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미술의 흐름. 연도별 요점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품제작에 슬라이드를 직접 ·간접으로 이용하는 C.클로스, H.캐노비츠, M.몰리 등과 사진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자연의 풍경이나 모델만을 대상으로 하는 P.펄슈타인, S.틸림 등이 있다.
2. 달리 기념관, 피구에라스에 개관
→·레디메이드로 만들어진 최초이자 유일한 미술관.
3. 요셉 보이스, 뉴욕에서 퍼포먼스
1975
1. 리히텐슈타인 회고전, 파리에서 개최
→·만화를 그린다. "나는 만화를 정말 좋아한다"
·우리의 새로운 현실과 새로운 신화를 표현하는 것임.
2. 미국에서 벽화가 부활됨
→·벽의 더러움을 감추고 동시에 대중을 즐겁게 하는 목표.
3. 스페인, 현대미술 수용
1976
1. 크리스토, 캘리포니아에 「달리는 벽」제작
→·폭 6m의 흰 나일론 조각 2050개로 구성되어 있고, 각 조각은 땅 속에 박혀있는 철기둥과 케이블에 의해 지탱된다. 이 칸막이는 동쪽에서 서쪽을 향해 대양가지 언덕의 모양을 따라 굽어지기도 하고, 마을과 목장과 집들의 윤곽을 따라 우회하기도 하며 물결치듯 줄이어 계속되며, 태평양에 도착하여 서는 물 속에 빠지도록 설계되어 있음.
2. 엑스-앙-프로방스에 바사렐리 재단 개관
3. 아르 브뤼트 미술관, 로잔느에 개관
4. 재스퍼 존스 전시회, 뉴욕의 휘트니 박물관에서 개최
1977
1. 죠르쥬 퐁피두 센터 개관 및 "파리-뉴욕"전시회 개최
→·퐁피누 대통령은 프랑스가 처해있는 예술적 고립을 타파하기 위해서 이 센터를 짓기 원함.
·목적: 국제적인 대규모의 전시회를 개최하는 것과 동시에 이제까지 파리에 여건 부족으로 인해 소개 되지 못했던 외국의 전시회를 유치하자는 것.
1978
1. 라 데팡스에서 칼더 전시회 개최
2. "파리-베를린" 전시회, 죠르쥬-퐁피두 센터 개최
1979
1. 파리의 죠르쥬-퐁피두 센터에서 달리 회고전 개최
→·"내 작품은 구체적 불합리성에 대한 최상의 기상천외한, 그리고 한번도 보여진 적이 없는 이미지를 담은 천연색 사진이다."
*달리
피게라스 출생. 14세 때부터 바르셀로나와 마드리드의 미술학교에서 공부하였다. 그러나 과격한 성품 때문에 1926년 퇴학당했다. 그는 보기 드문 조숙아로 일찍이 인상파나 점묘파 ·미래파의 특질을 터득하고 입체파나 형이상회화파 등의 감화를 받으며 작풍편력(作風遍歷)을 하였다. 그러나 1925년경부터는 심기일전하여 정밀한 세부묘사로 향하고, S.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설에 공명, 의식 속의 꿈이나 환상의 세계를 자상하게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1928년 파리로 가서 초현실주의 화가나 시인들과 교유하였다. 이듬해 최초의 개인전을 열었고, 이때 A.브르통에 의해 정식으로 이 파의 일원으로 인정되었다. 그 스스로 ‘편집광적 ·비판적 방법’이라 부른 그의 창작수법은 이상하고 비합리적인 환각을 객관적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것은 이중영상의 활용으로 말미암아 더욱더 기상천외한 이미지의 묘출(描出)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1937년 이탈리아 여행을 계기로 르네상스의 고전주의로 복귀하려는 욕구가 커졌으며, 초현실주의 화가 모임에서 제명당하면서까지도 원자과학이나 가톨릭의 신비성을 추구하여 왕성한 제작을 하였다. 한편 그가 친구 L.브뉴에르와 합작한 전위영화 《안달루시아의 개》(1929)와 《황금시대》(1931)는 영화사에 독자적인 의의를 남겼으며, 가극이나 발레의 의상 ·무대장치 등 상업미술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살바도르 달리:아메리카의 발견, 1943
2. 뉴욕의 구겐하임 기념관에서 보이스 전시회 개최
1980
1.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이태리 트랑스아방가르드가 최고의 영광을 누림
→·미술평론가이자 이론가인 아킬레 보니토 올리바가 선구자.
*트랑스아방가르드
뉴페인팅, 1970년경까지의 전위주의가 후퇴한 뒤, 인간의 모습을 중심 주제로 하여 언뜻 보기에는 거칠고 세련되지 못한 필치로 정력적으로 그린 회화가 미국과 유럽에 거의 동시에 등장하였다. 그것은 마치 전위화가가, 상실한 현실의 인간과 그림과의 연계를 회복하려는 새로운 시도인 것처럼 보였다. 대표적 작가로는 슈나벨, 바스키어, 클레멘테 등이 있다.
1981
1. 독일의 신미술 국제적으로 인정받음
2. 모스크바, 푸시킨 박물관에서 모스크바-파리전
1982
1. 아르망, 주아앙-조자스에 「장기 주차장」
→·19.50m나 되는 콘크리트로 된 거대한 59대의 자동차를 움직이지 못하게 쌓아서 만든 조각물.
2. 프랑스 청년 작가 뉴욕 진출
3. 비데오 아트, 휘트니 미술관전
1983
1. 슈나벨, 눈부신 성공을 거듭
2. 발튀스, 죠르쥬-퐁피두 센터에서 회고전
→·르네상스 시대의 프레스코 벽화 작가들에게서 물려받은 전통 화법을 더욱 심화시키려고 노력.
1984
1. 뉴욕 현대미술관의 "원시미술"전
2. 가루스트, 신화를 부활시킴
1985
1. 파리, 오텔살레에 피카소 박물관 개관
2. 피뇽, 파리 그랑팔레에서 회고전
3. 죠르쥬-퐁피두 센터의 비물질전
1986
1. 보이스 사망
→·뒤셀도르프에서 65세 나이로 사망.
·연금술적인 내용이 작품의 중심을 차지.
2. 베니스의 팔라조 그라시에서 미래주의전
3. 쾰른, 루드비히 박물관 개최
1987
1. 앙드레 마송 사망
→·1924년 자동기술법 뎃생을 시도. 1927년 모래그림 창조.
·잭슨폴록의 드리핑부터 마띠에르를 주 표현수단으로 하는 그림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새로운 것의 창시자.
2. 모스크바에서 샤갈 전시회 열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그림에 익숙해 있던 소련사람들에게 샤갈의 꿈의 세게는 놀라움을 안겨 줌.
3. 팅겔리, 베니스의 팔라조 그라시에서 회고전
1988
1. 말레비치를 재발견하는 회고전, 레닌그라드, 모스크바, 암스텔르담에서 개최됨.
2. 서울 올림픽과 병행하여 세계현대미술제 개최
1989
1. 살바도르 달리 사망
→·피구에라스의 병원에서 84살의 나이로 사망.
2. 죠르쥬-퐁피두 센터의 "지상의 미술사"전
→·모든 민족의 예술이 앞으로 대면하게 될 새로운 장르를 알리고 있다.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
3. 뉴욕 현대미술관의 "피카소와 브라크, 입체주의의 틴생"전
→·20세기 미술의 근거를 이룬 주요 운동들을 재조명하기 위해 벌려온 일련의 대형 기획 전시회를 종 료하는 전시회.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2.05.1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