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임신 간호 -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등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위험 임신 간호 -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임신성 고혈압
- 정의
- 원인
- 진단방법
- 증상
- 간호사정
- 간호진단
- 치료 및 간호 중재

2. 임신성 당뇨법
- 정의
- 원인
- 위험군
- 증상
- 진단
- 간호 사정
- 간호 진단
- 간호 계획 및 중재

3. 자궁 조기수축
- 정의
- 원인 및 위험요인
- 예측 요인 및 증상
- 치료
- 간호 사정
- 간호 진단
- 간호 계획 및 중재

4. 자궁근종
- 정의, 분류
- 원인
- 증상
- 진단 및 사정
- 간호 진단
- 간호 중재 / 치료 및 관리

본문내용

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유사제
: Lupron, Zoladex, Synarel 등의 약물은 뇌하수체에서의 FSH(난포자극호르몬)와 LH(황체형성호르몬) 분비를 막아 일시적인 가상폐경을 초래하여 근종의 부피를 40~60%감소시킨다. 적응증은 큰평활근종이 있는 여성이 수태능력 보존을 희망하는 경우, 외과적 수술 전에 정상 헤모글로빈의 회복을 위한 빈혈 치료 시, 폐경기에 가까운 여성, 수술의 의학적 금기가 있거나 수술을 연기해야 하는 경우이다. 특히 근종이 크고 증상이 있는 여성에게서 장기간 치료전략으로 유용하다.
장기간의 저에스트로겐혈증으로 폐경증상(안면홍조, 질 건조, 성욕감퇴 등)이 있으며 GnRH 치료 6개월 내에 골밀도가 3%정도 소실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러한 부작용과 약물 중단 이후의 근종 재발을 막기 위해 치료기간을 6개월 이내로 제한하거나 GnRH을 3개월간 투여하고 에스트로겐이나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병합제제를 투여하는 치료방법이 추천되고 있다.
2) 프로게스테론 제제
:medroxyprogesterone acetate(Prevera), norethindrone acetate(Aygestin), medrogesterone 등의 약물은 뇌하수체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여 난소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저에스트로겐 효과를 가져온다. 부작용으로는 체중증가, 복부팽만, 오심, 두통, 기분변화, 성욕감퇴 등이 있다. 근종 크기 감소 효과는 대부분 8~12주 이내에 나타나지만 치료 중단 후에는 치료를 받은 여성의 25%에서 수개월 내에 근종이 재성장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외과적 관리
수술 요법은 나타나는 증상, 근종의 크기와 위치, 타 질환과의 합병 상태 및 대상자의 연령과 출산력, 임신 상태, 임신의 희망 여부,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수술 요법의 적응증은 처음 발견 시보다 크기가 클 때(자궁 크기가 임신 12주 이상), 비정상적인 출혈로 인한 빈혈, 월경통이나 하복부 압박감 등의 만성 통증, 근종의 육경성 염전으로 인한 급성 통증, 폐경기 전 근종의 급속한 증가, 폐경 후 자궁의 크기 증가로 육종성 변성 의심시, 커진 자궁으로 압박증상이나 불편감이 심할 때 등이다.
1) 수술 전 간호
치료방법의 선택, 수술의 장점과 위험성, 수술 전 처치와 수술 후 처치, 수술 후 회복 등에 대해 여성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만일 여성이 이와 같은 정보에 대해 더 알고 싶어 한다면 여성으로 하여금 충분히 정보를 제공받은 후 수술을 결정하도록 도와준다. 자궁절제술을 받는 여성의 경우 심리적인 측면( 자궁 상실에 대한 의미, 수술 결과에 대한 오해, 지지체계 등)에 대한 사정이 중요하며, 만일 여성이 임신이나 양육과업을 마치지 않았다면, 완전한 여성이 되기 위한 자아개념이나 성적인 기능에 자궁이 있는 것을 관련시킬 수 있다. 또한 수술에 대한 지나친 불안은 수술 후 위험한 정서적 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외의 처치는 다음과 같다
자궁절제술을 받는 여성을 위한 수술 전 처치
질검진 혹은 신체검진
검사실 검사- 혈액검사, 혈액형/소변검사
흉부 X-ray 검사
심전도
수술 후 일반적 처치에 대한 교육-체위변경, 기침, 심호흡
수동적 혹은 능동적 하지운동
조기이상의 필요성
동통완화 방법
수술 전날 밤 12부터 NPO
필요시 관장, 질세척, 삭모(복부, 치구, 회음부)
메이크업, 메니큐어, 안경, 콘택트렌즈, 의치 제거
수술 전 방광을 비운다.
2) 수술 후 간호
사정 및 간호는 다른 복부수술과 비슷하다. 복식 자궁수술과 질식자궁수술 후의 특수한 사정은 질출혈(1시간 이내에 한 개의 패드를 적신 경우 출혈 과다) , 소변정체(특히 질식자궁절제술을 받은 후), 질식 자궁절제술 후 회음부 통증, 심리적인 측면(우울 등)에 대한 것이다. 이외의 처치는 다음과 같다.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위한 수술 후 처치
안정될 때까지 15분 간격으로 활력징후 체크; 안정되면 48시간 동안 q4h로 체크
기도유지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 24시간 동안 2시간마다 손이나 베개 이용하여 절개부위지지
하지운동: 걸을 때까지 2~4시간마다 운동, Homan\'s sign 사정
출혈여부 사정-복부: 드레싱이나 절개부위 사정/ 회음 패드 수 확인)
동통 완화
검사실 검사 결과 확인: 특히 혈색소수치
폐기능 사정
장 움직임 청취, 장 기능 상태 사정
I/O 체크: 수술 후 유치 도뇨관 24시간까지 꽂아둘 수 있음/ 질식자궁절제술 시 배뇨관 제거 후 소변정체 문제 발생 가능
감염증후 사정: 복부, 질의 절개부위
합병증 증후 관찰- 복식자궁절제술: 수술부위 파열, 폐색전, 정맥염, 폐렴, 장폐색/ 질식자궁절제술 : 비뇨기계 감염, 소변정체, 상처부위 감염
3) 퇴원계획 및 교육
자궁 절제술을 받은 환자라면 월경이 나오지 않고, 피로감이나 허약감, 정서적 변화와 같은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알려준다. 레이저 수술을 받은 환자라면 감염의 증후에 대한 정보,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의 종류, 정상적인 활동으로의 회복에 걸리는 시간, 약 4~6주간의 질분비물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부부의 성교가 처음에는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이완을 위한 운동, 성교시 수용성 윤활제의 사용, 음경의 삽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체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 좋다. 이외의 처치는 다음과 같다.
자궁절제술/근종절제술 환자의 가정간호
비타민 C, 철분, 단백질, 섬유소가 많은 식이
매일 6~8컵의 물
통목욕, 성교, 질세척은 다음 검진때까지 금기
편안할 때까지 운전하지 않는다.
6주간은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으며 오래 서있지 않도록 한다.
질출혈, 위장계 기능 변화, 수술 후 지속적인 증상(경련, 팽만, 배변습관의 변화), 상처감염( 절개 부위의 발적, 부어오름, 발열, 동통) 시 건강 관리자에게 알린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2.2014.현문사
-모성.여성건강간호학.2015.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 2.2016.수문사
-모성신생아 여성건강간호학 2.2013.신광출판사
-간호진단의 적용과 실제.2007.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가격3,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23.12.08
  • 저작시기2018.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1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