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전통 연극(가부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극의 기원과 발전
2. 가부키 발달사
3. 어원을 중심으로
4. 인물과 주장하는 바
5. 의상과 색
6. 가부키의 역사적 고찰
7. 가부키에 나타난 사상과 시대질서
....

본문내용

전신에 빨간 색으로 칠하고, 보통 사람은 살색으로 사실적으로 표현한다. 무사의 첩들은 화려한 붉은 옷을 입는 것이 많아 '赤姬'라고 통칭한다. 연기 또한 현대적인 리얼리즘과는 정반대로 양식화되어 오버 액션이 많은 편이다. 관객의 눈을 하나로 모은 후 객석 사이의 花道로 퇴장한다. 세계에서도 예외 없는 가부키의 독특한 무대기구이다. 관객의 시선을 모으는 있어 引き拔き라는 요소는 무대 위에서 黑子의 도움으로 빈번한 의상변화를 통해 그것을 가능케 한다. 바로크 연극이 의상교환을 관객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는 것과 비교해 관객에서 더욱 큰 시선집중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가부키는 배우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 남녀주인공을 맡은 배우들이 악역이나 적을 속시원하게 물리치는 연기를 통하여 관객들에게 강렬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준다. 주역들이 ぐまとり를 하고 2m가 넘는 긴칼을 찬다든지, 여러 가지 무대장치를 하는 것은 모두 주역들의 연기를 돋보이게 하는 가부키 고유의 연출이다.
4. 특수분장 くまどり
歌舞伎의 고유한 양식 미를 표현하는 배우의 독특한 얼굴 치장 방법으로, 市川 十郞가 창시한 荒事(17세기 후반 市川團十郞라는 배우에 의해 확립되었다. 호쾌하고 미적이며 역사적 勇者를 주인공으로 하는데 내용이 황당무계하고 낭만적인 시대물, 분장과 과장 연기로 초인적인 힘을 표현하는 연기 양식)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くまどり란 미술용어로 '바림'을 뜻하며, 크게 홍색계통과 남색계통으로 나눠진다. 분을 바른 얼굴에 빨간색 또는 파란색의 유성안료로 선을 긋고, 손가락 끝으로 선을 바림하는 데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흰 분을 바른 안면에 붓으로 굵은 빨간 선을 그려서 혈관이나 근육의 긴장을 표현하고, 손가락으로 선의 언저리를 모란 꽃잎처럼 흰 살갗에 바림하여 풀어준다. 이는 여백을 살린 동양화의 수법과 통하는 일면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 독특한 무대장치
무대장치에서 주목할 것은 花道라는 꽃길과 회전무대인데, 花道는 관람석을 지나 무대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배우가 출입하는 통로를 말한다. 길이는 극장에 따라 다르지만 폭은 대게 약 1.5미터이다. 이 꽃길은 무대 위와는 다른 장면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연출상 매우 중요한데, 그저 단순한 등장인물의 통로 내지 출입구가 아니라 무대의 중요한 일부로, 관객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花道와 더불어 歌舞伎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회전무대는, 1758년에 大阪의 대극장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배우를 태운 채 움직여 재빨리 다음 장면으로 바뀌는 것이 특징인데, 이로 인해 장면 전환이 신속해지고, 연출상의 무대 효과를 낳아 자유로운 장면 구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일일이 막을 내리거나 올릴 필요가 없으며, 배우가 무대와 함께 등장하고 퇴장하는 모습을 보는 것도 관객에 커다란 재미를 준다. せりあげ로 빠른 배경변화를 시도한 점은 바로크 연극에서의 그것 즉, 이동용 수레를 이용하는 것과는 관객의 관심유도의 측면에서 더 높은 효과를 달성한다.
연기 : 가부키의 연기는 한마디로 주연배우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녀주인공을 맡은 배우들이 악역이나 적을 속시원하게 물리치는 연기를 통하여 관객들에게 강렬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 가부키라고 할 수 있다. 주역들이 구마토리를 하고 2미터가 넘는 긴칼을 찬다든지, 여러 가지 무대장치를 하는 것은 모두 주역들의 연기를 돋보이게 하는 가부키 고유의 연출이다.
6. 바로크 연극과 歌舞伎
德川時代는 바로크 시대와 달리 종교관이 지배적인 사회가 아니었으며 단지 선불교, 신도의 정신사조에 의한 윤리문제가 중시되었던 사회였다. 특히, 군주와 신하간의 절대적 충성을 최고의 선으로 보았다. 바로크 시대는 기독교의 영향아래 감성적이고, 종교적 인생관을 절대적 가치로 보았고 현세보다 내세에 대한 관심을 두었다. 결국 영혼의 구제를 찾는다는 신앙인의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바로크 연극과 가무기는 다른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즉, 가부키가 종교적 가치추구가 아닌 현세의 중시를 큰 선으로 인식하였고, 바로크 연극은 내세와 현세의 대립구도 속에서 현세의 향락 못지않은 영혼의 구원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흘렀다.
7. 歌舞伎의 3대 명작
『假名手本忠臣藏 - 사랑과 충절』,『菅原傳授手習鑑 - 보은과 자식의 희생』, 『義經千本櫻 - 장구와 여우』를 들 수 있는데, 이 중에서 『義經千本櫻(よしつねせんぼんざくら)』는 歌舞伎의 대표적인 시대 작품이다. 연극의 중심은 初音라는 장구를 둘러싼 여우의 이야기와 義經에게 패망한 平家의 무장들에 대한 후일담이다. 사랑하는 이의 장구를 품에 안고 よしの산에 가는 義經의 애인과 그 장구에 얽힌 새끼 여우의 사연, 그리고 몰락 후에도 살아 남아 げんじ의 보복에 심혈을 기울이는 平家 자제들의 집념이 혼재한 대하 드라마이다. 5막중 4막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제 4막
중상모략에 의해 형과 사이가 나빠진 義經는 가신들을 데리고 九州로 몸을 피하고자 大坂의 서쪽 아마가사키에서 배를 타려고 한다. 그러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가고 일행은 大坂 남방에 있는 よしの산으로 피신해 간다. 이 소식을 들은 시즈카고젠은 義經를 그리워하며 사토 타다노부를 데리고 산으로 향한다. 그러나, 도착하고 보니 義經의 곁에는 또 한 사람의 사토 타다노부가 있다. 시즈카고젠이 가지고 있는 장구의 가죽은 여우 가죽이었는데, 새끼 여우가 어미를 그리워하며 사토 타다노부로 변신했던 것이다. 새끼를 불쌍히 여긴 義經는 장구를 여우에게 주고, 이에 여우는 그를 지켜주겠다는 맹세와 함께 자취를 감춘다. 그날 밤 平家의 무장이 義經를 습격하지만, 어디선가 여우가 나타나 신묘한 힘으로 격퇴해 버린다.
이 작품은 일본의 국민적 영웅 義經와 그 주변 사람들을 그린 점, 망자가 된 平家의 무장들을 되살려 활약시킨 점, 그리고 사람과 동물과의 교류를 보여준 점이 특색으로 부각된다. 여우 사토 타다노부로 대표되는, 넓은 뜻에서 신과 인간의 활발한 교류 내용은 근대 연극과는 다른 歌舞伎와 같은 고전 연희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9.1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