트는 인버팅 게이트가 아니므로 대치기호에만 입출력 양쪽에 작은 원을 가진다.
4. 참고문헌
1. 디지털공학개론 교안
2. 2011년 한경대학교 김수찬 교수 디지털공학 강의 교안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334780)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서평,   독후감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6.27
  • 저작시기202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3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