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과 진화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주제 : 생물학과 진화론
1.일반적인 생각 (이 책의 주장)
2.총체적 느낌( 주관적인 생각)
3.세부적인 질문들 (혹은 세부적인 생각들)

주제: 주역과 동양 과학
1.서론
2.주요 논제들
3.주역에 관한 논쟁점들에 관한 필자의 생각

주제 : 과학 기술과 환경
1.서론
2.환경 오염의 주범은?
3.과학 기술과 환경 문제
4.환경 문제의 해결에 대하여.....

본문내용

학 기술의 속성이 만약 환경을 파괴하는 것이라면 그것이 근본적인 환경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이 글에서는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서 다시 두 가지로 명료화
하면서 설명하고자 했다.
1> 현대 과학 기술은 환경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나 그것을 계속 발전시키고
그 성과를 환경 문제 해결에 응용한다면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인가?
2> 현대 과학 기술 전체를 환경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다른 과학 기술로 변화시키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된다. 이것이 가능한가?
이 글에서는 지구 온난화 , 오존충 파괴 , 숲의 죽음 이라는 세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쳤번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했는데 그 결과는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그것을 막는 방법이라고 여겨지는 것들 (예를 들면 핵융합 이나 알코올 연료)
이 한계를 가지고 있고, 또한 해결책이 되기에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두번째 문제는 어떨까? 여기에서는 거의 불가능해보인다 고 말한다.
왜냐하면 과학 기술자 집단의 무관심과 현대 과학 기술 자체가 그러한 변화와는 근본적
으로 모순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점이다.
그렇다면 환경 문제는 해결 될 수 없는 것인가 ? 이에 대해서는 다음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해보고자 한다.
4. 환경 문제의 해결에 대하여.....
이 글에서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현대 과학 기술을 근본적으로
그렇지만 점진적으로 개혁하는 길 밖에는 없다고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과학 기술의
자연 지배적 성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서 자연의 한 부분인 인간의 생존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아까 제 2번에서 언급했던 환경 오염의 근본적
공통 원인이 대량성에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보면 또다른 해결책이 나온다. 그것은 집단의
규모가 작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량성을 바탕으로 하는 현대 대중 사회는 아무리 해도
환경 오염을 해결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것들이 지금 이뤄지고 있는가? 와 이뤄질 수 있는가? 에 관한 것
이다. 현대 사회의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피상적인 지식만을 가지고 있거나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 되겠지 라고 막연히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자연의 자정 능력을
과신하는 경향과 과학 기술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사회라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관성을 가지고 있고, 현 사회 체제 속에서 이익을
얻고 있는 기득권이 존재한다. 그것은 대량성을 바탕으로한 사회를 소집단을 바탕으로한
사회로 개혁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의미한다.
현재에도 환경 오염은 계속해서 진행 중이고, 과학 기술은 점점더 자연을 이용하려는,
자연과 배타적인 방향으로 계속해서 나아가고 있다. 자연을 완전히 통제하려는 인간의
야심은 현재 생명 공학이나 유전 공학의 발달로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복제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생명 공학의 발전이 어떻게
환경을 또는 지구상의 전 생명체를 생태계를 변화시켜 나갈지는 아무도 모른다. 각 국가
에서는 이러한 생명 공학에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고 있는 추세이고 (특히 일본이 그렇
다) , 환경 문제는 현 대사회의 다른 문제들 예를 들면 경제 개발 교육 교육 문제 , 평등
문제 속에서 하나의 작은 부분으로 밖에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누구도 환경 오염이
큰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고는 있으면서도 아무런 해결을 하려는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단체와 학계에서의 소리가 있기는 하지만 사실상 그것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고려해 볼 때 인류의 미래에 대해서 필자는 약간은 비관적이 되어간다.
어쩌면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인공 지능 로버트가 아마 다음 미래의 환경에 더 잘 적응 할
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환경 문제는 가장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문제인데도
과학자 집단과 정치 집단은 각각 자신들의 업적과 이득에 관심을 기울인다. 무엇보다도
문제시 되는 또 하나는 대량성이라는 정량적 문제가 아니라 개인 주의라는 정신적인 문제
이다. 이러한 개인 주의가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 문제의 실마리는 풀리게 될지 의문이다.
인간의 지성에 대한 과도한 믿음도 자제해야만 한다. 어떠한 기술의 개발로 환경 무제를
해결하려고 했던 것이 다시 환경 문제를 유발하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게다가 안전하게
여겨졌던 과학 기술의 산물들은 항상 환경 문제를 인간이 모르는 사이에 야기해왔다는 점
에도 주목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7.23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