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방법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학습과 수업

2.수업과 학습의 지도원리

3.수업목표

4.수업모형

5.수업이론

본문내용

행학습 재생
④ 학습과제의 내적 자극 제시
⑤ 학습 안내
⑥ 피드백 제공
⑦ 성취행동을 평가
⑧ 전이력을 향상시키는 기회제공
⑨ 파지를 높이기 위한 연습활동 제공
* Gagne는 정보처리 모형의 발달에 상당한 동기제시
4. 완전학습 이론(Carroll -> Bloom순으로 정리) ☆☆☆
1) Carroll
① 학습정도 = 학습에 사용한 총시간수 / 학습에 필요한 총시간수 (상징적 의미)
= 학습기회, 지구력 / 적성, 교수(수업)의 질, 교수(수업)의 이해력 ☆
② 학습자의 변인
㉠ 적성 : 학습자가 학습에 필요한 총시간수(준비성의 개념으로 보았다.).
예) 수학 적성 높은 학생 -> 수학 학습 시간이 적다.
㉡ 교수(수업) 이해력 : 학습자가 학습과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일반능력
㉢ 지구력(지속력) : 학습자가 학습에 실제로 사용한 총시간수
③ 교수변인
㉠ 교수의 질 : 교사가 제시하는 학습과제의 적절성
㉡ 학습기회 : 교사가 학생에게 제시한 실제의 총시간수
아동관
지능관
① 전통적 아동관 : 잘 학습하는 자, 잘못 학습 하는 자
② Carroll의 아동관 : 빨리 학습하는 자, 느리게 학습하는 자
* 학습목표는 도달하는 여부는 시간의 변수 로 보았다.
③ 현대적 아동관 : 적절한 교수방법을 제시하 ☆ 면 누구나 학습목표에 도달 할 수 있다.
① 전통적 지능관 : 일정한 시간에 문제해결의 정도
② Carroll의 지능관 : 일정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의 수
없지비..
2) Bloom
① 완전학습이란 95%이상의 학생의 90%이상의 수업목표에 도달했을 경우
② 불완전학습이란 1/3의 학생은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1/3이 불완전한 학습이해, 1/3이 이해 한 경우를 말함.
③ 474쪽 그림 참조
④ 완전학습
㉠ 학습 결손 진단 단계
㉡ 학습 결손 보충 단계
㉢ 수업 목표 명시 단계
㉣ 수업 단계
㉤ 수업 보조 활동 단계
㉥ 형성평가 단계
㉦ 보충학습 단계
㉧ 심화학습 단계
㉨ 학습기회(자율학습) 단계
㉩ 총괄평가 단계
5. 진보주의 수업의 모형
1) 죤 듀이의 문제해결법
① 반성적 사고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② 절차
<문제의 인식 -> 가설의 설정 -> 자료의 수집 -> 가설의 검증 -> 일반화>
↑ (피드백) | -> 반성적 사고력의 배양
+------------------------------+
③ 반성적 사고력이란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반성 성찰을 통해 형성되는 사고력
2) 킬 패트릭의 구안법(고안법)
① 듀이의 문제해결법이 점차 이론화 형식화 됨에 따라 구체적, 실천적으로 만든 것이다.
② 절차 : 목적의 단계 -> 계획 -> 수행 -> 평가 (실업교과에서 많이 사용 ☆)
3) Massialas의 탐구교수법
① 1960년대 UNESCO에서 만든 사회과 최초의 집단 탐구 모형
② 듀이의 반성적 사고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
* 486쪽의 그림 참조
<문제제기 -> 가설 -> 탐색 -> 증거제시 -> 일반화>
수업의 개별화(학생의 개인차 고려 수업)
1. ATI
1) Aptitude(적성) Treatment(처치, 수업방법) Interaction(상호작용)
2) 학습자의 적성과 수업의 방법을 상호작용시켜 학습의 목표를 효과적 달성위한 수업모형
3) Snow Crombach에 의해 나온 이론(496쪽 그림 참조)
① 적성이 높은 학생은 교수법 A가 효과적(발전법)
② 적성이 낮은 학생은 교수법 B가 효과적(설명법)
2. Programmed Instruction ☆☆☆☆☆
* 스키너 : 학습이론만 존재하면 충분하며, 수업이론의 존재는 필요없다.
1) 자신의 작동적 조건화의 강화이론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다.
2) 원리
① 점진 접근의 원리(Small Step의 원리) : 多학습과제를 작게 세분화시켰다.
② 자기 속도의 원리(개별성의 성격이 강하다.) :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맞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③ 학습자 검증의 원리 : 학습자가 스스로 답을 확인 가능
④ 즉시 강화의 원리 : 답을 확인했을 때 내적 보상을 받을 수 있다.
⑤ 적극적 반응의 원리 : 학습자의 적극적 반응을 유도한다.
-> ① ~ ④의 조건에 맞아야 Programmed수업이다.
* Programmed수업은 지면을 통해 제시된 수련장 수업 문제는 스키너가 제시
-> 학습자와 교사가 만날 필요가 없다. Teaching machine을 인정하지 않음.
직선형
분기형(분지형)
① 스키너
② 초보자와 동질집단에게 적합
③ 처음 학습하는 내용을 반복하여 완전히 습득 하는 경우에 필요
④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
⑤ 프레임의 수가 많고, 한 개의 길이가 짧다.
⑥ 교정 프레임이 없다.
⑦ 단답형에 적합
① Crowder
② 능력자와 이질집단에게 적합
③ 능력자에 대한 진단과 교정에 적합
④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
⑤ 프레임의 수가 적고 한 개의 길이가 길다.
⑥ 오답처리하는 교정프레임이 있다.
⑦ 선다형에 적합
* 책참조
3. Computer 보조수업(CAI)과 Computer 관리수업(CMI)
CAI
CMI
①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② Computer 보조수업
③ 교사대신 컴퓨터를 활용
④ 학습자 <------> 컴퓨터 <- 교사
상호작용
① Computer Managed Instruction
② Computer 관리수업
③ 교사의 수업을 위해 자료관리나 성적관리를 컴퓨터를 통해 행함.
④ 학습자 <------> 교사 <------> 컴퓨터
상호작용 상호작용
* CAI = CBI = CBT = CAE = CBE
4. Teaching Machine
1) Pressy -> 선다형
2) Skinner -> 단답형
* 개별처방수업 : 학생개개인을 사전에 충분히 조사하여 학생 각자에게 적합한 수업의 처방을 내리는 것(시험의 보기문항으로 출제). ☆
* PT와 PI의 차이점
- PT : 사회적 강화
- PI : 외적보상을 받기 어렵다.
* Team Teaching <-> Team Learning ☆☆☆☆
- Team Teaching : 2인이상이 수업을 진행
- Team Learning : 이질적 집단에 효과적, 개개인에게 다른 점수를 부여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2.04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