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신학 계시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이제민 신부님 강의

A.서론 : 기초신학이란 무엇인가?
1. 기초신학 : 신학의 원리, 기초, 근본 - 나의 물음
2. 호교론과 기초신학
3. 기초신학의 역사적 근원과 과제
B. 기초신학의 내용으로서 계시
Ⅰ. 계시개념에로의 접근
1. 계시차원에서 본 실재
1) 실재와 계시 - 계시와 실재
① 계시하는 존재
② 상징
2) 聖顯現 - 神顯現 (거룩함의 현실) : 성과 속의 일치 원리
3) 창조로서의 계시
4)계시로서의 시공
①시간
②공간
5) 계시로서의 인간 : 신앙내용
① 피조물로서의 인간
② 초월적 존재로서의 인간
6) 언어 개념
7) 양심
8) 역사와 계시
Ⅱ. 행동 28
1. 20세기 계시개념 논쟁의 전환점
1) 행동 (Blondel)
2)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헌장
3) 해방신학에 대한 논쟁
Ⅲ. 구약성서의 계시 내용
1. 이스라엘의 하느님
1) 야훼의 계시 : 하나의 계시, 전체의 계시
2) 역사의 주님
3)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분
4) 하늘과 땅의 창조자
5) 인격신
6) 약속하시는 하느님, 희망의 하느님, 미래의 하느님
Ⅳ. 신약성서의 계시에 대한 용어
1. 용어의 근본적인 상이성
1) : (revelation) 폭로, 드러남, 계시
2) : (나타남, 출현)
3) 결론
2. 상이한 용어들의 연관성의 예
1) 종말론적으로 사용된 계시개념
2) 육화적으로 묘사된 계시개념
3). 결론
Ⅴ. 예수 그리스도 - 계시의 정점
1. 예수 안에 나타난 계시의 충만
1) 시간의 충만
2) 공간의 충만
3) 예수는 구약의 계시 내용과 계시 규정의 충만 (구약의 사상)
4)예수는 창조 계시의 충만
5) 십자가 : 계시의 장소
6) 계시의 정점인 부활
2. 초월 그리스도론
Ⅵ. 성서와 성전(해석의 문제)
Ⅶ. 계시개념의 본질 요소
1. 기적 - 자연의 사실, 계시의 지평 개념
2. 예언 - 역사의 사실
3. 영감 - 영적 삶의 사실
Ⅷ.해명사건으로서의 계시
1. 개시개념의 다양한 의미
1). 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
2). 일반 계시
2.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느님 해명 사건(Erschlie ugserei- guis)
3. 그리스도인과 다른 이들의 신앙
4. 계시 목적 - 하느님이 인간을 만드셨다
5. 사적 계시의 의미
1). 사적 계시의 가능성
2) 사적 계시의 신학적 이해
① 일반 계시와의 관계
② 교회의 계시
6. 사적 계시에 대한 우리의(또 환시자의) 태도
1) 사적 계시와 환시
2) 환시자의 태도
7. 맺 음 말
Ⅸ. 제1차 바티칸 공의회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2. 제1차 바티칸 공의회
1). 역사적 위치
2) 초자연적 계시와 자연적 계시
3) 결론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 계시헌장의 형성사
2) 공의회의 계시개념 : 계시헌장의 구조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테마로서의 계시
Ⅹ. 교회일치 신학의 문제점으로서의 가톨릭 계시개념
1). 마틴 루터(M.Luther)
2) E.부룬너(E.Brunner)와 K.바르트(K.Barth)
3). R.불트만(R.Bultmann)
4). W.판넨베르크(W.Pannenberg)
5). K.라아너의 계시개념
?. 계시 종교
1. 종교의 의미
2. 계시종교의 신학적 이해
3. 계시 종교의 유형
1) 유태교
2) 이슬람
3) 힌두교
4) 불교
5) 다른 종교들
6) 무속신앙
7) 무신론
8) 계시 종교들간의 구분
4. 종교의 다원주의
5. 종교간의 대화
1) 종교의 본질인 대화.
2) 종교간 대화의 자세 : 상호인정 - 자기인정.
3) 아시아에서의 종교간의 대화.
4) 대화와 선교.
5) 그리스도교의 타종교와의 대화.
6. 계시에 비추어본 종교자유
?. 참고서적

