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론(기호와 대립체 (그것을 표상하는 대상)과의 관계이며 대리물과 대리체의 관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만 그것을 해석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 성질을 잃어버리지 않는 기호' 라고 단정 지을 수가 있다.
1.4 Language, Speech and Utterance
*system-ptoduct ambiguity
ambiguity : Ambiguty, 모호성은 그 문장에 있어서 의미가 애매모호하다는 뜻보다는 그 문장은 2가지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모호성에는 2가지의 종류가 있는데 그들은 이와 같다.
첫 번째는 'Lexical Ambiguity' 즉 어휘론적인 관점에 있어서 생기는 것인데 이는 대개 한 단어에 있어서 뜻이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가능성이 나올 때를 말한다. 예를 들자면 'He went to a bank.'라는 문장을 보자. 여기서 문제되는 것은 바로'bank'라는 단어이다. bank는 여러 가지의 뜻을 지니고 있는데 이 단어가 '은행'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인지 '둑'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인지 확실하지가 않다. 따라서 어휘론적인 관점에 있어서 나타나는 모호성은 대개 다의어나 동음이의어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가 있다.
두 번째는 'Structural Ambiguty'인데, 이는 구조상에 있어서 나타나는 모호현상으로 앞에서 말한 어휘론적 관점에서 나타나는 모호성보다 그 경우가 훨씬 많다. 그 예를 들어보면 'The old man and woman stayed at home.'을 보면 알 수가 있다. 전후상황을 모르도 있는 상태라면 'The old man and woman'인지 'The old man and old woman' 인지 알 수가 없다. 이와 같은 것이 구조주의적 관점에 있어서의 모호성이다.
1.5 Words :Forms and Meanings
*form
形式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언어는 그 실질과 형식 및 파격을 전제로 성립한다고 하는 전제를 두고 나온 표현이다. 따라서 언어기술은 이 세가지의 층위를 나누는 것부터 시작한다. Halliday에서는 '형식이란 실질을 유의미한 것으로 조직한 것이다'라고 규정하고 '언어는 형식이다'라고 규정한다. 언어라는 것은 음성 또는 문자라고 하는 실질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데 이들 실질이 언어 그 자체가 아니고 실질에 주어진 조직 또는 patterning이 언어의 그 자체의 형식인 것이다.
*isomorphism
동형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의미론적인 표현을 고찰하자면 두가지 표현이 동일한 내포를 가진 구성표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성분표현들이 또한 동일한 내포를 가진 구성성분으로 되어 있으면 그 두 표현은 내포성 동형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는 언어조직의 서로 다른 층위에서 독특한 체계관계가 병행하여 나타남을 말한다.
*inflection
굴절한다는 표현으로 시제와 일치에 관한 자질의 집합인 문법범주로서 [[ Tense], (ARG)]로 나타낼 수가 있다. 이 때 일치현상에 관한 ARG범주는 inflection의 지배를 받는데 수의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고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흔히 영어에서 볼 수 있는 3인칭의 동사변화나 과거형의 변화는 가장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inflection인 것이다.
*citation form
인용형이란 뜻으로 예를 들어 영어의 runs는 사전에 들어 있지 않고 단지 run만 있다. 이와 같이 대표적으로 사전에 실리는 반어의 형태의 인용형이라고 한다. 특히 영어에서의 인용형은 대개가 어간형이다.
*homonyms
Homo--
이를 도표로 그리면 다음과 같다.
+- Homonymy(동음이의어)-철자와 발음이 같으면서 뜻이 틀리다. ex)bear/bear, bank/bank..
+- Homograph(동형이의어)-철자가 같으면서 발음과 뜻이 틀림. ex)read(현재)/read(과거)..
+- Homophone(이철자 동음이의어)-철자와 의미가 틀리나 발음이 같음 ex)read/red,night/knight
+- Polysemy(다의어)-하나의 단어가 두 개 이상의 뜻을 지닌 것. ex)grow, open..
보통, 철자는 틀리면서 발음이 같은 것끼리의 관계를 Homonynous라고 한다. 그러므로 bare(벗은), bear(곰), bear(견디다) 등의 단어들은 모두 Homonymous의 관계에 있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철자가 같으면서 발음까지 같은 동음이의어도 있는데 이는 다의어라는 개념과 혼동을 일으키기가 쉽다.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를 구분해보자. 다의어 즉, Polysemy는 한 단어에 있어서 두가지 이상의 뜻을 지닌 것이다. 이것을 살짝 뒤집으면 동음이의어와 비슷한 내용임을 간파할 수가 있다. 철자와 발음이 같으면서 뜻만 틀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숙제를 풀기 위해 100%는 아니지만 Homonymy인지 Polysemy인지 헛갈리는 그 단어를 signifie차원에서 검토해본다. 예를 들어 Homonymy인 bank를 보자. 은행, 둑방... signifie가 각각 따로 뜻을 갖고 있다. 그 반면에 Polysemy인 grow를 보자. 자라다, 키우다, 성장하다... 뜻은 조금씩 틀리겠지만 무엇인가가 '생성된다'라는 공통의 signifie가 느껴진다. 다른 하나의 예인 open을 보면 기 의미가 '열다, 확 트인, 얼어있지 않은..' 등이 있다. 이 의미들을 보면 '닫히지 않은'의 공통의 signifie가 떠오른다.
이와 같이 아무런 공통점이 없이 나열된 의미를 지닌, 같은 철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Homonymy라고 하고 하나의 공통된 기본 의미(공통의 signifie)를 지닌 것을 Polysemy라고 한다.
*material identity
identity--생성문법에서 어떤 요소를 delation하는 변형법칙에 관련된 중요한 개념을 말한다. 이는 동일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문장구조의 일부분을 제거할 때는 원칙적으로 그것과 동일한 부분과 동일문장 안에 존재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동일성 조건이라고 부르며 이것은 변형에 따르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동일성조건에 따르지 않는 변형도 때때로는 있지만 그것은 극히 한정된 경우이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1.04.15
  • 저작시기20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