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디자인이 Cronbachs α계수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Cronbach`s α에 관한 기존의 Meta-analyses
1. Churchill and Peter(1984)의 연구
2. Peterson(1994)의 연구

Ⅲ. 자료수집범위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eter와 Peterson의 연구에서 유의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발견된 세 가지 요인들만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척도점의 수와 항목의 수는 α값과 正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 논문의 발견점과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표본의 크기는 α값과 負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hurchill and Peter의 발견점과 일치한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자들이 척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뢰도 값을 높이기 위해서는 척도점이 많은 척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점척도보다 7점척도가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항목의 수는 많을수록 대체로 신뢰도 값이 커지
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α={k barr} over {1+barr (k-1)}
(k=항목수,
barr
=항목간 평균 상관계수) 인 점을 감안할 때, 항목수가 많아지면 α값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항목수가 너무 많은 경우 일부의 항목은 사실상 타당성(validity)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어
barr
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할 때 항목수가 무작정 많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항목수가 30을 초과하는 경우 α값이 오히려 낮아진 것은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본의 크기는 α값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α값을 얻기 위해서는 표본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이 낮아지므로 작은 표본이 결코 바람직하다고 할 수는 없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단위(Construct)별 평균과 전체 평균치는 차후 다른 연구의 α값들을 평가하는데 준거점으로 이용될 수 있다. Nunnally(1978)가 제안한 기준값들이 이론적 혹은 경험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발견된 평균값은 보다 의미를 갖는다.
국내의 경우 마케팅분야에서 meta-analysis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데, 본 연구자들은 마케팅분야의 연구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우리도 이제는 이러한 것에도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meta-analysis적 연구의 비교적 드문 시도로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교적 구체적인 공헌 이외에도 국내 연구자들에게 meta-analysis적 연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공헌을 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α값에 대한 연구디자인의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두 논문이 연구디자인의 제 측면과 관련하여 보다 폭넓게 연구한 데 비해 본 연구는 항목의 수, 척도점의 수, 그리고 표본의 크기에 국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자들은 보다 많은 자료로써 연구한 기존의 논문들에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디자인 요소에 대한 조사를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본 연구자들은 국내의 관련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비교적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어느정도 제한된 범위내에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내의 주요 학회지의 대다수와 일부의 박사논문들이 조사대상이 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편의표본이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크게 결여하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미국의 경우 10년간에 걸쳐 신뢰성에 대한 meta-analyses가 이루어졌듯이, 국내에서도 연구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앞으로 유사한 연구가 수행될 것을 기대한다.
참 고 문 헌
김경훈(1993), "마아케팅 연구에 있어서 신뢰도 측정방법의 문제점," 마아케팅연구, 제 8권 제 2호, pp.199-230.
박명희, 채서일(1986), "소비자 제품만족·불만족, 정보탐색노력, 기대불일치와의 관계에 관한 노력," 마아케팅연구, 제 1권 제 1호.
Churchill, Gilbert A., Jr.(1979),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ⅩⅥ(February), pp.64-73.
_____ and J. Paul Peter(1984), "Research Design Effects on the Reliability of Rating Scales: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Ⅹ (November), pp. 360-375.
Cohen, Jacob and Patricia Cohen(198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Cronbach, Lee J.(1951),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 metrika, Vol. 16(September), pp.297-334.
Nunnally, Jum C.(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Peter, J. Paul(1979),"Reliability: A Review of Psychometric Basics and Recent Marketing Practi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ⅩⅥ(February), pp.6-17.
_____(1981),"Construct Validity: A Review of Basic Issues and Marketing Practi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ⅩⅧ(May), pp. 133-145.
Peterson, Robert A.(1994), "A Meta-analysis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21(September), pp.381-391.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9.15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