본문내용

의의 선교 무용론, 또는 선교의 강조로 「대화」를 거부하는 것은 다 옳지 않다.
5) 그리스도교의 타종교와의 대화.
참된 종교간의 대화를 위해서는 유대교, 이슬람교, 그리스도교를 계시종교로, 그리고 불교 등을 자연종교로 여기며 비계시종교로 보는 편협적인 견해부터 수정되어야 한다. 아시아의 여러종교에서도 절대와 상대, 초월과 범주, 진과 속의 관계 등 계시의 내용이 종교의 주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비그리스도교에 관한 선언」에서 이들 종교 안에 있는 진리를 인정하며 이들과의 대화를 적극 장려한다. 그리스도교와 다른종교의 대화 가능성에 대해 살펴 보면 : 첫째,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관점은 다르지만(가령 유대교는 그리스도의 도래를,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림, 그리스도교의 삼위일체적 유일신론), 유대교와 그리스도교는 많은 점에서 공동 유산을 가지고 있기에 공동 연구와 협력이 요구된다. 유대교와의 관계없이 그리스도교의 신학은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둘째,이슬람교의 근본 신앙고백은 하느님과 하느님의 예언자에 대한 고백이다(알라 외에 다른 신은 없다. 마호멧은 그의 예언자다). 알라는 마호멧에게 유대인과 그리스도인의 하느님이다. 이슬람교는 예수를 예언자로 모신다. 그들은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임을 부인하지만 그리스도교와 마찬가지로 유일신을 믿는다. 동정 성모도 공경하며 심판날을 기다린다(비그리스도교에 관한 선언 3). 이슬람교와 그리스도교의 대화 가능성은 양 종교가 모두 신을 우주 천지의 창조자, 종말의 심판자, 모든 것을 규정하고 주재하는 분으로 믿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의 실재가 예수 안에서, 이슬람교도는 코란에서 충만하게 밝혀진다고 본다는 점과 계시 해석과 계시 중재, 예언자와 예수에 대한 평가, 성서를 대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하느님 앞에 선 인간의 이해 등에서 대화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셋째,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힌두교인은 신의 비밀을 탐구하며 ... 인생고에서의 해탈을 찾아 수덕생활이나 깊은 관상이나 신비와 사랑으로 신에게 도피하고 있다 (비그리스도교에 관한 선언 2)고 쓰고 있다. 힌두교의 윤회에 대한 믿음은 십자가의 죽음을 세계의 구원으로 보는 그리스도교의 부활관에 대한 신앙과 차이를 보인다. 그럼에도 힌두교와의 만남을 통해 그리스도교 신비 입문의 신학의 발전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넷째, 불교는 그리스도교와 판이한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신이 무(無)와 공(空)으로 불리우는 것부터가 그리스교에는 생소하다). 그러나 상반된 종교일 수는 없다. 불교의 무.공 개념은 대상화될 수 없는 신의 신비를 표현한다. 그런 의미에서 인격신을 신비의 차원에서 이해하게 해주는 근본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또 깨달음과 신앙의 관계도 대화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게 해준다. 그외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른 종교들(비그리스도교에 관한 선언 2) 뿐만 아니라 무신론(사목헌장 19-22)과의 대화도 장려한다.
6. 계시에 비추어본 종교자유
DH (종교자유에 관한 선언) 9-15
종교의 자유를 말하는 것은 계시의 원리를 말하기 위해서이지 종교를 상대화시키기 위함이 아니다. 즉 종교의 자유를 부르짓으며 보편적인 계시 진리를 옹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종교가 그리스도교와 함께 계시 종교라 할 수 있는 것도 계시 종교가 여럿이 있다는 것을 말함이 아니다. 그렇게 된다면 종교를 상대화시키는 것이고, 나아가서 다른 종교들도 다 참 종교라는 이유로 굳이 그리스도교를 선택해야할 이유가 없다는 극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들 종교가 계시 종교라는 것은 이들 종교가 알든 모르든 계시의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정점인 예수적인 것을 안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예수는 계시의 절대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예수 없는 종교란 불가능하다. 달리 말해서 이들 종교가 참된 종교이기 위해서는 예수로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그 내용으로 담고 있어야 한다. 즉 예수를 추구해야 하며 예수에게로 나아가야한다.
. 참고서적
- 공의회 문헌, The Chlistia Taitt, 31-131
- J.Nenner/J.Dupnis, The Chrristian Faithh.
- H. Fries, Fundamentaltheologie
- - Offenbarung, My Sal, 1, 159-238.
- 제랄드 오콜린스, 계시란 무엇인가? (김광식 역), 가톨릭출판사 87.
- K.H.Weger, Gud hat sich offenbant.
- 김균진, 기독교 조직신학, 114-166.
- 야스퍼스, 계시에 직면한 철학적 신앙 (변선환 역), 분도출판사 1989.
- Avery Dulles, Models of Revelatia, New York 1983.
- 가톨릭 사전
- Y.Congar, The Revelation of good, London, 1968
- 박진량, 그리스도교 계시론, 분도출판사 83
- 신적 계시에 대한 역사적 고찰, 전망 43, 106-123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계시이해, 전망 58, 10-26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성전이해, 전망 60, 29-43
- 계시의 하느님, 사목 40, 3-14
- 하느님의 계시는 가능한가? 사목 61, 95-102
- 최창묵, 계시 헌장의 내용과 그 연혁, 사목 4, 6-15
- K.Rahner, 계시이해 (심상태 역), 전망 81, 2,28
- - , 계시의 신학적 해석, 전망 50, 18-30
- R. 라뚜렐르, 계시의 창조, 전망 7, 63-72
- B. 리고, 계시, 전망 37, 92-103
- C. 버틀러, 계시와 전달, 전망 4, 48-57
- M. 슈마우스, 하느님의 계시 (박진량 역), 전망편집부 79
- R. 슈나켄부륵, 복음서의 계시와 신앙 (김윤수 역), 분도출판사 72
- C. 제플레, 계시신학도론(Ⅰ), 전망 71, 33-51
- - , 계시신학도론(Ⅱ), 전망 72, 56-73
- W. 판넨베르그, 역사로서 나타난 계시 (복음주의총서 23권), 기독교서회 79
- M. 헬비히, 하느님은 과연 무엇을 계시했는가? 전망 42, 157-164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44페이지
  • 등록일2002.06.12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