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성 뇌손상의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외상성 뇌손상에 대한 이해

2.외상성뇌손상

본문내용

니다. 이는 강직이 생긴 관절을 늘려 주는 수술과 경직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술이 있으며 이런 수술은 재활의학과의사가 다른 방법으로 경직을 조절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시행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경직을 적절히 치료함으로써 환자의 기능을 증가시키고 다른 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4. 인지 기능 재활치료
인지 기능에 대한 재활치료는 환자가 사회에 복귀해서 생활할 때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환자에서 인지 기능의 장애가 심하고 사회 복귀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나 치료하기가 어렵고 치료의 효과도 많지 않습니다.
인지 기능의 회복의 단계에 따라 치료의 원칙이 달라집니다.
(1) 혼수 상태(coma)
환자가 아직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경우 환자의 예후를 알기위한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것에 따라 환자의 예후를 예상하고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 시행할 수 있는 치료는 여러 가지의 감각 자극을 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감각 자극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의식 회복을 위해 뇌기능을 자극하는 약물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환자의 재활치료의 목적은
가. 환자의 의식 회복을 방해하는 원인을 제거하고
가. 환자의 장애를 증가시키는 내과적인 합병증을 치료하고
가. 가족들에게 교육, 상담, 지지를 해주는 것입니다.
(2) 기억 상실 시기(post-traumatic amnesia), 불안기(agitation)
혼수 상태를 지나 이후에 의식을 회복하더라도 아직 혼미하고 주위환경의 개념이 아직 잘 생기지 않는 외상후 기억 상실(post-traumatic amnesia) 시기를 거치게 됩니다. 또한 인지 기능 저하, 극심한 감정의 이동, 과격한 행동, 공격성 등의 신경 행동학적인 증상을 가지는 불안(agitation)을 가지게 됩니다.
불안한 환자(agitated patients)에 대한 재활치료는 우선 주위 환경이 환자를 자극하지 않도록 하고 환자에게 해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환자를 조용한 방에 있도록 하고 필요없는 자극이나 방문객을 줄여야 합니다. 또한 환자가 안전하게 하고 싶은대로 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치료로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시행합니다.
기억 상실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불필요하게 많이 설명하거나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고 하루의 계획을 알려주어 시간이나 공간에 대한 개념이 생길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기억 상실 시기가 지나게 될 때 신경 심리 검사를 실시합니다. 이는 향후 환자의 치료 목표를 현실적으로 다시 세우고 치료해 나갈 수 있도록 합니다. 환자의 가족들은 뇌손상에 대해 교육을 받아야 하며 향후 환자의 인지기능 재활치료를 함께 시행하며 환자를 간호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5. 언어 장애에 대한 재활치료
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 소통을 원활히 하고 환자의 생활의 질(quality of life)을 높이기 위하여 언어 치료를 시행합니다. 언어 장애는 병변의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언어 장애는 단순히 말을 만드는 입과 혀의 근육의 조절이 안되어 나타나는 구음 장애(dysarthria)와 실어증(aphasia)으로 크게 구분합니다.
구음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음악을 이용하여 음의 높낮이를 연습하거나 입주위 근육에 여러 가지 감각 자극을 주고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하고 호흡 운동을 하도록 하여 발음이 잘 나오도록 훈련을 해야 합니다.
실어증이 있는 경우에는 다양한 소리와 시각자극을 주고 입주위 근육에 대한 감각 자극 치료를 하게 됩니다. 또한 친숙한 그림이나 좋아하는 그림을 주고 이름을 맞추거나 표현하는 훈련을 하도록 합니다. 실어증이 있을 때 대부분 회복시 언어에 대한 이해는 빨리 좋아지게 되나 표현하는 것은 더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이와 같은 훈련후에도 의사 소통이 불가능하면 기구를 이용하여 본인의 의사 표현 방법을 가르치기도 합니다.
6. 심리치료
뇌손상 후 우울증과 같은 정서 장애가 흔하고 치료에 대한 의욕이 적은 경우에는 심리치료를 시행합니다. 환자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의 가치(self-esteem)를 높이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해소해 주어 치료에 적극 임할 수 있도록 상담을 자주해야 하며 이를 통해 치료 의욕을 높이고 향후 가정과 사회 복귀에 자신감을 가지도록 해야 합니다. 이것은 환자뿐만 아니고 가족이나 친인척도 치료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환자를 보다 잘 이해하고 환자의 재활 의지를 높여주도록 해야 하여 이를 통해 양질의 삶을 누리게 할 수 있습니다.
7. 직업재활
퇴원 후 직장 복귀를 위해서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여 발병전의 직장생활이 가능한지, 아니면 다른 직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지를 평가해야며 이런 목적에 맞는 재활치료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 예방법 :
외상성 뇌손상은 사고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외상성 뇌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평소에 과다한 약물 복용이나 성격이 급하고 고집이 센 경우에 치료의 효과가 적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도 평소에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상성 뇌손상의 예방에는 평소에 규칙을 준수하고 안전 의식을 가지는 방법이 최선입니다.
■ 이럴땐 의사에게 :
1. 신경학적인 증상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증상이 생긴 경우
2. 소변에서 냄새가 나거나 탁한 경우
3. 마비된 쪽의 하지가 붓거나 열감이 있는 경우
4. 관절이 굳거나 경직이 심해지는 경우
5. 원인 없는 열이 나는 경우나 쉽게 피로해지는 경우
6. 의식 상태의 변화가 있는 경우
7. 보행이 어려워지고 실금이 있거나 성격이 변하는 경우
8. 경기를 하는 경우
■ 생활시 유의 사항:
외상성 뇌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음주, 약물 복용, 위험한 주위 환경 등이 발생을 증가시키므로 이러한 환경에 자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또한 사고를 당하기 쉬운 어린이나 노인들이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평소에 안전 수칙을 잘 지키고, 서로가 양보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한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1.12.23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