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경제의 가치론적 의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사슴과 해리

III. 특별잉여가치, 지대, 불평등교환

IV. 지식노동

V. 지식기반경제론의 주요 주장에 대한 비판

VI. 맺음말

본문내용

있으며, 그 결과 불평등교환이 확대되는 것이다. 지구화란 바로 이 지식노동이 가진 규모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추진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구화가 진행될수록 지구 전체의 부가 평등해지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불평등해지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지식기반경제에 입각하여 지구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던 90년대에 세계적으로 소득불평등은 심화되었다는 사실에도 부합되는 명제이다. 지구화가 진전되면서 후진국 민중들의 노동강도가 강화되고, 노동시간이 연장되며, 노동착취가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VI.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는 간단한 노동가치론 모형에 기초하여 지식기반경제에 대한 분석을 하여 보았다. 우리가 얻었던 결론에서 비추어 본다면 지식기반경제는 결코 미래학자들이 꿈꾸는 바와 같은 이상적인 경제가 아니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자본주의는 가치 생산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지식이 늘어나면 사용가치는 분명히 늘어나지만 가치는 늘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데 있다. 이것은 정치경제학의 근본 모순인 사용가치와 가치 사이의 모순이 발현된 한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모순을 자본주의 경제에서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지식을 독점하고 지식의 확산을 막음으로써 지식의 증가가 잉여가치의 증가와 직결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본주의 경제는 지식기반경제로 전환되면 될수록 불평등과 격차가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수퍼스타 , 20대 80, 승자독식 등의 현상은 이러한 흐름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나는 이전의 연구에서 이러한 흐름이 신자유주의적 조절양식과 결합되어 배제적 축적체제를 탄생시켰다고 주장한 바 있다(강남훈, 2000).
사슴과 해리의 모형은 매우 간단한 노동가치론 모형이다. 이 글에서는 이 모형을 이용하여 지식기반경제에 대한 상당한 분석을 하였으며, 신성장이론과 방향은 반대이지만 비슷한 정도로 풍부한 의미를 찾아낼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간단한 모형이 많은 현상에 대하여 설명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노동가치론이 가진 장점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바로 노동가치론이 현실에 대한 과학적인 인식에 바탕을 둔 이론이기 때문이 아닐까?
<참고 문헌 >
강남훈(2000), "디지털 혁명과 '신경제'의 축적구조",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디지털혁명과 자본주의 전망』, 한울
김신행(1999), 『경제성장론』, 경문사
김호균(2001), 『제3의 길과 지식기반경제』, 백의
박우희 외(2001), 『기술경제학 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정성진(1977), "세계자본주의와 불평등교환", 이대근/정운영 편, 『세계자본주의론』, 까치
유종일/장하준(1991), "새성장이론의 비판적 검토--수렴의 문제를 중심으로", 『경제논집』, 서울대학교경제연구소, 제30권 제4호
장석인(2001), "지식기반경제", 박우희 외(2001), 『기술경제학 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세진(1995), "신성장이론: 기여와 한계", 『경제발전연구』 12월 창간호
김수행(1988), 『자본론 연구 I』, 한길사.
Aghion, Phillippe/Peter Howitt(1998), Endogenous Growth Theory, The MIT Press
Braverman, Harry(1975), Labour and Monopoly Capital, Monthly Review Press, 강남훈/이한주 역(1989), 『노동과 독점자본』, 까치.
Burton-Jones, Alan(1999), Knowledge Capitalism, Oxford.
Daniel, Bell(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Basic Books
Drucker, Peter(1993), Post-Capitalist Society, Harperbusiness, 이재규 옮김,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한국경제신문사, 1993
Grant, R. M./C. Baden-Fuller(1995), 'A Knowledge-Based Theory of Inter-firm Collaboration', Academy of Management Best Papers Proceedings, pp. 17-21.
Marx, Karl(1867), Capital, Vol. I, 김수행 역(1994), 『자본론』 제1권, 비봉출판사.
Marx, Karl(1894), Capital, Vol. III, 김수행 역(1990), 『자본론』, 제3권, 비봉출판사,
Neef, Dale ed.(1998), The Knowledge Economy, Butterworth-Heinenmann
Nonaka, I./H. Takeuchi(1995), The Knowledge Creating Company: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장은영 역(1998). 『지식창조기업』, 세종서적
OECD(1996), The Knowledge-Based Economy, Paris.
Polanyi, Michael(1967), The Tacit Dimension, Loutledge & Kegan Paul
Romer, Paul(1986), "Increasing Returns and Long 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June 1986
Smith, Adam(1776), 김수행 역(1992), 『국부론』, 동아출판사.
Stiglitz, Joseph E.(1999), Public Policy for a Knowledge Economy, The World Bank, January 27.
Toffler, Alvin(1980), The Third Wave, Morrow, 김진욱 역, 『제3의 물결』 범우사, 1992.
富塚良三 외 편(1985), 『資本論體系 3: 剩餘價値 · 資本蓄積』, 有斐閣
佐藤金三朗 외 편(1977), 『資本論を 學ぶ』, 有斐閣
淸野良榮(1992), 『現代經濟と 蓄積體制: 競爭と 獨占の 經濟學』, 晃洋書房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