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및’의 의미와 통사적 기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및’의 통시적 변화

3. ‘및’의 분포

4. ‘및’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4.1 ‘및’의 통사적 기능
4.2 ‘및’의 의미

5. 결론

본문내용

이런 것들은 '및'의 적절한 용법이라고 할 수 없다.
ㄱ) 성균관대 인근 종로구 명륜 4가 K호프는 비상 탈출구가 나무 및 환풍구로 막혀 있었다.
ㄴ) 노사개혁위원회는 민주노총이 앞으로 노개위 활동에 불참할 경우 노사 및 공익 당사자간들간의 합의만으로 노동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ㄱ)에서는 '나무'와 '환풍구'가 비상탈출구를 막는데 모두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및'을 쓸 이유가 없으며, ㄴ)은 '노사'와 '공익 당사자'가 함께 개정을 추진하므로 '-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및'은 어휘적 의미보다는 통사적 기능을 주로 담당하기 때문에 무리하게 확대 사용하다 보면 사용 범주를 한정짓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및의 분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 문장에서 '및'이 두 번 나오는 것은 의미 혼란을 초래하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을 것 이다.
5. 結論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및'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일정한 통사적 기능과 의미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및은 의미적인 면에서보다는 통사적 기능면에서 더 많은 확대가 이루어 졌는데, 이는 '및'이 명사(구) 접속에 더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논지의 전개는 먼저 명사의 個數와 '및'의 위치를 중심으로 '및'의 분포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및'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를 究明하였다. 본론에서 분석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및의 분포>
1) '및'이 들어 있는 명사(구) 나열의 개수는 2-6개이며, 대상 자료 302개 중 약 65%에 해당하는 199개의 예문에서 '및'은 두 개의 명사(구) 사이에서 나타났다.
2) 명사(구)가 3개 이상 나열된 전체 예 103개 중 '및'이 맨 뒤 명사(구) 앞에 오는 경우가 54개 이고, 59개가 나열된 명사(구)들의 중간에 오는 것으로 보아 '및'이 '기타' 항목을 처리하는 것만을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3) 3개 이상 나열된 명사(구)에서 '및'이 의미상 2개의 명사(구)를 묶는 경우는 66회로 나타났으며
두 개의 명사 사이에서 오는 경우까지를 합하면 '및'은 302개 예문 중 265개에서 두 개의 명사(구)만을 연결하고 있다.
, 나머지는 거의가 나열된 전체 명사에 관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및'은 2개의 명사(구)를 관련짓기 위해 사용하거나, 아니면 전체를 관련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및의 통사적 기능>
4) '및'의 1차 기능은 명사나 명사구 접속 기능이다.
5) 명사(구) 나열시 반복되는 성분을 생략하고자 할 때 '및'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생략 성분은 나열된 명사의 맨 앞에 오기도 하고 맨 뒤에 오기도 한다.
6) 여러개의 명사(구)가 나열될 때, 다른 명사(구)보다 둘 사이가 의미적으로 결속이 더 긴밀함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
7) 명사가 나열될 때, 주요 항목과 부차적이거나 주변적인 요소들과를 구별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8) 나열된 명사(구)들을 주요 항목과 부차적인 항목이 아니라 단순히 의미상의 구분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9) '및'으로 연결되는 명사들이 각각 별도로 다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
10) 명사(구)의 대상이 구체적으로 지정하기 어려운 경우 '및'으로 연결시키는 경향이 있다.
11) '및'은 다른 접속형태소(-과, -이나, 또(는), 그리고, 겸 등)와 단순히 의미상으로는 호환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접속 형태소들은 이미 그 쓰임이 고착화되어 있기 때문에 명사(구) 나열 접속 방식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및'은 자립형태소일 뿐만 아니라 그 동안 용법이 고착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명사 나열시 접속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12) '및'은 다른 어떤 접속형태소보다 문어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히 문어에서의 쓰임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및의 의미>
13) '및'은 여전히 '그밖에 또'나 '기타'라는 기존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14) '및'은 '각각', '별도로'의미를 획득해 가고 있다.
15) '--를 포함하여'나 '--와 더불어', '--와 함께' 등의 의미도 나타났다.
16) '-과, -이나, 또(는), 그리고, 겸' 등과 유의관계를 형성하지만 통사적 기능의 차이로 실제로는 호환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17) '및'은 명사(구) 나열이 불가피하게 많은 현대 사회의 언어 사용 양상에 따라 그 쓰임이 매우 확산되어 가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 일정한 범주를 벗어나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이 나타났다. 특히 한 문장 안에서 '및'을 중복 사용하는 경우는 '및'의 결속 범주에 혼란이 초래되므로 피해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1. 강우원(1985), 국어 이음말 연구,부산대, 1985.
2. 이승욱(1989,6), 體言竝列句 구성의 '와/과', 霽曉李庸周博士回甲紀念
論文集.
3. 김승곤(1996), 현대나라말본(663쪽), 박이정출판사.
4. 김영희(1974), '와'의 양상, 국어국문학 65,66合本號.
5. 김완진(1970), 문접속의 '와'와 구 접속의 '와', 어학연구 6권2호.
6. 남기심(1990), 토씨 '와/과'의 쓰임에 대하여, 東方學志66, 연세대.
7. 동상훈(1988), 우리말 이음소 처리의 사적 고찰, 부산 한글 7집.
8. 성광수(1978), "체언접속과 공격", 한글 162.
9. 유목상(1970), 접속어에 대한 고찰, 한글146, 한글학회.
10. 이건원(1983), 한국어 논리적 연결어 소고, 어학연구 제19권 제1호.
11. 이건원(1990), '와'의 연결과 공동, 한국어학신연구, 우운박병채교수정년.
12. 이은경(1992), 접속과 접속형식, 주시경학보 제9집, 탑출판사.
13. 이환묵(1981), '또'의 의미 분석, 한글173,174.
14. 이성재(1993), 논증과 연결어에 관한 화용론적 연구, 한국외대(박사).
15. 임홍빈(1972), "NP竝列의 '와/과'에 대하여", 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4, 서울대 교양과정부.
16. 성영주(1995), 매개범주를 이용한 한국어 접속문의 해석, 한양대 대학원(전자통신공학과, 석사).
17. 장정줄(1982), 국어의 접속사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석사).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2.07.2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