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헤어컬러링) 헤어컬러 제품회사에서 제시하는 연도별로 유행할 컬러에 대한 자료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트렌드헤어컬러링) 헤어컬러 제품회사에서 제시하는 연도별로 유행할 컬러에 대한 자료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트렌드 컬러 개념
2) 2006년에서 2020년 헤어컬러 트렌드
3. 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에 헤어컬러의 경향은 인위적으로 뽑아낸 색상이 아닌, 보기에 자연스러운 컬러를 대중들이 선호하게 되면서, 이 시기의 컬러 시장은 정체기를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침체되었다. 이 시기에는 웰빙의 열풍으로 천연염색제를 선호하였으며, 어두운 컬러 표현만 가능한 오징어 먹물이나 해나 등과 같은 산성과 중성 염모제가 인기를 끌었으며, 내추럴리즘 영향으로 염색이나 탈색보다 건강해 보이고 자연스러운 모발을 선호하게 되면서 모발 클리닉이 유행했기 때문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2009년에서 2012년에는 다시 고명도의 선명하고 따뜻한 밝은 컬러가 유행하였다. 2009년 후반기에는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인해서 어두운 현실에 대한 반향으로서 선명하고 따뜻한 색상이 주목받아, 고명도의 라이트한 컬러가 대세로 오르면서, 다크했던 헤어컬러가 보다 한층 더 밝아지고 선명한 색상으로 변화되는 시기였다. 이러한 헤어컬러의 변화적인 배경에는 대중문화계를 꽉 장악하고 있는 아이돌 스타들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후 2013에서 2015년에는 다시 무겁고 어두운 컬러에서 점점 더 밝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계속되었던 경기침체로 인해서 이전보다도 채도가 확연히 낮은 브라운 계열에서 저명도 컬러의 복고 영향으로, 중명도의 난색 계열인 브라운 컬러가 헤어컬러의 주를 이루었다. 2015년도에는 헤어 트렌드의 이미지 파급 효과가 아이돌 스타들을 중심으로 더더욱 커져 갔으며, 다양한 헤어컬러와 표현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016년에서 2020년에는 MZ 세대의 컬러 트렌드에 대한 인식도가 이전보다 높아지며 고명도에서도 다양한 컬러 톤이 나타났다. 한류의 열풍과 SNS의 발달로 인해 세계적으로 컬러 트렌드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한 헤어컬러의 파급 효과는 지금까지도 커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서 스타들이 하고 나오는 헤어 스타일을 따라 하거나, SNS에서 헤어컬러의 정보를 통하여 일반 소비자들에게 셀프 스타일링이 크게 유행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헤어컬러도 나타나게 되었다.
둘째, 2006년에서 2020년까지의 트렌드 컬러와 염모제 기업 3사의 헤어컬러 트렌드를 분석했을 때, 염모제 3사와 팬톤의 헤어컬러 트렌드는 2015년 이후부터 유사성을 띠고 있으며, 일정한 부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015년 이후 염모제 3사에서 발표한 헤어컬러 컬렉션에서 팬톤 트렌드의 컬러가 가미된 사실 또한 알 수 있었다. 2015년 팬톤 컬러는 마르살라로, 웰라와 로레알의 카퍼 컬러와 아모스의 마르살라 버건디와 유사성을 보였다. 2017년 때 팬톤의 그리너리 컬러는 웰라의 포레스트 애쉬카키, 아모스의 그리니쉬와 유사하고 있었다. 2018년 때의 팬톤은 울트라 바이올렛과 2019년의 리빙 코랄 컬러는 로레알의 울트라 파스텔과 리빙 코랄, 아모스의 라벤더 브라운 컬러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2020년에서 팬톤의 클래식 블루 컬러는 로레알의 블루 스톤, 웰라의 클래씨 블루, 아모스의 데님 블루 컬러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높은 유사성을 띠고 있다. 최근에 팬톤의 트렌드 컬러가 염모제 3사 기업에서 발표하고 있는 헤어컬러 트렌드에 맞춰 점차적으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헤어컬러의 트렌드는 꾸준히 변화할 것이며, 미래의 헤어컬러 트렌드를 파악해서 나만의 개성을 뿜어낼 수 있는 긍정적인 자신감을 갖길 바란다.
출처 및 참고문헌
트렌드컬러 분석을 통한 연도별 헤어컬러 경향에 대한 연구 2006년∼2020년 헤어컬러 중심으로 2022 23권, 2호 pp. 251-270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김효정, 홍보경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2.06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0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