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와 레크레이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여가의 어원
-노동과 여가의 관계

2.레크리에이션의 뜻 ?
-레크리에이션의 정의
-레크리에이션의 의의
-레크리에이션의 효과
-레크리에이션의 2가지 형태
-레크리에이션의 활동 종목의 분류
-레크리에이션의 지도자
-지도자의 프로그램 구성

3. <그리스도인과 여가>

4. 고대 및 중세의 레크리에이션문화
-고대 문화의 예
-중세의 예

5.여가 정의의 진화

본문내용

이 기점이다. 이제 자아에 대한 권위자들이 자아와 타자의 비교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Robert Havighurst와 Kenneth Feigenbaum(1959) 그리고 Harold Wilensky(1964)가 이 같은 주제로 연구를 하였다.
여가에 대한 사회학적 탐구의 범위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확장되었다. 노동과 여가의 역할의 관련성( Riesman, 1964; Parker, 1971), 여가와 가족(Scheuch, 1960; Anderson, 1961), 그리고 지역사회 가치의 형성과 문화 적응에 있어 여가의 역할(Pieper, 1948; de Grazia, 1962)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사회 심리학자들(Neulinger, 1974; Iso-Ahola, 1980; Mannell, 1984) 또한 여가의 행동의 동기와 행동에 따른 결과의 이해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이들 대부분 연구에서, 여가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은 여가의 주관적, 인간적, 또는 심리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들의 지향성은 여가를 생활 양식과 적절한 활동으로 보는 고대 그리스의 여가의 철학과 매우 유사하다. Henry Fairchild(1944), Charles Brightbill(1961), 그리고 Stanly Parker(1971)과 같은 몇몇 학자들은 여전히 여가를 시간의 문제로 보고 있지만, 인간주의적 개념은 1940년대부터 지금까지도 여가 연구에 있어 지배적이다.
Joffre Dumazdier(1968)는 여가를 제한된 활동으로 보았고, 여가를 산업사회와 후기산업사회를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또한 그는 고대 그리스에는 여가가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여가에 대한 그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의 개념과 유사하다.
John Neulinger(1974)는 여가를 심리적 상태에 초점을 두고 개념화하였다. 여가와 비여가의 구분은 인식의 초점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Sebatian de Grazia(1952)는 그의 저서 "시간, 노동, 그리고 여가에 대하여"에서 여가에 대한 주관적인 관점을 역설하였다. 그는 산업 혁명은 생산 과정의 혁명을 의미 할 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시간을 보는 관점의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시계의 시간은 사실상의 참주가 되었고 동시에 사람들은 정치적 참주는 거부하고 있다고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시간에 얽매여 있는 사람들의 삶이 여가를 갖기가 어렵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모든 정의 속에는 여가와 비여가에 대한 구분이 이루어져 있고 그 구분 속에는 시간이라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시간의 개념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de Grazia 도 여가는 진정한 자유시간에 일어난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다.
여가에 대한 인간주의적 관점과 양적 관점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특정한 부가적인 전제조건을 부여하는가 아니면 시간이라는 기본적인 구성요소 위에 심리적인 요구조건을 부가하는가에 달려있다. 바람직한 선행조건은 고도의 삶의 질과 최상의 여가 경험의 형태를 촉진하는 것이 될 것이다. 여가의 기본적이고 지속적인 특징은 기본적인 책무에서 자유로운 시간이라는 것이다.
여가에 대한 인간주의적 관점이 지닌 문제는 부가적인 선행조건이나 심리적 요구조건이 매우 가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정의, 인식, 취향의 문제에 대해 검토하고 논의하는 것은 일련의 교육적 가치는 있지만, 이것들은 연구, 정책 분석, 관리 목적을 두고 활용하는 데 있어 제한된 가치를 가진다.
여가를 양적으로 정의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이 접근법도 "노동"과 "책무"를 어떻게 정의하느냐란 질문을 야기 시킨다. 직업이나 노동에 대한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여가는 명백한 자유시간을 얻을 때까지 딱딱한 노동에 몰두하는 것에서 굉장히 어정쩡한 영역에 이르는 연속체이다. 예를 들어, 노동하러 통근하는 데 쓰여진 시간을 개인 책무의 일부나 여가로 분류할 수 있는가? 복잡한 고속도로로 통근한다면, 그것은 여가가 될 수 없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외국 학회를 가기 위해 비행기 1등석을 타고 가는 시간이라면 어떨까?
자유시간을 정의하는데 있어 문제들은 항상 자유시간에 대한 개념의 한계나 경계를 어떻게 가늠하느냐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 경계는 안개의 경계처럼 본질적으로 불명확하다. 그러나 안개의 경계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개의 실체나 기본적인 특징은 논쟁적 사안으로 간주 할 수가 없다. 여가의 정의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경계는 없지만, 기본적인 특징에 초점을 둘 수는 있다. 기본적인 특징이 자유시간이다.
여가의 정확한 정의를 선별하는 문제는 매우 미묘한 것이다. 여가에 대한 연구는 대개 현상을 어떻게 정의하거나 측정하는가에 대한 분명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한다. Peter Witt와 Gary Ellis(1985)는 여가의 정의에 대한 선택은 여가 서비스 기관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다. 인간주의적 정의의 선택은 기관에 있어 여러 가지 관심거리 중에 여가 교육, 지역사회 개발, 통합, 적응 프로그램 제작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한편, 양적 정의를 선택하게 되면 여타 쟁점 중에 접근 용이성, 장애물, 이동 능력, 요구, 기준에 커다란 관심을 두게 된다.
모든 연구자, 여가 서비스직, 철학자들도 여가에 대한 어떤 정의가 최선이라는 것에 동의할 것 같지 않다. 그러나 최소한, 제시된 정의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각 관점에 대한 장점, 약점, 그리고 함의를 인식해야 한다.
발췌 문헌:
Stephen L. J. Smith. 1990. Dictionary of Concepts in Recreation and Leisure Studi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 pp, 179-185.
참고자료:
Thomas L. Goodlae & Geoffrey C. Godbey. 1988. The Evolution of Leisur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Venture Publishing, Inc.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8.08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