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평가가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문제와 제한점
4.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말하기 상호작용과 평가
2. 말하기 지도 내용과 평가
3. 평가도구로서의 상호평가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3. 실험 처치
4. 지도 방법
5. 상호평가 후 토의 사례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1. 결과 분석
2. 논의

Ⅴ. 결론

본문내용

of speaking skills has showed that the intermediate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is more effective than the high level group. Durability has been greatly showed in intermediate level group however relatively it was not found in the high level and low leve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the cross assessment program has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outer type of speaking skills. And the feed back through the cross assessment was most actively done in intermediate level group and it is required for the low level group to need the more time training.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0.
부록Ⅰ
말하기 외적형식 채점 기준표(사전검사용)
주제:
제 3학년 반 번 (남, 여) 이름:
번호
평 가 문 항
척 도
1
2
3
4
5
1
분명한 발음으로 말하는가?
2
말의 속도는 알맞은가?
3
목소리의 크기는 적당한가?
4
말을 할 때 자연스러운가?
5
말할 때의 태도는 진지한가?(진지한 태도)
6
말을 할 때의 시선은 알맞은가?(고르게 보면서 말하는가)
7.
말을 할 때 몸의 자세는 어떠한가?(가벼운 손동작)
8
말할 때의 표정은 어떠한가? (밝은 표정)
9
고칠만한 습관은 없는가

합계
부록Ⅱ
말하기 외적형식 채점 기준표(사후검사용)
주제:
제 3학년 반 번 (남, 여) 이름:
번호
평 가 문 항
척 도
1
2
3
4
5
1
분명한 발음으로 말하는가?
2
말의 속도는 알맞은가?
3
목소리의 크기는 적당한가?
4
말을 할 때 자연스러운가?
5
말할 때의 태도는 진지한가?(진지한 태도)
6
말을 할 때의 시선은 알맞은가?(고르게 보면서 말하는가)
7.
말을 할 때 몸의 자세는 어떠한가?(가벼운 손동작)
8
말할 때의 표정은 어떠한가? (밝은 표정)
9
고칠만한 습관은 없는가

합계
부록Ⅲ
말하기 외적형식 채점 기준표(지연검사용)
주제:
제 3학년 반 번 (남, 여) 이름:
번호
평 가 문 항
척 도
1
2
3
4
5
1
분명한 발음으로 말하는가?
2
말의 속도는 알맞은가?
3
목소리의 크기는 적당한가?
4
말을 할 때 자연스러운가?
5
말할 때의 태도는 진지한가?(진지한 태도)
6
말을 할 때의 시선은 알맞은가?(고르게 보면서 말하는가)
7.
말을 할 때 몸의 자세는 어떠한가?(가벼운 손동작)
8
말할 때의 표정은 어떠한가? (밝은 표정)
9
고칠만한 습관은 없는가

합계
부록Ⅳ 상호평가를 활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 예시
단원
15.이런 일이 있었어요.
차시
2/7
쪽수
84 - 86
학습목표
1. 겪은 일에 대하여 자세하게 말할 수 있다.
2. 알맞은 태도와 목소리로 말할 수 있다.
단계
학습과정
교수 - 학습 활동
유의점
도입
탐색
동기유발
학습목표 확인
학습목표이해
내용확인
◎동기유발
.교사: 선생님이 경험한 이야기를 흥미 있게 해준다. 그리고 학생이 경험한 재미있었던 일을 발표하게 한다.
(초등학교 시절 냇가에서 멱을 감던 이야기를 해준다)
.학생1: 자기가 겪은 일을 발표한다.
◎학습목표 확인
목표1. 겪은 일에 대하여 자세하게 말할 수 있다.
2. 알맞은 목소리와 태도로 말할 수 있다.
◎설명하기 및 시범 보이기
.교사: 비오는 날에 겪은 일을 한 학생을 지목하여 발표하게 한다.
.학생: 비오는 날 겪은 일을 발표한다.
.교사: 발표한 내용에 대한 간단한 내용 점검을 한다.
-언제 있었던 일인가?
-어디에서 있었던 일인가?
-무슨 일이 있었는가?
-그래서 어떻게 되었는가?
-어떤 생각이나 느낌이 들었는가?
.학생: 위의 사항을 대답한다.
.교사: 말하기 외적 형식에 대한 점검을 한다.
-알맞은 속도와 크기로 말하였는가?
-표정은 자연스러웠나?
-시선은 바른가? 등등
.학생: 발표자의 외적형식에 대한 자기 생각을 발표한다.
.교사: 학생의 발표를 듣고, 잘못 지적한 것에 대해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어본다.
.동기 유발에 목적이 있으니 자유로운 상태에서 말하게 한다.
.모델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우수한 학생보다는 평범한 학생을 지목한다.
.잘못된 지적이 있을 경우 교사가 지적하기보다는 동료들의 의견을 통해 지적한다.
단계
학습과정
교수 - 학습 활동
유의점
적용
정착
해결방법
모색
소집단 활동
상호평가
내면화
◎질문하기
.교사: 발표한 학생의 내용 중 더 들어가야 하는 내용을 질문한다.
.학생: 주요활동 내용에 대해 질문한다.
.교사: 평가할 주요 내용에 대한 이해가 있는지 점검한다.
◎활동하기
.교사; 소집단 별로 사회자를 정한 후 자기가 겪은 일을 발표하게 한다.
.학생: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각자 겪은 일을 발표하고, 다른 학생이 발표할 때는 상호 평가지에 평가를 하면서 궁금한 것은 질문하는 시간도 갖는다.
◎상호평가하기
.학생: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상호평가지에 기록한 내용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자기가 평가한 내용과 상대방이 평가한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견주어 본다.
.교사; 오늘 활동에서 알게된 점과 중요한 내용을 발표하게 한다.
.학생: 이번 활동을 통해 깨달은 점을 발표한다.
.활동하기와 상호 평가하기는 따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활동 중에 상호평가를 실시하고, 상호 평가하기는 평가한 내용을 가지고 서로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82페이지
  • 등록일2002.02.05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