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하지마비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레포트 A+)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왼쪽 하지마비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레포트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진단, 정의
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간호 평가

본문내용

관리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3. 어떠한 물건을 사든지 다른 사람이 동행해 주어야 한다.
4. 금전 관리를 하지 않는다. 추가 질문으로
* 추가 질문: 다음 중 환자에게 맞는 것을 고르시오.
4-1. 금전 관리를 할 수 있는데 하지 않는다.
4-2. 금전 관리를 해본 적이 없다.
9. 전화 사용 전화번호를 찾고, 걸고 또 받는 것
질문: 어르신께서는 전화를 걸고 받는 일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하십니까?
1. 혼자서 전화번호를 찾고 또 전화를 걸 수 있다.
2. 알고 있는 전화번호 몇 개만 걸 수 있다.
3. 전화는 받을 수는 있지만 걸지는 못한다.
4. 전화를 걸지도 받지도 못한다.
10. 약 챙겨 먹기 제 시간에 정해진 양의 약 먹기
질문: 어르신께서는 약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잘 챙겨 드십니까?
1. 제 시간에 필요한 용량을 혼자 챙겨 먹을 수 있다.
2. 필요한 양의 약이 먹을 수 있게 준비되어 있다면, 제 시간에 혼자 먹을 수 있다.
3. 약을 먹을 때마다 다른 사람이 항상 챙겨주어야 한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에게 측정한 일상생활활동(ADL)을 설명하고 프린트물을 제공하였다.
2. 대상자에게 측정한 수동적 및 능동적 ROM 운동을 설명하고 프린트물을 제공하였다.
3. 대상자에게 침상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방법과 휠체어에서 침상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반복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휠체어에서 침상으로 이동하는 방법]
침상으로 이동
① 침상에 손을 둡니다. 다른 손은 휠체어 팔걸이에 위치합니다.
② 양손을 이용해서 바닥을 누르고 몸을 들어 올립니다.
③ 이 동작할 때는 머리를 앞으로 숙입니다.
④ 몸을 숙인 상태에서 침상으로 서서히 옆으로 이동합니다.
⑤ 침상의 가운데 부분에서 앉은 후 발도 함께 침상 위로 올립니다.
[침상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방법]
① 휠체어로 반대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② 휠체어를 침상의 가까이 위치하게 하고 팔걸이를 제거합니다. 발은 침상 아래에 둡니다.
③ 침상 옆에 몸을 위치합니다.
④ 한 손은 침상에 두고 다른 손은 최대한 팔걸이를 잡도록 합니다.
⑤ 바닥에서 엉덩이를 들고 휠체어로 숙여서 이동합니다.
4. 대상자에게 기능적자세의 의미와 방법을 설명하고 수행하도록 하였다. 기능적자세는 적절한 척추 중립자세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기능적 자세운동 방법은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앉아 등을 띄운 상태에서 체간부는 요골반부 중립자세를 먼저 취한 다음, 요추부의 신전 없이 흉골을 중심으로 가슴을 펴고 상부 경추 끝부분으로부터 두 개기저부가 천정쪽으로 들어올리는 느낌을 상상하면서 가볍게 경추를 늘리듯이 들어올리는 동작이다.
5. 대상자에게 체위 변경 방법을 설명하였다.
체위 변경 시기 : 침대에 있는 경우 적어도 2시간마다, 휠체어 등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20~30분 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체위 변경 자세 : 관절은 약간 구부린 상태로 유지하며, 장기간 신전되지 않도록 한다. 쿠션이나 지지대를 이용하여도 좋다.
6. 대상자가 일주일에 3번 물리치료실에 가 치료를 받고 오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7. 침상 높이를 낮게, 침상 난간 적용, 밝은 조명 유지, 자주 쓰는 물건 가까이 배치, 병실 순회, 호출벨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적 수행
1. 대상자는 수동적 및 능동적 ROM 운동을 하루 4번, 20분간 휴식할 계획을 세운 후 5일간 꾸준히 수행하였다.
2. 대상자는 신체상의 문제에 대해 우울감을 호소하였다. 대상자의 호소에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고 개방적인 신뢰관계 형성과 지지를 제공하였다.
3. 대상자는 왼쪽 하지 마비로 안전관리 가장 주의해야할 점은 낙상이다. 따라서 낙상 예방법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낙상이란 비의도적인 하방 이동으로 인하여 신체 일부가 바닥 면에 닿은 경우이다. 대상자의 경우 흔히 발생하는 낙상은 침상에서의 낙상, 휠체어로 옮기는 도중의 낙상 등이 있다. 대상자에게 낙상 위험을 최소화하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하여 낙상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하였다.
① 취침 전 대상자의 침대난간을 올린다.
② 대상자에게 필요한 물건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③ 대상자에게 호출기의 사용법을 알려주고, 호출기는 환자의 손이 닿는 곳에 위치하게 한다.
④ 휠체어 적응기간 3주 정도는 반드시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를 받아 침상에서 내려오도록 한다.
⑤ 병원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이 흘리지 않도록 한다.
⑥ 침상 부속기구, 발 받침대, 전선 등은 잘 정리하여 환자의 보행 및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⑦ 통증이 있거나 보행이 불편할 경우 걸을 때 보호자가 부축해 준다.
⑧ 오랜 침상안정 후 보행할 때는 보호자나 간호직원의 도움을 받도록 교육한다.
⑨ 낙상발생 시 즉시 보고하여 이차적 손상을 최소화 한다. 응급조치를 위해 간호사 또는 담당의사에게 즉시 보고한다.
[보호자 도움을 받아 이동하기]
① 휠체어를 침상과 가까이 위치한 후에 브레이크를 잠급니다.
② 팔걸이와 발걸이를 제거하고서 미끄럼판을 약 1/4만큼 엉덩이에 넣습니다.
③ 보호자는 환자의 허리춤이나 엉덩이 부위 바지를 잡습니다.
④ 대상자와 보호자는 함께 이동하기 시작해서 반복해서 조금씩 침상으로 이동합니다.
⑤ 안전하게 침상으로 이동하면 미끄럼을 제거하고 앉힙니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일상생활활동을 스스로 수행한다
-> O, 대상자는 4일 차에 침상에서의 움직임, 옮겨가기, 식사하기, 화장실 이용을 혼자서 수행하였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 수동적 및 능동적 ROM 운동을 수행한다.
-> O, 대상자는 3일 차에 프린트물을 참고하여 수동적 및 능동적 ROM 운동을 수행하였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휠체어에 탑승한다.
-> O, 대상자는 3일 차에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에 탑승하였다.
출처
『체간의 기능적 자세운동이 급성 편타성-관련 손상에 의한 경부통 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수준, 관절가동범위, 두경부 심부굴곡근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최현웅, 김선엽 대전을지정형외과 특수운동센터,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3.07.19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8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