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현황과 특성 및 이의 평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현황과 특성 및 이의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봉제의 개념과 본질

2. 연봉제의 도입배경

3. 연봉제의 유형

4. 연봉제 도입 실태

5. 연봉제 도입사례

6. 연봉제의 전반적 특성

7. 연봉제의 장점과 단점

본문내용

, 국내 기업들에 있어서 인력의 적정배치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은 결국 체계적인 직무분석이 되지 않아서 직무의 내용과 요건에 적합한 인력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으로 연봉제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이 연봉제에 합당한 인사고과제도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고과절차와 보상의 공정성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고 보아진다.
이러한 실태조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기업들에 도입된 연봉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능력ㆍ실적을 중시하는 인사관리체계와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지금처럼 기존의 연공서열형 인사관리체계와 조직문화를 능력ㆍ실적위주로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임금체계만 연봉제로 전환하게 되면 오히려 구성원간의 갈등과 혼란을 야기시켜 연봉제 도입의 효과를 반감시킬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연봉제 도입을 위한 선행 작업과 환경조성에 힘쓰기보다는 연봉제의 도입 그 자체에만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듯 하다. 따라서 연봉제 도입에 앞서 도입여건을 갖추기 위한 조직 내 노력이 수반될 때에 연봉제 도입의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동원, 미국기업의 최근 연봉제 동향, 경총 임금연구, 제5호, 1994.
김성환, K연봉제와 목표관리시스템, 한국능률협회, 1998.
김인호, 성공적인 연봉제 도입과 운영방안, 경영사학 17집, P.267-294, 1998.
노동부 노사협의과, 임금제도개선 사례집, 1999.4.
───,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1999.1
───,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00.1
다케우치 유다카 저/강유신 역, 능력주의 시대의 연봉제 임금제도, 갑진출판사.
선한승, 연봉제 도입방안연구, 노동연구원, 1998.
신정식, 한국형 연봉제, 한국능률협회, 1998.
안희탁, 연봉제 설계와 연봉평가 실무, 한국경영자총협회 노동경제연구원, 1998.
양병무, 연봉제의 이론과 사례, 한국경영자총협회 노동경제연구원, 1998.
───, 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실태와 과제, 인사관리학회 추계 학술세미나, 1999.
월간 노동, 특집/ 연봉제, 1999. 7월호.
이종구, 한국기업의 연봉제 유형분류와 유형별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경희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이휘영, 능력주의 임금과 연봉제, 박영사, 1998.
21세기북스, 연봉제 매뉴얼, 1996.
정원재, 한국형 연봉제도의 모델설정을 위한 연구, 서강대 석사논문, 1996.
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자료실무, 1997, 1998.
한국경영자총협회 노동경제연구원, 연봉제 실시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1998.
한국노동연구원·한국경제신문사, 연봉제 어떻게 할 것인가, 1998.
한국능률협회, 연봉제 사례집, 1996.
──────, 연봉제 도입·운영실무 매뉴얼, 1996.
한국신약노동조합, 연봉제의 이해-연봉제의 주요 특징과 도입방안, 1998.
행정자치부, 공무원 연봉제 업무처리지침, 1999.1.
菊野一雄, 일본연봉제의 현황, 인사관리학회 추계 학술세미나, 1999.
The Realities, Characteristics and Appraisal of Annual Salary Systems in Korean Firms
Kwangsun Song
Abstract
Nowadays, many Korean firms are introduced an annual salary system as a new wage system. Till now the traditional wage system in Korean firms are based on the seniority system, but the recent economic crisis in Korea accelerates to introduce an annual salary system. An annual salary system has a meaning in rationalizing a traditional wage system and motivating employees. Due to these reasons, the introduction of an annual salary system is diffused widely among many Korean firms.
In this study, the re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nnual salary systems which are introduced recently in Korean firms are analyzed from the review of recent surveys as below aspects - introduction motives, application position, rate of employees applied to annual salary system, rate of change wage in annual salary, appraisal methods for annual salary system, introduction effects and problems of annual salary system etc.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the entities of Korean annual salary system are discussed. At last, the specific ways to maximize introduction effects and minimize problems of annual salary system in Korean firms are suggested. In conclusion, Korean new comers of annual salary system must consider not only designing appropriate annual salary system but also building up conditions which backup the success of annual salary system.
  • 가격1,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08.22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