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언어학 그리고 언어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인간과 언어

2.1 언어의 본질과 특성
2.2 언어의 기능

III. 언어학과 언어교육

IV. 바람직한 언어교육의 지향점

본문내용

이다
노명완(1995)에서는 그동안 우리 국어교육계는 언어 학습과 언어에 대한 학습을 서로 이질적이고 대립적인 의미로 인식해 왔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지식 중심 학문 중심의 4차 국어과 교육과정이 언어에 대한 학습을 근간으로 해서 이루어졌다면, 기능 중심의 5 6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언어 사용 기능 중심의 언어 학습에의 강조를 토대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언어에 대한 학습'이란 학습자에게 언어 지식이나 문법 지식을 가르친다는 의미이며, '언어 학습'이란 학습자의 언어 사용 능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하여 언어 그 자체를 지도한다는 의미이다. 이제까지 우리 언어(국어) 교육계에서는 언어 교육을 '언어에 대한 학습'이라는 의미로만 해석해 왔고, 그 결과 '문법적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 위주로 학습 현장을 이끌어 올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언어의 궁극적인 본질이 의사소통이라는 도구적 측면에 있다면 언어 교육 역시 학습자의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 바람직한 언어교육의 방향
지금까지 우리는 언어의 본질에 대한 탐구로부터 시작해서 언어교육 분야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왔던 여러 갈래의 언어학 이론을 검토함으로써 언어교육의 의미를 정리해 보았다. 본 절에서는 이제까지 논의된 내용을 기초로 우리의 언어교육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첫째, 언어 교육은 궁극적으로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언어 사용 기능이라는 용어를 말과 글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언어로 표현된 다른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사고력을 형성하는 도구로서의 고등정신기능이라는 이원적인 의미로 이해하기로 한다. '언어 사용 행위' 자체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재구성하는 복합적인 사고 과정'(노명완:1986)이기 때문이다.
둘째, 언어(국어)교육에서 대상으로 삼는 언어는 문장 층위가 아닌 담화 텍스트 층위이어야 한다. 실제 의사소통의 단위가 문장이 아닌 담화 텍스트라는 점을 감안해 본다면 학습자의 언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돕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탈맥락적인 문법성과 적격성에 의존해 오던 문장 층위의 언어교육을 지양하고 텍스트 생산자와 수용자, 의사소통 맥락과 상황 요인이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담화 텍스트
Beaugrande와 Dressler(1981)는 의사소통행위를 수행하는 담화 텍스트의 구성 요건으로 결속 구조(cohesion), 결속성(coherence), 의도성(intentionality), 용인성(acceptability), 정보성(informality),상황성(situationality),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제시하였다.
차원에서의 언어 교육을 지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언어 교육의 목표가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에 있다면 기존의 '결과' 중심의 교육을 지양하고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과정으로서의 언어다.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언어 처리 과정은 고도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인지적 사고 과정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언어 교육의 당면 과제는 학습자로 하여금 어떻게 이 인지적 사고 과정으로서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언어 처리 과정을 교육의 주된 내용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은 곧 구체적인 과정적 절차로서의 전략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개편되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넷째, 바람직한 언어 교육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이해 표현을 요체로 하는 언어적 처리는 글의 내용이나 구조에 대한 사전 지식 정도나 학습자의 태도나 가치 등의 인지적 정의적 배경 변인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언어 교육의 주체는 교사가 아닌 학습자이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서울교대)
□ 참고문헌 □
김덕기. 1996. 「영어교육론」 고려대 출판부.
金芳漢. 1992.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金鎭宇. 1990. 「言語敎育과 心理學」 중앙대학교 출판부.
______. 1992. 「人間과 言語」 집문당.
______. 1994. 「言語와 意思疏通」 한신문화사.
김정숙·원진숙. 199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반성과 새로운 방법론 모색." 「語文論集」 31. 고려대 국어국문학 연구회.
노명완. 1995. "언어현상과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전략."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최현섭 외). 일지사.
박경자 외. 1994. 「언어교수학」 박영사.
박영목·한철우·윤희원. 1995. 「국어과 교수학습방법 탐구」 교학사.
박영목·한철우·윤희원. 1996. 「국어교육학 원론」 교학사.
원진숙. 1992. "의사소통능력계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교육 한글」 5호. 한글학회.
______. 1995. 「작문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방법론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이성영. 1994. "의사소통과 국어교육의 내용." 「國語敎育學硏究」 4집. 국어교육학회.
정길정·연준흠 역. 1994. 「언어심리학-문장과 담화처리과정 이해」 한국문화사.
정시호 역. 1995. 「텍스트학」 민음사.
조명원·이흥수. 1991. 「영어교육사전」 한신문화사.
최현섭 외. 1996.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황경자 역. 1992.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I」 민음사.
Beaugrande & Dressler. 1981.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gman.
Massimo Piattelli-Palmarini(ed). 1980. Langauge and Learning-The Debate between Jean Piaget and Noam Chomsky. Harvard University Press.
H. Douglas Brown. 198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 Hall.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7.2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